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마이애미 말린스/로스터)] ---- ||
'''{{{#00a3e0 루이스 아라에즈의 수상 경력 /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2>
[[파일:2022 MLB 올스타전 로고.svg|height=70]][[파일:2023 MLB 올스타전 로고.svg|height=70]][br]'''메이저 리그 베이스볼[br]올스타''' || ||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올스타전/2022년|{{{#ffffff 2022}}}]]''' ||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올스타전/2023년|{{{#ffffff 2023}}}]]''' || ---- ||<-5> [[아메리칸 리그|[[파일:MLB 아메리칸 리그 로고.svg|width=20]]]] '''{{{#ffffff 2022년 메이저 리그 아메리칸 리그 유틸리티 부문 실버 슬러거}}}''' || || 2022년 첫 수상 || → || '''루이스 아라에즈[br]([[미네소타 트윈스]])''' || → || [[거너 헨더슨]][br]([[볼티모어 오리올스]]) || ||<-5> [[내셔널 리그|[[파일:MLB 내셔널 리그 로고.svg|width=20]]]] '''{{{#FFFFFF 2023년 메이저 리그 내셔널 리그 2루수 부문 실버 슬러거}}}''' || || [[제프 맥닐]][br]([[뉴욕 메츠]]) || → || '''루이스 아라에즈[br]([[마이애미 말린스]])''' || → || 2024년 수상자 || ---- ||<-5> [[아메리칸 리그|[[파일:MLB 아메리칸 리그 로고.svg|width=20]]]] '''{{{#ffffff 2022년 메이저 리그 아메리칸 리그 타격왕}}}''' || || [[율리에스키 구리엘]][br]([[휴스턴 애스트로스]]) || → || '''루이스 아라에즈[br]([[미네소타 트윈스]])''' || → || [[얀디 디아스]][br]([[탬파베이 레이스]]) || ||<-5> [[내셔널 리그|[[파일:MLB 내셔널 리그 로고.svg|width=20]]]] '''{{{#ffffff 2023년 메이저 리그 내셔널 리그 타격왕}}}''' || || [[제프 맥닐]][br]([[뉴욕 메츠]]) || → || '''루이스 아라에즈[br]([[마이애미 말린스]])''' || → || 2024년 수상자 || ---- ||<-5> '''{{{#fff [[미네소타 트윈스|{{{#fff 미네소타 트윈스}}}]] 등번호 2번}}}''' || || [[브라이언 도저]][br](2013~2018) || {{{+1 →}}} || '''{{{#fff 루이스 아라에즈[br](2019~2022)}}}''' || {{{+1 →}}} || [[마이클 A. 테일러]][br](2023) || ||<-5> '''{{{#00A3E0 [[마이애미 말린스|{{{#00A3E0 마이애미 말린스}}}]] 등번호 3번}}}''' || || [[몬테 해리슨]][br](2020~2021) || {{{+1 →}}} || '''루이스 아라에즈[br](2023~)''' || {{{+1 →}}} || 현역 ||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GDDB3SU7R7WPZSEWI2GRIK2I2E.jpg|width=100%]]}}} || ||<-2> '''마이애미 말린스 No.3''' || ||<-2> '''{{{#000 {{{+2 루이스 아라에즈}}}[br]Luis Arraez}}}''' || || '''본명''' ||루이스 상헬 아라에스[br]Luis Sangel Arraez || ||<|2> '''출생''' ||[[1997년]] [[4월 9일]] ([age(1997-04-09)]세) || ||야라쿠이 주 산 펠리페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베네수엘라)] || || '''신체''' ||178cm / 79kg || || '''포지션''' ||[[유틸리티 플레이어(야구)|유틸리티 플레이어]][* 주 포지션은 [[2루수]]이지만 [[1루수]], [[3루수]], [[좌익수]]도 소화 가능하다.] || || '''투타''' ||[[우투좌타]] || || '''프로입단''' ||2013년 국제 아마추어 자유계약 ([[미네소타 트윈스|MIN]]) || || '''소속팀''' ||'''[[미네소타 트윈스]] (2019~2022)'''[br] '''[[마이애미 말린스]] (2023~)''' || || '''계약''' ||1yr / $6,100,000 || || '''연봉''' ||2023 / $6,100,000 || || '''기록''' ||'''[[사이클링 히트|힛 포 더 사이클]] (2023.4.11)''' || || '''SNS''' ||[[https://www.facebook.com/Arraezluis|[[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5]]]] [[https://www.instagram.com/arraezluis/|[[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5]]]]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Arraez_21, 크기=25)] || [목차] [clearfix] == 개요 == [[마이애미 말린스]] 소속 [[유틸리티 플레이어(야구)|유틸리티 플레이어]]. == 선수 경력 == === [[미네소타 트윈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루이스 아라에즈 나무위키.jpg|width=100%]]}}} || ==== 2019 시즌 ==== AAA에서 16경기만 뛰고 콜업된 아라에즈는 누구도 예상치 못한 성적을 내게 된다. '''92경기 .334/.399/.439 OPS .838 wRC+ 126 fWAR 2.1'''을 기록한 아라에즈는 신인왕 표도 몇 장 받아 6위에 오르고, 당시 고정 2루수가 없던 미네소타에서 2루수 자리를 맡게 된다. ==== 2020 시즌 ==== 부상으로 많은 경기들을 결장하여 32경기 .321/.364/.402 OPS .766 wRC+112 fWAR 0.8에 그쳤다. ==== 2021 시즌 ==== [[미네소타 트윈스]]가 [[호르헤 폴랑코]]의 유격수 수비문제 때문에 [[안드렐톤 시몬스]]를 단년계약으로 데려오면서, 폴랑코가 2루로 가게 되고, 이에 따라 아라에즈는 3루수 2루수 코너외야를 돌아가면서 보는 유틸리티 플레이어를 맡았다. 하지만 올해도 가벼운 부상 때문에 경기를 꽤 결장했다. 최종성적은 121경기 .294/.357/.376 OPS .733 wRC+ 103 fWAR 1.8로 이전 2년에 비해 아쉬웠다. ==== 2022 시즌 ==== 5월 1일, 연봉 조정을 피해 212만 5천 달러의 연봉에 합의했다. 6월 13일까지 .359/.441/.435라는 호성적을 보여주고 있다. 미친 타율과 출루율을 바탕으로 아메리칸 리그 OPS 10위권에도 들락날락 하고 있는데, OPS가 0.8이 넘는 AL 타자 중 두 번째로 낮은 장타율을 기록하고 있다. 출루 능력이 얼마나 좋은지 알 수 있는 대목. 이렇게 뛰어난 성적을 거두고 있다 보니 [[바이런 벅스턴]]과 [[카를로스 코레아]]가 주춤한 트윈스의 새로운 올스타 컨텐더로 주목받고 있다. 다만 시즌 초 누워버린 [[미겔 사노]]의 빈 자리를 채우려고 1루로 이동하다 보니 [[블라디미르 게레로 주니어]], [[앤서니 리조]] 등 경쟁자들 이름값이 워낙 쟁쟁해서 팬 투표에서는 밀렸으나 감독 추천 선수로 선발되었다. 결국 AL 타율 1위로 시즌을 마감하면서 [[애런 저지]]의 [[트리플 크라운]]을 저지해 냈고, [[오타니 쇼헤이]]를 제치고 유틸리티 실버슬러거의 첫 수상자가 되었다. 이후 팀은 선발진 보강을 위해 아라에즈를 트레이드 칩으로 쓸 수 있다는 언급을 했다. === [[마이애미 말린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말린스아라에스공식.jpg|width=100%]]}}} || 1월 20일, [[파블로 로페스]], 호세 살라스, 브라이언 추리오를 상대로 트레이드를 통해 '''마이애미 말린스'''로 이적했다. ==== 2023 시즌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말린스아라에즈.jpg|width=100%]]}}} || 1월 19일, MLB 네트워크에서 선정한 1루수 TOP 10 부문 9위에 올랐다.[[https://twitter.com/MLB/status/1615891102866743297?t=lMhB9CUVtT8baD2BiMWjng&s=19|#]] 2월 2일, 연봉 조정에서 승리해 610만 달러의 연봉을 받게 되었다. 4월 11일, 말린스 역사상 최초의 [[사이클링 히트]]를 기록하였다. 여전히 맹타를 휘두르고 있으며 4월이 끝나가는데도 아직도 4할을 유지하고 있으며 리그 유일 4할 타자이다. 6월 4일 현재 4할에 약간 못 미치는 .392의 타율을 기록하고 있다. 6월 5일 [[캔자스시티 로열스]]전에서 4타수 3안타 2타점을 기록하며 시즌 타율은 .399가 되었다. 6월 6일 4타수 2안타로 기어코 시즌 타율을 .401로 끌어올렸다. 6월 7일 2안타를 추가하며 시즌 타율은 .403이 되었다. 6월 11일 경기 종료 후까지 224타수 90안타로 .401이었으나 6월 12일 경기에서 5타수 1안타를 기록하여 6월 12일 기준 시즌타율이 .397이 되었다. 이후 시애틀과의 3연전에서 12타수 무안타를 기록하며 타율이 3할 7푼대로 떨어졌지만, 워싱턴과의 6월 16일 경기에서 5타수 5안타를 쳐내며 타율을 3할 9푼대로 다시 끌어올렸다. 6월 19일 토론토와의 홈경기에서 5타수 5안타를 기록하며 다시 정확히 4할로 복귀했다. 현 시점 홈런이 겨우 두 개인데 OPS가 무려 .940다. 6월 23일 피츠버그과의 경기에서 4타수 3안타를 기록하며 4할로 또 다시 복귀하였다. 전반기가 거의 끝나가는데 아직도 4할이다. 6월 24일 경기에서 시즌 3호 홈런을 기록했다. 시즌 타율은 0.401. [[7월 8일]] 경기까지 시즌 타율 0.386을 기록하고 있다. 타출갭이 5푼 정도밖에 안되고, 순장타율이 1할도 안 되는데도 OPS가 아직도 0.912에 달하고 있다. wRC+는 151로 리그 최상위권을 유지하고 있다. 40-40클럽 페이스로 가는 [[로날드 아쿠냐 주니어]]와 함께 NL MVP 유력 후보로 뽑힌다. 물론 세이버 지표인 WAR이나 WRC+는 당연히 아쿠냐가 훨씬 높지만[* 장타에 주루 능력까지 갖췄으니 당연하다면 당연한 결과. 사실상 아라에즈가 MVP 후보로 거론되는 이유는 타율밖에 없는데, 심지어 베이스볼 서번트에서 제공하는 기대 타율(xBA)마저도 아쿠냐가 더 높다. 물론 둘 다 천상계급의 타율이지만, 아라에즈는 기대 타율보다 실제 타율이 5푼이나 높다.], 아라에즈가 정말로 4할 타율을 기록한다면 세이버 스탯과 관계없이 경합이 될 가능성이 높다. 리그의 반 바퀴를 훌쩍 넘긴 [[7월 31일]] 기준 타율 0.381로 여전히 4할의 가능성은 열어두고 있으며, 출루율 0.429에 장타율 0.478로 여전히 0.9대의 OPS를 유지하고 있으며, wRC+도 149로 7월초와 크게 달라진 것 없는 성적을 유지하고 있다. 하지만 8월에 2할 초반대의 극심한 부진에 시달려 페이스가 많이 떨어졌다. 8월 16일 기준 타율은 3할 6푼대까지 떨어졌으며, wRC+도 140으로 하락하였다. 이후에도 타격 페이스가 떨어지며 3할 5푼까지 떨어졌고 그 사이 [[프레디 프리먼]]이 꾸준히 타율을 끌어올려 아라에즈에 단 9리차까지 따라붙었다. 9월 15일 [[애틀랜타 브레이브스]]전에서는 멀티홈런을 때려내며 시즌 8, 9호 홈런을 기록했다. 9월 16일 [[애틀랜타 브레이브스]]전에서도 홈런을 때려내며 커리어 처음으로 단일 시즌 두 자릿수 홈런을 달성했다. 9월 18일, 커리어 처음으로 단일 시즌 200안타를 달성했다. 시즌 최종 성적은 147경기 출전 .354 .393 .469 10홈런 69타점 wRC+ 132 fWAR 3.4를 기록하였고, 올해도 타율 1위를 달성하면서 서로 다른 리그에서 2년 연속으로 타격왕을 차지한 최초의 선수에 등극하였다. == 플레이 스타일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아라에즈 스프레이차트.jpg|width=100%]]}}} || || '''아라에즈의 스프레이 차트'''[* 아라에즈가 어떤 스타일의 선수인지를 제일 잘 나타내주는 자료다. 사진과 같이, 좌타자지만 좌타자 전용 시프트가 필요 없는 선수. 오히려 커리어 내내 밀어친 타구의 비율(33.9%)이 당겨친 타구(26.3%)의 비율보다 높다. 다만 홈런은 모두 당겨쳤다.] || 현재 리그를 대표하는 교타자이다. 다른 툴은 대부분 보잘 것 없지만, 컨택 하나만큼은 메이저리그를 통틀어서 최상급인, [[토니 그윈]]의 재림인 선수.[* 다만 토니 그윈은 데뷔 초창기에는 도루를 잘만 했다. 즉 현재까지만 보자면 노쇠화 이후의 토니 그윈같은 모습.] 컨택 능력이 워낙 좋아서, 데뷔 이후부터 지금까지 메이저리그 4년[* 2019~2022년.] 동안 통산 타율이 무려 .314이다. 한 마디로 순수 타격의 정교함에 있어서는 현재 아라에즈를 따라올 선수가 드물 정도이다. 컨택형 타자답게 헛스윙률과 삼진율이 매우 낮은 편이다. 아라에즈의 커리어 헛스윙률은 2021년 기준,'''무려 9.6%'''로 메이저리그 평균인 24.6%의 절반도 안 된다. 2021년에는 헛스윙률 밑에서 전체 2위를 기록했을 정도. 아라에즈의 삼진율 또한 매우 낮은데, 데뷔 이후 2021년까지 삼진율은 9.1%로 같은 기간 동안 950타석 이상을 소화한 선수들 중 '''1등으로 낮다.''' 하지만, 그만큼 아라에즈는 현재 메이저리그의 대세가 되어가고 있는 스타일과 맞지 않는 야구를 하는 중이기도 하다. 메이저리그는 현재 플라이볼 시대라, 배트에 공을 약하게 많이 맞히는 것보다는 한 번 맞힐 때 정확하고 강하게 맞히는 걸 선호하지만, 아라에즈는 그 반대 유형의 선수다.[* 아라에즈는 컨택능력이 탁월한 대신 파워가 약한 선수라서 안타는 많지만 장타의 개수가 적다. 그래서 타율은 높지만 그에 비해 OPS가 높지는 않다.] 또한, 내구성에도 의문 부호가 있는데, 일단 2022년부터 현재까지 2년 연속 140경기 이상 출전하면서 일단 내구성에 대한 의문은 줄어들고 있다. 하지만 아직 나이는 어린 선수이므로, 앞으로 하드힛과 배럴타구들을 많이 만들어내서 장타를 터뜨릴 수 있는 능력을 갖추느냐가 아라에즈의 커리어의 성공 여부에 중요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메이저리그의 대세가 타율 보다는 장타를 노리는 풀히팅을 주로 하는 편이지만, 저타율의 장타자 위주로만 타선을 구성하다 보면 타선 밸런스 면에서 좋지 못한 경우가 많아 아라에즈 유형의 선수는 어느 팀이나 필요하다. 특히 포스트시즌 진출이 가능한 상위권 팀이라면 더욱 더. 다만 선천적 파워는 한계가 있으므로 역대급 장점인 컨택 능력을 바탕으로 선구, 주루 센스를 키워나가며 ops를 올리는 방향이 개인적 연봉에는 더 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고타율이 연봉으로 직결되는 시기는 지나도 한참 지났으니 어쩌면 시대를 잘 못 탄 선수. 20년 전 ops형 타자가 저평가되던 시기를 생각해보자. == 수상 내역 == || '''수상 내역''' || ||[[파일:MLB 로고.svg|width=20]] '''올스타 2회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올스타전/2022년|2022]],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올스타전/2023년|2023]])''' [br] [[파일:MLB 아메리칸 리그 로고.svg|width=20]] '''[[아메리칸 리그]] 유틸리티 [[실버 슬러거]] (2022)'''[br] [[파일:MLB 내셔널 리그 로고.svg|width=20]] '''[[내셔널 리그]] 2루수 [[실버 슬러거]] (2023)''' [br] [[파일:MLB 아메리칸 리그 로고.svg|width=20]] '''로드 커류 상 (2022)''' [br] [[파일:MLB 내셔널 리그 로고.svg|width=20]] '''토니 그윈 상 (2023)''' || == 연도별 성적 == ||<-20>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파일:MLB 로고.svg|width=35]]]] {{{#FFFFFF '''루이스 아라에즈의 역대 MLB 기록'''}}} || || 연도 || 팀 || G || PA || H || 2B || 3B || HR || R || RBI || SB || BB || SO || AVG || OBP || SLG || OPS || WRC+ || fWAR || bWAR || || 2019 ||<|4> [[미네소타 트윈스|MIN]] || 92 || 366 || 109 || 20 || 1 || 4 || 54 || 28 || 2 || 36 || 29 || .334 || .399 || .439 || .838 || 126 || 1.8 || 1.6 || || 2020 || 32 || 121 || 36 || 9 || 0 || 0 || 16 || 13 || 0 || 8 || 11 || .321 || .364 || .402 || .766 || 114 || 0.5 || 0.9 || || 2021 || 121 || 479 || 126 || 17 || 6 || 2 || 58 || 42 || 2 || 43 || 48 || .294 || .357 || .376 || .733 || 105 || 1.7 || 3.4 || || 2022 || 144 || 603 || 173 || 31 || 1 || 8 || 88 || 49 || 4 || 50 || 43 || '''.316''' || .375 || .420 || .795 || 131 || 3.1 || 4.4 || || 연도 || 팀 || G || PA || H || 2B || 3B || HR || R || RBI || SB || BB || SO || AVG || OBP || SLG || OPS || WRC+ || fWAR || bWAR || || 2023 || [[마이애미 말린스|MIA]] || 147 || 617 || 203 || 30 || 3 || 10 || 71 || 69 || 3 || 35 || 34 || '''.354''' || .393 || .469 || .861 || 132 || 3.4 || 4.9 || ||<-2>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MLB]] 통산'''[br](5시즌) || 536 || 2186 || 647 || 107 || 11 || 24 || 287 || 201 || 11 || 172 || 165 || .326 || .379 || .427 || .806 || 124 || 10.6 || 15.1 || == 여담 == [각주] [[분류:베네수엘라의 야구 선수]][[분류:1997년 출생]][[분류:2019년 데뷔]][[분류:야라쿠이 주 출신 인물]][[분류:내야수]][[분류:외야수]][[분류:우투좌타]][[분류:미네소타 트윈스/은퇴, 이적]][[분류:마이애미 말린스/현역]][[분류:베네수엘라의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참가 선수]][[분류:2023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참가 선수]][[분류:MLB 타격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