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ABDDED 15%, #FFFFFF 15%, #FFFFFF 30%, #ABDDED 30%, #ABDDED 70%, #FFFFFF 70%, #FFFFFF 85%, #ABDDED 85%, #ABDDED )" {{{#002643 '''루이스 카르니글리아의 감독직 및 기타 직책'''}}}}}} || || {{{#!folding ▼ ||<-4> {{{#333333,#cccccc '''둘러보기 틀 모음'''}}} || ||<-4> {{{#333333,#cccccc '''대표팀'''}}} || || || || || || ||<-4> {{{#333333,#cccccc '''클럽'''}}} || || [[틀:레알 마드리드 CF 감독(1대~40대)|[[파일:레알 마드리드 CF 로고.svg|height=55]]]][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FFFFFF; font-size: 0.9em" [[틀:레알 마드리드 CF 감독(1대~40대)|{{{#fcaf17 '''레알 마드리드 CF'''}}}]]}}}[br]{{{-2 21대, 23대}}} || [[틀:ACF 피오렌티나 감독(1대~50대)|[[파일:ACF 피오렌티나 로고.svg|height=55]]]][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4F3F8F; font-size: 0.9em" [[틀:ACF 피오렌티나 감독(1대~50대)|{{{#ffffff,#ffffff '''피오렌티나'''}}}]]}}}[br]{{{-2 21대}}} || [[틀:AS 로마 감독(1대~40대)|[[파일:AS 로마 로고.svg|height=55]]]][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990A2C; font-size: 0.9em" [[틀:AS 로마 감독(1대~40대)|{{{#fbba00 '''로마'''}}}]]}}}[br]{{{-2 27대}}} || [[틀:AC 밀란 감독(1대~38대)|[[파일:AC 밀란 로고.svg|height=50]]]][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DE0011; font-size: 0.9em" [[틀:AC 밀란 감독(1대~38대)|{{{#000000,#e5e5e5 '''밀란'''}}}]]}}}[br]{{{-2 37대}}} || || [[틀:유벤투스 FC 감독(1대~30대)|[[파일:유벤투스 FC 로고.svg|height=55]]]][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000000; font-size: 0.9em" [[틀:유벤투스 FC 감독(1대~30대)|{{{#ffffff '''유벤투스'''}}}]]}}}[br]{{{-2 28대}}} || || || || }}}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rgba(50%, 50%, 50%, 30%) 0%, transparent)" {{{+1 {{{#000000,#e5e5e5 ''' 아르헨티나의 前 축구감독 '''}}}}}}}}}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luis-carniglia-54bc3c26-33bd-46ec-b36e-6a540379748-resize-750.jpg|width=100%]]}}} || ||<-2> {{{#000000,#e5e5e5 ''' 이름 ''' }}} || {{{+1 '''루이스 카르니글리아'''}}}[br]'''Luis Carniglia''' || ||<-2> {{{#000000,#e5e5e5 ''' 본명 ''' }}} ||루이스 안토니오 카르니글리아[br]Luis Antonio Carniglia || ||<-2> {{{#000000,#e5e5e5 ''' 출생 ''' }}} ||[[1917년]] [[10월 4일]] / [br] {{{-2 [[아르헨티나]] [[부에노스 아이레스|부에노스아이레스자치시]] 올리보스 }}} || ||<-2> {{{#000000,#e5e5e5 ''' 사망''' }}} ||[[2001년]] [[6월 22일]] (향년 83세) / [br] {{{-2 [[아르헨티나]] [[부에노스 아이레스|부에노스아이레스자치시]] }}} || ||<-2> {{{#000000,#e5e5e5 ''' 국적 ''' }}} ||[include(틀:국기, 국명=아르헨티나)] || ||<-2> {{{#000000,#e5e5e5 ''' 신체 ''' }}} ||미상 || ||<-2> {{{#000000,#e5e5e5 ''' 직업 ''' }}} ||[[축구선수]] ([[중앙 공격수|스트라이커]] / ^^은퇴^^)[br][[축구감독]] || ||<|2> {{{#000000,#e5e5e5 ''' 소속 ''' }}} || {{{#000000,#e5e5e5 ''' 선수 ''' }}} ||CD 올리보스 (1932~1933 / ^^유스^^)[br][[CA 티그레]] (1933~1936)[br][[CA 보카 주니어스]] (1936~1941)[br][[CA 차카리타]] (1942~1945)[br][[클루브 아틀라스]] (1945~1948)[br][[OGC 니스]] (1951~1952)[br]SC 툴롱 (1952~1953)[br][[OGC 니스]] (1953~1955) || || {{{#000000,#e5e5e5 ''' 감독 ''' }}} ||[[OGC 니스]] (1955~1957)[br]'''[[레알 마드리드 CF]] (1957~1959)[br][[레알 마드리드 CF]] (1959)'''[br][[ACF 피오렌티나]] (1959~1960)[br][[SSC 바리]] (1961)[br][[AS 로마]] (1961~1963)[br][[AC 밀란]] (1963~1964)[br][[데포르티보 라 코루냐]] (1964~1965)[br][[볼로냐 FC 1909]] (1965~1968)[br][[유벤투스 FC]] (1969~1970)[br][[CA 산 로렌소]] (1973)[br][[FC 지롱댕 드 보르도]] (1978~1979) || ||<-2> {{{#000000,#e5e5e5 ''' 국가대표 ''' }}} ||없음 || [목차] [clearfix] == 개요 == [[아르헨티나]] 국적의 [[축구선수]] 출신의 [[축구 감독]]. [[1978년]]부터 [[1979년]]까지 [[FC 지롱댕 드 보르도]]의 감독직을 맡았었다. === 선수 생활 === 선수 시절 그는 자신의 고향을 연고지로 한 아르헨티나 4부 리그의 CA 올리보스에서 축구를 시작하였다. 다만 [[멕시코]]로 건너가 CA 티그레에서 프로 데뷔를 이루었으며, 3시즌 정도를 뛴후 어릴적부터 자신이 꿈꾸었던 클럽인 [[보카 주니어스]]로 이적하여 금의환향한다. 여기서 특이할 만한 점이, 당시 보카로 막 이적했던 카르니글리아는 친선전에서 첫 경기를 뛰었는데 전반 3분 만에 골을 넣었지만 5분 뒤 왼팔이 골절당하는 부상을 입고만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부상을 입은 채로 경기를 뛴 카르니글리아 덕분에 팀은 3-0으로 이기며 독특한 신고식을 치루게 된다. 이후 5시즌을 활약하지만 마지막 시즌 [[CA 산 로렌소]]와의 경기에서 다리 부상을 당한 직후 폼이 급속도로 하락하여 슬럼프가 오고만다. 어떻게든 극복하기 위해 다시 [[멕시코]]로 건너가지만 10년 전과는 달리 차카리타와 아틀라스에서는 부진한 모습만 보여주게 되었고, 새로운 도전을 위해 [[프랑스]]의 [[OGC 니스]]로 이적하여 말년에 [[리그 1]], [[쿠프 드 프랑스]] 우승에 성공한다. 은퇴 직후 니스의 영국인 감독이던 조지 배리의 뒤를 이어맡으며 감독으로서 두번째 축구 인생이 시작된다. === 감독 생활 === 감독이 된지 첫 시즌 만에 니스를 [[리그 1]]의 정상에 올려놓는다. 그리하여 1956-57 시즌엔 프랑스 리그 챔피언 자격으로 [[UEFA 챔피언스 리그|유러피언컵]]에 출전하게 되었고, [[덴마크]]의 [[오르후스 GF|AGF 오르후스]]와 [[스코틀랜드]]의 [[레인저스 FC]]를 연달아 꺾으며 8강 진출에 성공한다. 그러나 8강에서 만나게 된 상대가 그 당시 유럽을 호령했던 '''저승사자 군단''' [[레알 마드리드 CF]]였고, 그런 레알에게 니스도 호기롭게 도전해봤지만 총합 2-6으로 참패하며 탈락하게 된다. 결국 그 시즌에서는 리그에서 13위, 챔피언스리그 8강, 쿠프 드 프랑스 준결승이라는 다소 아쉬운 성적과 함께 무관으로 끝났지만, 마침 [[호세 비야롱아]]의 후임을 찾던 [[산티아고 베르나베우]]와 레알 마드리드 보드진이 평소에 눈여겨본 카르니글리아에게 오퍼를 날렸고, 이를 받아들인 카닐리아는 1957년, [[레알 마드리드 CF]]의 지휘봉을 잡게 된다.[* 원래 당시 [[레알 마드리드 CF|레알 마드리드]] 감독 1순위는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맨유]] 감독인 [[맷 버스비]]였다.] 이후 [[라리가]]에서 보낸 첫 시즌에서 [[호세 산타마리아]]를 영입해 수비를 강화시키며 리그 우승을 달성하였고, 유러피언 컵에서도 마침내 우승을 하여 더블을 기록한다. 이는 비유럽 출신 감독이 처음으로 챔피언스 리그에서 우승을 하는 기록도 된다. 카르니글리아는 여기서 그치지 않고 '''질주하는 소령''' [[페렌츠 푸스카스]]를 영입하여 1958-59 시즌에도 우승을 하여 2연패를 달성하며 비야롱아의 2연패를 이어받아 총 4연패라는 대기록을 만들어낸다. 니스, 레알에서의 성공을 바탕으로 이탈리아로 건너가 [[ACF 피오렌티나]]와 [[SSC 바리]], [[AS 로마]]와, 당시 유럽에서 레알과 쌍두마차를 이루던 [[AC 밀란]]까지 지휘하였지만, 로마에서 [[인터-시티 페어스컵]]을 들어올린것을 빼면 명성과 걸맞지 않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심지어는 [[네레오 로코]]에게 물려받아 디펜딩 챔피언인 밀란을 이끌었지만 1963-64 시즌 유러피언컵에서 레알에게 3-4 석패를 당하면서 카르니글리아는 점점 저물어가는 감독이 되어갔고, 1969년 [[유벤투스 FC]]를 제외하면 중위권 클럽들만 맡다가 잠깐의 휴식을 취한 후, 8년 만에 다시 [[프랑스]]로 돌아와 [[FC 지롱댕 드 보르도]]를 끝으로 감독직에서 은퇴한다. == 여담 == 루이스 카르니글리아는 '''2020년대''' 현재까지 챔스에서 우승한 42명의 감독들 중 '''유일한 비유럽 국적'''의 감독이다.[* 인테르에서 2회의 우승을 차지한 [[엘레니오 에레라]]도 [[아르헨티나]] 태생이지만, 어린 시절 [[프랑스]]로 귀화했다.] [[분류:부에노스 아이레스 주 출신 인물]][[분류:1917년 출생]][[분류:1955년 은퇴]][[분류:2001년 사망]][[분류:아르헨티나의 축구선수]][[분류:아르헨티나의 축구감독]][[분류:CA 보카 주니어스/은퇴, 이적]][[분류:OGC 니스/은퇴, 이적]][[분류:OGC 니스/역대 감독]][[분류:레알 마드리드 CF/역대 감독]][[분류:ACF 피오렌티나/역대 감독]][[분류:AS 로마/역대 감독]][[분류:AC 밀란/역대 감독]][[분류:데포르티보 라 코루냐/역대 감독]][[분류:볼로냐 FC/역대 감독]][[분류:유벤투스 FC/역대 감독]][[분류:CA 산 로렌소/역대 감독]][[분류:FC 지롱댕 드 보르도/역대 감독]][[분류:UEFA 챔피언스 리그 다회 우승 감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