[[분류:1887년 출생]][[분류:1946년 사망]][[분류:제1차 세계 대전/군인]][[분류:제2차 세계 대전/군인]][[분류:오스트리아-헝가리제국군/군인]][[분류:헝가리의 군인]][[분류:친위대(나치 독일)/인물]][[분류:나치 부역자]][[분류:부다페스트 출신 인물]][[분류:총살형된 인물]] [include(틀:슈츠슈타펠/장성급 지휘관)] |||| '''무장친위대 상급집단지도자[br]{{{+2 루스커이 예뇌}}}[br]Ruszkay Jenő''' |||| ||||{{{#!wiki style="margin: -4px -9px" [[파일:루스커이 예뇌1.jpg|width=100%]]}}}|||| || {{{#FFF 이름}}} ||<(>'''Vitéz Ruszkay Jenő Oszkár'''[br] 비테즈 루스커이 예뇌 오스카르 || || {{{#FFF 출생}}} ||<(>[[1887년]] [[1월 1일]] [br]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부다페스트 || || {{{#FFF 사망}}} ||<(>[[1946년]] [[6월 22일]] (향년 59세) [br] [[헝가리 제2공화국]] 부다페스트 || || {{{#FFF 복무}}}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군]] [br] 헝가리 왕국군 [br] [[친위대(나치 독일)|친위대]] || || {{{#FFF 최종계급}}} ||<(>[[상급대장]] [br] [[친위대(나치 독일)|친위대]] [[무장친위대]] [[대장(계급)|대장]] || || {{{#FFF 주요 참전}}} ||<(>[[제1차 세계 대전]] [br] [[제2차 세계 대전]] || || {{{#FFF 주요 서훈}}} ||<(> [[철십자 훈장]] || [목차] [clearfix] == 개요 == || [[파일:루스커이 예뇌2.jpg|width=100%]] || || '''루스커이 예뇌 (Ruszkay Jenő)''' ||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출신의 군인, [[무장친위대]] [[대장(계급)|대장]]이다. == 초기 행적 == 루스커이 예뇌는 [[1887년]] [[1월 1일]]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부다페스트에서 '''오이겐 란첸베르거'''[* Eugen Ranzenberger][* 이후 '''비테즈 루스커이 예뇌 오스카르'''로 변경]라는 이름으로 태어났다. 그는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군에 입대해 [[제1차 세계 대전]]에 참전했다. 전후 루스커이는 [[호르티 미클로시]]의 군대에 합류하고 새로운 헝가리군의 부관으로 근무했다. == [[제2차 세계 대전]] == [[1940년]]에 군에서 물러났던 예뇌[* [[헝가리]]는 다른 유럽 국가들과는 달리, 성이 이름 앞에 온다. 즉, 루스커이는 성이고 이름은 예뇌다.]는 [[1944년]] [[판처파우스트 작전]]으로 [[살러시 페렌츠]] 정권이 세워지자 헝가리 육군 참모부에 현역으로 소집되었다. [[1944년]] [[12월 20일]] 루스커이는 [[슈츠슈타펠|SS]][[장관]] [[하인리히 힘러]]의 초청으로 [[베를린]]에서 헝가리 친위대 창설을 논의했다. 루스커이는 [[1945년]] [[2월 1일]] 친위대 상급집단지도자, [[무장친위대]] [[대장(계급)|대장]] 계급으로 친위대에 합류했다. [[1945년]] [[4월 10일]] 헝가리 무장친위대의 사령관을 맡았다. == 전후 행적 == [[1945년]] [[5월 6일]] [[조지 패튼]]의 군대가 헝가리 무장친위대 사단을 포위했고 결국 루스커이가 대표로 항복했다. 루스커이는 [[1945년]] [[10월]] [[뉘른베르크]]로 이송되었고, 한달 후 [[전범]]으로 헝가리에 넘겨졌다. [[1946년]] [[3월 27일]] 재판에서 루스커이는 사형을 선고받았고, [[6월 22일]] [[부다페스트]]에서 [[총살형]]에 처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