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부산광역시의 대로)] ------ ||<-4> {{{#fff {{{+1 '''르노삼성대로'''}}}[br] 르노三星大路[* 중국어로는 雷諾三星大路라 한다.] | Renault samsung-daero }}} || ||<-4> {{{#!wiki style="margin: -16px -11px" ||[[녹산산업대로|{{{#fff ← 녹산산업대로}}}]] || [[공항로(부산)|{{{#fff 공항로 ↑}}}]]||}}} || ||<#fff> {{{#!html
기 점}}} ||<-2><#2131AA> [[31번 부산광역시도|{{{#!html
31번
부산광역시도
}}}]] ||<#ffffff> [[대저1동|{{{#!html대저1동}}}]] {{{#!html방면}}} →[br][[공항로(부산)|공항로]] || ||<#fff> ← [[신평동(부산)|{{{#!html신평동}}}]] {{{#!html방면}}}[br][[을숙도대로]] ||<-2><#2131AA> [[외부순환도로|{{{#!html
77번
부산광역시도
}}}]] ||<#ffffff> [[우동(부산)|{{{#!html우동}}}]] {{{#!html방면}}} →[br][[녹산산업대로]] || ||<-4> '''{{{#fff 노선 번호}}}''' || ||<-4> '''[[31번 부산광역시도]]'''[br]'''[[외부순환도로|77번 부산광역시도]]''' || ||<-4> '''{{{#fff 기점}}}''' || ||<-4> [[부산광역시]] [[강서구(부산)|강서구]] [[신호동]] [[르노코리아자동차]] 부산공장 || ||<-4> '''{{{#fff 종점}}}''' || ||<-4> [[부산광역시]] [[강서구(부산)|강서구]] [[명지동(부산)|명지동]] 명지IC || ||<-4> '''{{{#fff 연장}}}''' || ||<-4> 7.2km || ||<-4> '''{{{#fff 관리}}}''' || ||<-4> [[부산시설공단|[[파일:부산시설공단 로고.svg|width=120]]]] || ||<-4> '''{{{#fff 왕복 차로 수}}}''' || ||<-4> 7~12차로 || ||<-4> '''{{{#fff 주요 경유지}}}''' || ||<-4> [[르노코리아자동차]] 부산공장 ↔ [[신호대교]] ↔ 명호IC ↔ 명지IC || [목차] [clearfix] == 개요 == [[부산광역시]] [[강서구(부산)|강서구]] [[신호동]] [[르노코리아자동차]] 부산공장에서 출발하여 [[명지동(부산)|명지동]] 명지IC에서 끝나는 도로. [[31번 부산광역시도]]와 [[외부순환도로|77번 부산광역시도]]의 일부이다. == 특징 == '''[[부산광역시]]에서 가장 지대가 낮은 대로'''[* 이는 [[부산광역시]]에서 가장 높고 경사가 심한 [[만덕대로]]와 반대되는 케이스로 르노삼성대로를 지나는 구간 대부분은 저지대에다 바다를 메운 매립지가 포함된 곳이고 심지어 연약지반이기도 하여 지반 침하 현상이 잦다. 화물차가 많이 다니는 강서구를 지나는 다른 대로도 마찬가지겠지만 이 대로가 유독 심한 편이다.]이며 명칭은 도로가 지나가는 곳에 있는 [[르노삼성자동차]][* 2022년 3월자로 [[르노코리아자동차]]로 사명변경.] 부산공장에서 따왔다. 녹산공단, 르노코리아자동차, 오션시티, 명지국제신도시, 신호동이 조성되기 이전에는 차량통행량이 적어서 과속하는 차량을 종종 볼 수 있었으며 도로통제가 매우 쉽다보니 도로를 모두 막고 영화 촬영장소로 이 도로를 사용했었다. 현재는 통행량이 많아서 불가능한 일이 되었다. === 만성적인 [[교통 체증]] === 이른 시간부터 [[교통 체증]]이 일어나는 곳이다. 가까이는 [[명지동(부산)|명지동]]과 [[신호동]]의 출퇴근 인구와 인접한 공단과 멀리는 [[진해구]]의 경제자유구역과 [[부산신항]], 심지어 [[거가대교]] 이용자(...)들이 이동할 수 있는 최단거리 코스다. 더불어 부산 북부 및 김해지역에서 이동하는 인구들이 이용하는 [[낙동남로]][* [[사하구]] [[하단동]] [[낙동강하굿둑]]에서 명지IC를 교차하여 [[강서구(부산)|강서구]] [[송정동(강서구)|송정동]] 북부에 포설된 도로. [[창원시]] [[진해구]] [[용원동]]의 [[진해대로]]와 이어진다.]와 함께 공단으로 진입하는 둘 뿐인 도로이기 때문에 출퇴근 시에는 그야말로 [[헬게이트]]. 거기에 승용, 상용, 소형 화물, 대형 화물 할 것 없이 많은 차량이 이용하는 이유로 도로 손상과 잡물로 인한 피해도 무시할 수 없다. 거기에 신항과 공단 등으로 거주공간 소요 또한 늘어 명지동 동부에 건설되고 있는 대규모 아파트 단지와 그에 따라 매번 고쳐지고 있는 도로 형태와 포장 등 아직까지도 개발되고 있는 부지에 포설된 도로라는 느낌이 물씬 드는 곳이다. 게다가 이 아파트들이 계속 계속 지어지며 국제신도시는 오션시티와 신호를 합한것 보다도 세대수가 많을 것으로 예상되어, 더욱 극심한 교통체증을 제공할 예정, 현재 국제신도시 부근에 지하차도를 건설하였다. 평일에는 업무 및 출퇴근 차량들로, 주말에는 약간은 여유로워지지만 거제도와 인근 지역 연결에 많이 이용되고 있는 중요한 도로이다. 르노삼성대로와 낙동남로 모두 명지IC에서 분기되는 만큼 단순한 레벨에서의 교통 분산 이상은 기대하기 어려운 실정이며, 제대로 된 분산 역할을 담당 할 도로 건설이 필요한 실정이지만 가능성은 거의 없어보인다. 아침 출근시간대(6번 신호등-76호광장)에 한해 용원행은 1차로 늘고 하단방향은 1차로 줄었다. 이덕에 '''그나마'''[* 절대 원활하다는 뜻이 아님.] 나아졌다. 참고로 용원행은 5차로, 하단행은 2차로가 되었다. 반대로 2018년 6월에 확인한 바로는 퇴근시간대에 한하여 용원행은 1차로를 줄인다. 평시나 퇴근시간때에는 운용되지 않고 오직 출퇴근시간대에만 운용하니 참고하자. == 구간 == == 대중교통 == === 버스 === == 여담 == 해당 도로명과 연관된 [[르노삼성자동차]]가 사명을 [[르노코리아자동차]]로 바꾸었기 때문에 [[이름과 실제가 다른 것/교통|도로명과 실제 시설이 불일치하는 사례]]로 남게 되었다. [[분류:부산광역시의 대로]][[분류:강서구(부산)의 도로]][[분류:외부순환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