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휴스턴 애스트로스/로스터)] ---- ||
'''{{{#ffffff 루이스 가르시아의 수상 경력 /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
[[파일:휴스턴2022우승로고.png|height=70]][br]'''월드 시리즈 우승 반지''' || || '''[[2022년 월드 시리즈|{{{#eb6e1f 2022}}}]]''' || ---- ||<-5> '''{{{#ffffff [[휴스턴 애스트로스|{{{#ffffff 휴스턴 애스트로스}}}]] 등번호 77번}}}''' || || 토니 데 프란세스코[br](2011) || {{{+1 →}}} || '''{{{#000000 루이스 가르시아[br](2020~)}}}''' || {{{+1 →}}} || 현역 ||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애스트로스.jpg|width=100%]]}}} || ||<-2> '''휴스턴 애스트로스 No.77''' || ||<-2> '''{{{#000000 {{{+2 루이스 가르시아}}}[br]Luis García}}}''' || || '''본명''' ||루이스 에이바르도 가르시아[br]Luis Heibardo García || ||<|2> '''출생''' ||[[1996년]] [[12월 13일]] ([age(1996-12-13)]세) || ||[[볼리바르]]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베네수엘라)] || || '''신체''' ||185cm / 110kg || || '''포지션''' ||[[선발 투수]] || || '''투타''' ||[[우투우타]] || || '''프로입단''' ||2017년 국제 아마추어 자유계약 ([[휴스턴 애스트로스|HOU]]) || || '''소속팀''' ||'''[[휴스턴 애스트로스]] (2020~)''' || || '''계약''' ||1yr / $763,200 || || '''연봉''' ||2023 / $763,200 || || '''기록''' ||'''[[무결점 이닝]] (2022.6.16.)'''|| [목차] [clearfix] == 개요 == [[휴스턴 애스트로스]] 소속 우완 투수. == 선수 경력 == === [[휴스턴 애스트로스]] === 2021년 풀타임 선발로 30경기에 등판해 11승 8패 평균자책점 3.30을 올리며 로테이션 한 자리를 확보했다. 10월 11일 [[2021 아메리칸 리그 디비전 시리즈]] 3차전에서 2⅔이닝 5실점을 기록하였다. 10월 17일 [[2021 아메리칸 리그 챔피언십 시리즈]] 2차전에서 [[J.D. 마르티네즈]]에게 만루홈런을 맞으며 1이닝 4실점을 기록하며 패전투수가 되었다. 10월 23일 ALCS 6차전 5⅔이닝 무실점으로 호투했다. 10월 30일 [[2021년 월드 시리즈]] 3차전에서 3⅓이닝 1실점을 기록했다. 11월 3일 WS 6차전에 3일 휴식 후 등판에 98마일을 뿌리며 역투했지만 3점홈런을 맞고 강판되었다. 2022년에는 28경기 선발 등판 157⅓이닝 15승 8패 ERA 3.72 157삼진 28피홈런 47볼넷 피안타율 .225 WHIP 1.15 fWAR 2.1 bWAR 1.4를 기록했다. 2023년에는 5월 1일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와 홈경기에 등판해서 8구만에 팔꿈치에 이상을 느껴 마운드를 내려갔고 [[토미 존 수술]]을 받게 되면서 시즌아웃 되었다. == 플레이 스타일 == == 수상 내역 == * [[월드 시리즈]] 우승 ([[2022년 월드 시리즈|2022]]) == 연도별 성적 == ||<-18>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파일:MLB 로고.svg|width=35]]]] {{{#FFFFFF '''루이스 가르시아의 역대 MLB 기록'''}}} || || 연도 || 팀 || G || W || L || S || HLD || IP || ERA || H || HR || BB || HBP || SO || WHIP || ERA+ || fWAR || bWAR || || 2020 ||<|4> [[휴스턴 애스트로스|HOU]] || 5 || 0 || 1 || 0 || 0 || 12⅓ || 2.92 || 7 || 1 || 5 || 1 || 9 || 0.973 || 156 || 0.1 || 0.3 || || 2021 || 30 || 11 || 8 || 0 || 0 || 155⅓ || 3.48 || 133 || 19 || 50 || 3 || 167 || 1.178 || 123 || 3.1 || 2.6 || || 2022 || 28 || 15 || 8 || 0 || 0 || 157⅓ || 3.72 || 131 || 23 || 47 || 1 || 157 || 1.131 || 104 || 2.1 || 1.4 || || 2023 || 6 || 2 || 2 || 0 || 0 || 27 || 4.00 || 25 || 3 || 10 || 1 || 31 || 1.296 || 110 || 0.6 || 0.5 || ||<-2>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MLB]] 통산'''[br](4시즌) || 69 || 28 || 19 || 0 || 0 || 352 || 3.61 || 296 || 46 || 112 || 6 || 364 || 1.159 || 115 || 5.9 || 4.8 || == 여담 == * 와인드업 자세가 꽤 독특하다. 와인드업 전 몸을 숙여 사인을 받고 와인드업에 들어갈 때 팔을 살짝 흔들고 앞으로 갔다가 다리를 다시 뒤로 갔다가 투구를 했었으나[* 요람 와인드업이라고 불린다. [[조시 네일러]]의 홈런 세레머니와 유사하다.] 2023 시즌부터 도입되는 피치클락 규정으로 인해 없앴다고 한다. [각주] [[분류:베네수엘라의 야구 선수]][[분류:1996년 출생]][[분류:2020년 데뷔]][[분류:시우다드볼리바르 출신 인물]][[분류:우완 투수]][[분류:우투우타]][[분류:휴스턴 애스트로스/현역]][[분류:베네수엘라의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참가 선수]][[분류:2023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참가 선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