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로마 집정관/기원전 3세기)] [include(틀:역대 로마 감찰관)] ||||<#800080> {{{#ffffff {{{+3 '''루키우스 코르넬리우스 스키피오 바르바투스''' }}}[br]{{{-1 [[라틴어]]: Lucius Cornelius Scipio Barbatus }}} }}} || ||<#800080> {{{#ffffff '''생몰년도''' }}} ||미상 ~ 미상 || ||<#800080> {{{#ffffff '''출생지''' }}} ||[[로마 공화국]] [[로마]] || ||<#800080> {{{#ffffff '''사망지''' }}} ||[[로마 공화국]] [[로마]] || ||<#800080> {{{#ffffff '''지위''' }}} ||[[파트리키]] || ||<#800080> {{{#ffffff '''국가''' }}} ||[[로마 공화국]] || ||<#800080> {{{#ffffff '''가족''' }}} ||그나이우스 코르넬리우스 스키피오 바르바투스(아버지)[br][[스키피오 아시나]](장남)[br][[루키우스 코르넬리우스 스키피오(기원전 259년 집정관)|루키우스 코르넬리우스 스키피오]](차남) || ||<#800080> {{{#ffffff '''참전''' }}} ||[[삼니움 전쟁]] 등 || ||<#800080> {{{#ffffff '''직업''' }}} ||[[로마 공화국]] 집정관 || ||||<#800080> {{{#ffffff '''로마 공화정 집정관''' }}} || ||<#800080> {{{#ffffff '''임기''' }}} || 기원전 298년 || ||<#800080> {{{#ffffff '''전임''' }}} || [[마르쿠스 풀비우스 파이티누스]][br][[마르쿠스 발레리우스 코르부스]] || ||<#800080> {{{#ffffff '''동기''' }}} || [[그나이우스 풀비우스 막시무스 켄투말루스]] || ||<#800080> {{{#ffffff '''후임''' }}} || [[퀸투스 파비우스 막시무스 룰리아누스]][br][[푸블리우스 데키우스 무스(기원전 312년 집정관)|푸블리우스 데키우스 무스]] || [목차] [clearfix] == 개요 == [[로마 공화국]] [[집정관]], [[감찰관]]. == 생애 == 고대 로마의 대표적인 [[파트리키]] 가문인 [[코르넬리우스]] 씨족 중에서도 강력한 영향력을 행사한 [[스키피오]] 지파의 일원이다. [[파스티 카피톨리니]]에 따르면, 아버지는 그나이우스라는 프라이노멘을 사용했다고 한다. 일부 학자들은 그의 조부는 기원전 350년 집정관 루키우스 코르넬리우스 스키피오이며 증조부는 기원전 395년과 394년에 [[집정 무관]]을 역임한 푸블리우스 코르넬리우스 스키피오라고 주장하지만, 이를 뒷받침하는 증거는 없다. 그의 석관에 따르면, 일찍이 수석 [[조영관]]을 역임했다고 한다. 학자들은 기원전 301년 또는 302년에 맡았을 거라고 추정한다. 기원전 298년 [[그나이우스 풀비우스 막시무스 켄투말루스]]와 함께 집정관에 선임되었다. 이 해에 로마와 [[삼니움]]간의 3번째 전쟁이 발발했다. 그는 삼니움과 연합한 [[에트루리아]] 전선을 맡아 볼라테아에서 적과 맞붙어 상호간에 비슷한 사상자를 냈고, 팔리스코 시 주변의 농경지를 약탈했다. 기원전 297년 집정관 [[퀸투스 파비우스 막시무스 룰리아누스]] 휘하 [[레가투스(로마)|레가투스]](Legatus: 군단장)를 맡았다. [[티페르눔 전투]] 당시 기병대를 이끌고 삼니움족이 매복하고 있는 산지를 거슬러 돌아가서 후방에서 급습했다. 그러자 삼니움인들은 그들이 또다른 집정관의 군대라고 착각하고 달아났다. 기원전 295년에도 룰리아누스 휘하 레가투스로서 에트루리아에서 활동했고, 그 해 말에 룰리아누스가 로마로 돌아갔을 때 카메리눔에 남겨진 군대를 지휘했다. 그러나 세노네스 족이 압도적인 수로 기습해오는 바람에 [[카메리눔 전투]]에서 완패하고 간신히 목숨을 건져 달아났다. 이후 룰리아누스와 합류한 그는 [[센티눔 전투]]에서 전열이 무너질 위기에 몰린 동료 집정관 [[푸블리우스 데키우스 무스(기원전 312년 집정관)|푸블리우스 데키우스 무스]]를 도우라는 룰리아누스의 지시에 따라 상당수의 예비군을 이끌고 그쪽으로 달려가서 아군을 구했다. 기원전 293년 집정관 [[루키우스 파피리우스 쿠르소르(기원전 293년 집정관)|루키우스 파피리우스 쿠르소르]]의 레가투스를 맡았으며 [[아퀼로니아 전투]] 때 좌익 보병대를 지휘했다. 적군이 패퇴하자 보비아눔으로 달려가서 성벽을 돌파했다. 기원전 280년 [[그나이우스 도미티우스 칼비누스 막시무스]]와 함께 감찰관에 올랐다. 두 사람이 시행한 인구조사 결과가 현존하는데, 이에 따르면 로마 시민의 수는 287,222명이었다. 이후의 행적은 전해지지 않는다. 장남 [[스키피오 아시나]]는 기원전 260년과 254년에 집정관을 역임했고, 차남 [[루키우스 코르넬리우스 스키피오(기원전 259년 집정관)|루키우스 코르넬리우스 스키피오]]는 기원전 259년에 집정관을 역임했다. 두 사람 모두 [[제1차 포에니 전쟁]]에서 군공을 세웠다. == 여담 == [[파일:루키우스 코르넬리우스 스키피오 바르바투스의 석관.jpg]] 바티칸 박물관에 보관된 루키우스 코르넬리우스 스키피오 바르바투스의 석관. 그는 [[아피아 가도]] 인근에 세워진 스키피오 가문의 묘지에 마련된 석관에 묻혔다. 유해는 일찌감치 사라졌지만, 석관은 살아남아 바티칸 박물관에 보관되었다. 석관에는 그리스식 양식이 고스란히 반영되었는데, 학자들은 이를 토대로 스키피오 가문이 그의 대부터 그리스 문화에 깊이 감화되었을 가능성이 높다고 추정한다. 석관에 적힌 내용은 다음과 같다. >CORNELIVS·LVCIVS·SCIPIO·BARBATVS·GNAIVOD·PATRE >PROGNATVS·FORTIS·VIR·SAPIENSQVE—QVOIVS·FORMA·VIRTVTEI·PARISVMA >FVIT—CONSOL CENSOR·AIDILIS·QVEI·FVIT·APVD·VOS—TAVRASIA·CISAVNA >SAMNIO·CEPIT—SVBIGIT·OMNE·LOVCANA·OPSIDESQVE·ABDOVCIT > >그나이우스의 아버지 코르넬리우스 루키우스 스키피오 바르바투스 >강하고 지혜로운 조상 >거의 완전한 미덕을 갖추었다. >집정관, 감찰관, 조영관을 역임했으며, >타우라시아, 키사우나, 삼니움을 정복하고 >모든 루카니아를 제압하고 인질을 잡았다. [[분류:로마 공화국 집정관]][[분류:기원전 3세기 집정관]][[분류:로마 공화국 감찰관]][[분류:로마 출신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