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사건사고)] Lufthansa-Flug 540 |||| {{{#fff '''항공사고 요약도'''}}} || || '''발생일''' ||1974년 11월 20일 || || '''유형''' ||조종사 과실, 정비불량 || || '''발생 위치''' ||조모 케냐타 국제공항 || || '''기종''' ||[[보잉 747-100|B747-130]] || || '''항공사''' ||[[루프트한자]] || || '''기체 등록번호''' ||D-ABYB || || '''출발지''' ||서독, [[프랑크푸르트 암마인 국제공항]] || || '''경유지''' ||케냐, [[조모 케냐타 국제공항]] || || '''도착지''' ||남아공, [[요하네스버그 국제공항|얀 스뮈츠 국제공항]] || ||<|2> '''{{{#black 탑승인원}}}''' ||승객: 140명 || ||승무원: 17명 || ||<|2> '''사망자''' ||승객: 55명 || ||승무원: 4명 || ||<|2> '''생존자''' ||승객: 85명 || ||승무원: 13명 || [[파일:d-abyb.jpg|width=100%]] 사고 3개월 전, 프랑크푸르트에서 [목차] [clearfix] == 개요 == [[보잉 747]]의 첫 사망사고. == 사고 진행 == 나이로비에서 이륙한 540편은 이륙 직후, 진동을 느꼈고 기어를 집어넣자마자 실속 경보가 울렸다. 얼마 지나지 않아 잔디밭에 추락하고 왼쪽 날개부터 화재가 발생했다. [[파일:dlh540.jpg|width=500]] == 사고 원인 == 슬랫을 내리지 않고 이륙을 한것이 원인으로 밝혀졌다. 슬랫을 펴지 않아 충분한 양력을 얻지 못했고, 이륙하지 못하였다. 그러나 경고등이 켜지지 않은 사실이 있었고, 정비 불량이 있었다는 결론을 찾아냈다. == 사고 이후 == 조종사들은 해고되었으나 기체 결함 가능성이 있었고, 노동 법원에서 해고를 취소시켰다. 항공 기관사 Hahn은 과실로 기소되었으나 1981년, 무죄선고를 받았다. 시간이 흘러 루프트한자는 [[보잉 747-8]]을 도입할 때 자사와 자회사였던 [[콘도르 항공]]의 [[보잉 747-100]], [[보잉 747-200]]이 쓰던 D-ABY~ 코드를 재사용했는데 사고기의 등록번호인 D-ABYB는 인명사고를 낸, 그것도 보잉 747의 첫 인명사고를 낸 기체라는 타이틀 때문인지 결국 결번처리되었다.[* 아이러니한 것은 [[대한항공 007편 격추 사건]]의 사건기인 HL7442는 과거 콘도르 항공 시절 D-ABYH라는 번호를 썼었는데 이 번호는 D-ABYB와 달리 현재도 쓰이고 있다. 아마도 자사에서 떠난 후에 사고가 난 거라서 신경쓰지 않은 듯 하다.] == 유사사고 == * [[스팬에어 5022편 추락 사고]] * [[노스웨스트 항공 255편 추락사고]] * [[델타 항공 1141편 추락 사고]] [[분류:1974년 항공사고]][[분류:조종사 과실로 인한 항공사고]][[분류:기체 정비 불량으로 인한 항공사고]][[분류:보잉 747/사건 사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