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역대 대회)] ||<-5> [[파일: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휘장 화이트.svg|width=25]]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white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 || [[리그 오브 레전드 2020 월드 챔피언십|리그 오브 레전드 2020[br]월드 챔피언십]] || → || {{{#C1A359 '''리그 오브 레전드 2021[br]월드 챔피언십'''}}} || → || [[리그 오브 레전드 2022 월드 챔피언십|리그 오브 레전드 2022[br]월드 챔피언십]] || ||<-5> '''{{{#white 리그 오브 레전드 2021 월드 챔피언십 우승 팀}}}''' || || [[DWG KIA/리그 오브 레전드|DAMWON Gaming]] || → || [[파일:Edward Gaming 로고 2017.svg|width=25]] '''[[Edward Gaming/리그 오브 레전드|Edward Gaming]]''' || → || [[DRX/리그 오브 레전드|DRX]] || ||<-5> '''{{{#white 리그 오브 레전드 2021 월드 챔피언십 결승 MVP}}}''' || || [[김건부]][br](DWG Canyon) || → || '''[[이예찬]]'''[br](EDG Scout) || → || [[황성훈]][br](DRX Kingen) || [[파일:2021 Worlds 우승 EDG.jpg|width=100%]] [[파일:Worlds 2021.jpg|width=100%]] ||<-3>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padding: 8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fff,#191919"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파일:Worlds2021.png|height=120]]]]}}} || ||<-3> {{{+1 '''{{{#C1A359 '''리그 오브 레전드 2021 월드 챔피언십'''}}}'''}}} || || {{{#white '''대회 기간'''}}} ||<-2> [[2021년]] [[10월 5일]] ~ [[11월 6일]] || || {{{#white '''주최'''}}} ||<-2><|2> [[라이엇 게임즈]] || || {{{#white '''주관'''}}} || || {{{#white '''개최지'''}}} ||<-2> [include(틀:국기, 국명=아이슬란드)][* 변경 관련 내용 하단 참고.] || || {{{#white '''조 추첨식'''}}} ||<-2> 2021년 [[9월 22일]] 21시 ([[KST]]) || || {{{#white '''참가팀'''}}} ||<-2> 22개 팀[* 본래 24개 팀이었으나 작년에 이어 VCS가 불참함에 따라 2장을 소멸, 22개 팀이 되었다.] || || {{{#white '''패치 버전'''}}} ||<-2> 11.19[* 글로벌 밴: [[아크샨]], [[벡스(리그 오브 레전드)|벡스]]] || ||<-3> {{{#white '''경기장'''}}} || ||<-3> [[레이캬비크]] [[뢰이가르달스회들 실내 스포츠 경기장]][* [[코로나19]] 전염 방지를 위해 플레이-인 스테이지부터 결승전까지 단일 경기장에서만 진행. [[2021 MSI]]는 B홀에서 열렸는데, 이번 월즈는 A홀에서 열린다.] || ||<-3> {{{#white '''중계''' }}} || ||<-3><^|1>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4> {{{#white '''중계 플랫폼'''}}} ||<-2> {{{-3 {{{#C1A359 '''TV'''}}} }}} || ||<-2> [[AfreecaTV(채널)|아프리카TV]] || ||<-2> {{{-3 {{{#C1A359 '''온라인'''}}} }}} || ||<-2> [[https://watch.lolesports.com/live| [[파일:LoL e스포츠 아이콘.png|width=22]]]] [[https://www.twitch.tv/lck_korea| [[파일:트위치 아이콘.svg|width=20]]]] [[http://afreecatv.com/aflol| [[파일:아프리카TV 아이콘.svg|width=20]]]] [[https://game.naver.com/esports| [[파일:네이버TV 아이콘.svg|width=20]]]] || ||<|10> {{{#white '''중계진'''}}} ||<-2> {{{-3 {{{#C1A359 '''캐스터'''}}}}}} || ||<-2> [[전용준]], [[성승헌]] || ||<-2> {{{-3 {{{#C1A359 '''해설자'''}}} }}} || ||<-2> [[이현우(게임 해설가)|이현우]], [[김동준(게임 해설가)|김동준]], [[강승현(게임 해설가)|강승현]], [[강범현]], [[김배인]] || ||<-2> {{{#C1A359 {{{-3 '''분석 데스크'''}}}}}} || ||<-2> [[이정현(아나운서)|이정현]], [[윤수빈]] || ||<-2> {{{#C1A359 {{{-3 '''현지 통역 및 인터뷰어'''}}}}}} || ||<-2> [[박지선(통역사)|박지선]] || }}}}}}}}} || ||<-3> {{{#white '''일정''' }}} || ||<-3><^|1>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4> [[리그 오브 레전드 2021 월드 챔피언십/플레이-인 스테이지|{{{#white '''플레이-인[br]스테이지'''}}}]] ||<-2> [[리그 오브 레전드 2021 월드 챔피언십/플레이-인 스테이지/그룹|{{{-3 {{{#C1A359 '''그룹'''}}} }}}]] || ||<-2> [[10월 5일]] ~ [[10월 7일]] || ||<-2> [[리그 오브 레전드 2021 월드 챔피언십/플레이-인 스테이지/녹아웃|{{{-3 {{{#C1A359 '''녹아웃'''}}} }}}]] || ||<-2> [[10월 8일]] ~ [[10월 9일]] || ||<|4> [[리그 오브 레전드 2021 월드 챔피언십/그룹 스테이지|{{{#white '''그룹[br]스테이지'''}}}]] ||<-2> {{{-3 {{{#C1A359 '''1라운드'''}}} }}} || ||<-2> [[10월 11일]] ~ [[10월 13일]] || ||<-2> {{{-3 {{{#C1A359 '''2라운드'''}}} }}} || ||<-2> [[10월 15일]] ~ [[10월 18일]] || ||<|4> [[틀:리그 오브 레전드 2021 월드 챔피언십/녹아웃 스테이지|{{{#white '''녹아웃[br]스테이지'''}}}]] ||<-2> [[리그 오브 레전드 2021 월드 챔피언십/8강|{{{-3 {{{#C1A359 '''8강'''}}} }}}]] || ||<-2> [[10월 22일]] ~ [[10월 25일]] || ||<-2> [[리그 오브 레전드 2021 월드 챔피언십/4강|{{{-3 {{{#C1A359 '''4강'''}}} }}}]] || ||<-2> [[10월 30일]] ~ [[10월 31일]] || ||<-2> [[리그 오브 레전드 2021 월드 챔피언십/결승|{{{-3 {{{#white '''결승'''}}} }}}]] || ||<-2> [[11월 6일]] || }}}}}}}}} || ||<-3> {{{#white '''결과''' }}} || ||<-3><^|1>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1 {{{#white '''우승'''}}} }}} ||<-2> [[Edward Gaming/리그 오브 레전드|'''{{{+2 Edward Gaming}}}''']] || || {{{#white '''준우승'''}}} ||<-2> [[DWG KIA/리그 오브 레전드|'''DWG KIA''']] || || {{{#white '''결승 MVP'''}}} ||<-2> '''[[이예찬]](EDG Scout)''' || }}}}}}}}} || [목차] [clearfix] == 개요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B7NYM-uITsg)]}}}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cXct1HhLkus)]}}} || || {{{#fff '''MAKE/BREAK'''}}} || {{{#fff '''Moments & Memories | Worlds 2021 최고의 순간들'''}}} || [[2021년]] [[10월 5일]]부터 [[11월 6일]]까지 [[아이슬란드]] [[레이캬비크]]에서 개최된 제11회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 [[/선발전|대표 선발전]]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리그 오브 레전드 2021 월드 챔피언십/선발전)] == 참가팀 == 2021년 3월, [[https://lolesports.com/article/2021-msi-%EC%A1%B0-%EC%B6%94%EC%B2%A8%EA%B3%BC-%EC%83%88%EB%A1%9C%EC%9A%B4-%ED%8A%B9%EC%A0%84/blt450afe72f20bc830|라이엇 측]]에서 '''"[[2021 Mid-Season Invitational|MSI]] 우승 리그에 추가 시드권을 1장 배분하고, 나머지 리그들은 MSI 종료 이후에 파워 랭킹 계산을 종합적으로 한 이후 남은 1장의 추가 시드권 배분을 산정한다. 파워 랭킹 1위 지역이 MSI에서 우승했을 경우, 파워 랭킹 2위 지역에게 추가 시드가 주어진다."'''라고 밝혔다. 그 결과, MSI에서 우승한 리그인 LPL과, LPL을 제외한 리그 중 파워 랭킹이 가장 높은 LCK, 두 리그가 4장의 시드권을 배분받게 되었다. * '''그룹 스테이지 진출팀''': LCK, LPL, LEC[* 원래는 LCS처럼 LEC 3시드 팀도 플레이-인에서 시작할 예정이었지만, 작년에 이어 VCS 2팀이 불참하게 되면서 LEC 3시드도 그룹 스테이지에서 시작하게 되었다.] 1~3시드팀 + LCS 1·2시드팀 + PCS 1시드팀 = 12팀 * '''플레이-인 스테이지 진출팀''': LPL, LCK 4시드팀 + LCS 3시드팀 + PCS 2시드팀 + 나머지 6리그의 1시드팀 = 10팀 전년도 월즈와 비교했을 때, LPL에 2번 풀 2개를 배정했던 것과 달리 3번 시드를 다시 3번 풀로 배정하였고, LCS의 1번 시드가 2번 풀로, PCS의 1번 시드가 1번 풀로 배정되었다. 최근 LCS의 성적이 영 좋지 않고[* 2019 월즈 그룹 스테이지 탈락, 2020 월즈 그룹 스테이지 탈락, 2021 MSI 럼블 스테이지 탈락. 2019 MSI 이후 한 번도 국제 대회 토너먼트 진출을 하지 못했으며 2020 월즈에서는 TSM이 최초 1시드 전패라는 기록을 세웠다.] 이번 년도 MSI에서 PSG가 4강까지 진출한 성적을 고려한 것으로 보인다. ##팀 로고는 LoL Esports 공식 SNS에 업로드된 로고로 수정해주세요. ||<-3>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파일: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휘장 화이트.svg|width=28]]]] '''{{{#white 그룹 스테이지 진출팀}}}''' || || '''그룹 스테이지 풀 1''' || '''그룹 스테이지 풀 2''' || '''그룹 스테이지 풀 3''' || ||<-3> [[League of Legends Champions Korea|[[파일:LCK 심볼 화이트.svg|width=40]]]] [[League of Legends Champions Korea|{{{#white '''LCK'''}}}]] || || [[DWG KIA/리그 오브 레전드|[[파일:DWG KIA 엠블럼.svg|height=100]]]] || [[Gen.G Esports/리그 오브 레전드|[[파일:Gen.G 로고.svg|height=100&theme=light]][[파일:Gen.G 로고 화이트 골드.svg|height=100&theme=dark]]]] || [[T1/리그 오브 레전드|[[파일:T1 LoL 로고.svg|width=100]]]] || || '''[[DWG KIA/리그 오브 레전드|DWG KIA]]''' || '''[[Gen.G Esports/리그 오브 레전드|Gen.G]]''' || '''[[T1/리그 오브 레전드|T1]]''' || ||<-3> [[League of Legends Pro League|[[파일:LPL_2020_white_notext.png|width=40]]]] [[League of Legends Pro League|{{{#white '''LPL'''}}}]] || || [[Edward Gaming/리그 오브 레전드|[[파일:Edward Gaming 로고 2017.svg|width=100]]]] || [[FPX/리그 오브 레전드|[[파일:FPX 로고 2021.svg|width=100]]]] || [[Royal Never Give Up/리그 오브 레전드|[[파일:RNG 로고 2017.svg|width=100]]]] || || '''[[Edward Gaming/리그 오브 레전드|Edward Gaming]]''' || '''[[FPX/리그 오브 레전드|FunPlus Phoenix]]''' || '''[[Royal Never Give Up/리그 오브 레전드|Royal Never[br]Give Up]]''' || ||<-3> [[League of Legends European Championship|[[파일:lec 심볼.svg|height=32]]]] [[League of Legends European Championship|{{{#000 '''LEC'''}}}]] || || [[MAD Lions/리그 오브 레전드|[[파일:MAD_Logo_2021_Worlds.png|width=100]]]] || [[Fnatic/리그 오브 레전드|[[파일:Fnatic 로고.svg|width=100]]]] || [[Rogue/리그 오브 레전드|[[파일:Rogue 로고.svg|height=100]]]] || || '''[[MAD Lions/리그 오브 레전드|MAD Lions]]''' || '''[[Fnatic/리그 오브 레전드|Fnatic]]''' || '''[[Rogue/리그 오브 레전드|Rogue]]''' || || [[Pacific Championship Series|[[파일:PCS_white.png|width=32]]]] [[Pacific Championship Series|{{{#white '''PCS'''}}}]] ||<-2> [[League of Legends Championship Series|[[파일:LCS 심볼_Black.svg|width=18]]]] [[League of Legends Championship Series|{{{#000 '''LCS'''}}}]] || || [[PSG Talon|[[파일:PSG Talon 로고(2020-2021).svg|width=100]]]] || [[100 Thieves/리그 오브 레전드|[[파일:100 Thieves 로고.svg|width=100&theme=light]][[파일:100 Thieves 로고 white.svg|width=100&theme=dark]]]] || [[Team Liquid/리그 오브 레전드|[[파일:TL_Logo_2021_Worlds.png|width=100]]]] || || '''[[PSG Talon]]''' || '''[[100 Thieves/리그 오브 레전드|100 Thieves]]''' || '''[[Team Liquid/리그 오브 레전드|Team Liquid]]''' || ||<-5>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파일: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휘장 화이트.svg|width=28]]]] '''{{{#white 플레이-인 스테이지 진출팀}}}''' || ||<-2> '''플레이-인 스테이지 풀 1''' ||<-3> '''플레이-인 스테이지 풀 2''' || || [[League of Legends Champions Korea|[[파일:LCK 심볼 화이트.svg|width=40]]]] [[League of Legends Champions Korea|{{{#white '''LCK'''}}}]] || [[League of Legends Pro League|[[파일:LPL_2020_white_notext.png|width=40]]]] [[League of Legends Pro League|{{{#white '''LPL'''}}}]] || [[League of Legends Continental League|[[파일:LCL2020_logo.png|width=32]]]] [[League of Legends Continental League|{{{#000f11 '''LCL'''}}}]] || [[Latin America League|[[파일:LLA_2020.png|width=32]]]] [[Latin America League|{{{#000 '''LLA'''}}}]] || [[Turkish Championship League|[[파일:TCL_white.png|width=32]]]] [[Turkish Championship League|{{{#white '''TCL'''}}}]] || || [[한화생명e스포츠/리그 오브 레전드|[[파일:한화생명e스포츠 로고.svg|width=100&theme=light]][[파일:한화생명e스포츠 로고 화이트 (텍스트).svg|width=100&theme=dark]]]] || [[LNG Esports/리그 오브 레전드|[[파일:LNG Esports 로고 2019.svg|width=100]]]] || [[Unicorns of Love/리그 오브 레전드|[[파일:UOL_Logo_2021_Worlds.png|width=100]]]] || [[Infinity Esports/리그 오브 레전드|[[파일:INF_Logo_2021_Worlds.png|width=100]]]] || [[Galatasaray Esports|[[파일:GS_Logo_2021_Worlds.png|height=100]]]] || || '''[[한화생명e스포츠/리그 오브 레전드|Hanwha Life[br]Esports]]''' || '''[[LNG Esports/리그 오브 레전드|LNG Esports]]''' || '''[[Unicorns of Love/리그 오브 레전드|Unicorns of Love]]''' || '''[[INFINITY(프로게임단)/리그 오브 레전드|INFINITY]]''' || '''[[Galatasaray Esports|Galatasaray Espor]]''' || || [[League of Legends Championship Series|[[파일:LCS 심볼_Black.svg|width=18]]]] [[League of Legends Championship Series|{{{#000 '''LCS'''}}}]] || [[Pacific Championship Series|[[파일:PCS_white.png|width=32]]]] [[Pacific Championship Series|{{{#white '''PCS'''}}}]] || [[Circuit Brazilian League of Legends|[[파일:CBLOL_white_2021.png|height=32]]]] [[Circuit Brazilian League of Legends|{{{#white '''CBLOL'''}}}]] || [[League of Legends Japan League|[[파일:LJL_2020_white.png|width=32]]]] [[League of Legends Japan League|{{{#white '''LJL'''}}}]] || [[The DoorDash League of Legends Circuit Oceania|[[파일:LCO_white.png|width=32]]]] [[The DoorDash League of Legends Circuit Oceania|{{{#white '''LCO'''}}}]] || || [[Cloud9/리그 오브 레전드|[[파일:Cloud9 아이콘.svg|width=100]]]] || [[Mega Bank Beyond Gaming|[[파일:Beyond_Gaminglogo.png|width=100&theme=light]][[파일:Beyond_Gaminglogo_white.png|width=100&theme=dark]]]] || [[RED Kalunga|[[파일:RED_Logo_2021_Worlds.png|width=100]]]] || [[DetonatioN FocusMe|[[파일:DFM 로고 (2016-2022).svg|width=100&theme=light]][[파일:DFM 로고 (2016-2022) 화이트.svg|width=100&theme=dark]]]] || [[PEACE(프로게임단)|[[파일:PCE_Logo_2021_Worlds.png|width=100]]]] || || '''[[Cloud9/리그 오브 레전드|Cloud9]]''' || '''[[Mega Bank Beyond Gaming|Beyond Gaming]]''' || '''[[RED Kalunga]]''' || '''[[DetonatioN FocusMe/리그 오브 레전드|DetonatioN[br]FocusMe]]''' || '''[[PEACE(프로게임단)|PEACE]]''' || * 4대 리그의 월드 챔피언십 참가팀 중 최다 출전팀 * LCK - [[Gen.G Esports/리그 오브 레전드|Gen.G]](7회 출전)[* 2013~2014, 2016~2018, 2020~2021] * LPL - [[Edward Gaming/리그 오브 레전드|Edward Gaming]](6회 출전)[* 2014~2018, 2021] * LEC - [[Fnatic/리그 오브 레전드|Fnatic]](9회 출전)[* 2012, 2016을 제외한 모든 대회] * LCS - [[Cloud9/리그 오브 레전드|Cloud9]](8회 출전)[* 2011~2012, 2020을 제외한 모든 대회] * 4대 리그의 월드 챔피언십 참가팀 중 최다 연속 출전팀 * LCK - [[DWG KIA/리그 오브 레전드|DWG KIA]](3년 연속 출전) * LPL - 없음[* 작년에 진출했던 TES, JDG, SN, LGD가 선발전도 못 가게 되면서 연속 출전 팀이 없어졌다. 2020 월드 챔피언십에도 2019년 참가팀인 FPX, RNG, IG가 모두 참여하지 못했었는데 2년 연속으로 기록이 이어졌다.] * LEC - [[Fnatic/리그 오브 레전드|Fnatic]](5년 연속 출전) * LCS - [[Team Liquid/리그 오브 레전드|Team Liquid]](4년 연속 출전) * 4대 리그의 월드 챔피언십 참가팀 중 최다 우승팀 * LCK - [[T1/리그 오브 레전드|T1]](3회 우승)[* 2013, 2015~2016] * LPL - [[FPX/리그 오브 레전드|FPX]](1회 우승)[* 2019] * LEC - [[Fnatic/리그 오브 레전드|Fnatic]](1회 우승)[* 2011] * LCS - 없음 * 4대 리그의 월드 챔피언십 첫 출전팀 * LCK - 없음[* LCK 10개 팀 중 월즈 출전 경력이 없는 팀은 농심과 샌드박스 2팀뿐이고, 이들은 전부 선발전에서 탈락했다. 한화생명e스포츠는 한화생명의 팀 인수 이후 현재의 팀으로 재창단한 이후론 첫 진출이지만, 2차례 월즈에 진출한 ROX Tigers의 역사를 계승하기에 첫 출전팀이 아니다. 참고로 한화생명은 17 WE, 20 LGD와 함께 5년이라는 최장 기간 공백기를 갖고 월즈에 컴백한 팀이다.] * LPL - [[LNG Esports/리그 오브 레전드|LNG Esports]][* 2021 월드 챔피언십에 참여한 4대 리그의 유일한 첫 출전팀이다.] * LEC - 없음[* 애초에 다른 4대 리그와는 달리 LEC 참가팀 중에서 Excel Esports 한 팀만 있기에 첫 출전팀의 탄생 가능성이 상당히 희박하다. 다만 2022 시즌부터 샬케의 시드권 매각으로 LCK와 마찬가지로 월즈 미참가팀이 2팀이 된다.] * LCS - 없음[* 위의 LEC와 마찬가지로 LCS 역사상 월즈 진출이 단 한 번도 없는 팀은 Golden Guardians 한 팀뿐이다. Dignitas는 인수 이후 월즈 진출이 아직 없지만, 전신이었던 Clutch Gaming의 계보를 계승하기 때문에 월즈 진출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 리그별 진출 현황 #=== * LCK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 2021 월드 챔피언십 LCK 진출팀)] * 8월 14일, LCK 팀 '''DWG KIA'''가 Liiv SANDBOX를 정규 시즌 2R에서 제압하면서 최소 선발전 결승 자리를 확보하는 포인트를 달성, 전세계에서 두 번째로 월드 챔피언십 진출을 확정지었다. * 8월 21일, LCK 팀 DWG KIA가 플레이오프 준결승전에서 NongShim REDFORCE를 상대로 3:0 승리를 거두면서 '''Gen.G'''가 최소 선발전 결승 자리를 확보하는 포인트를 달성, 전세계에서 여섯 번째로 월드 챔피언십 진출을 확정지었다. * 8월 22일, LCK 팀 '''T1'''이 플레이오프 준결승전에서 Gen.G를 상대로 3:1 승리를 거두면서 서머 결승전 진출 및 최소 선발전 결승 자리를 확보하는 포인트를 달성, 전세계에서 일곱 번째로 월드 챔피언십 진출을 확정지었다. * 9월 1일, LCK 팀 '''Hanwha Life Esports'''가 월드 챔피언십 선발전 2라운드에서 NongShim REDFORCE를 상대로 3:0 승리를 거두면서 전세계에서 열여섯 번째이자 LCK의 마지막 남은 한 자리의 월드 챔피언십 진출을 확정지었다. * LPL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 2021 월드 챔피언십 LPL 진출팀)] * 8월 27일, LPL의 플레이오프 준결승 승자전에서 '''FunPlus Phoenix'''가 Team WE를 3:0으로 제압하면서 결승 진출 및 최소 2시드를 확보하며 LPL에서 첫 번째로, 그리고 전세계에서 열 번째로 월드 챔피언십 진출을 확정지었다. * 8월 29일, LPL의 플레이오프 준결승 최종전에서 '''Edward Gaming'''이 Team WE를 3:0으로 제압하면서 마찬가지로 결승 진출 및 최소 2시드를 확보하며 LPL에서 두 번째로, 그리고 전세계에서 열네 번째로 월드 챔피언십 진출을 확정지었다. * 9월 3일, LPL의 월드 챔피언십 선발전 승자전에서 '''Royal Never Give Up'''이 Team WE를 3:0으로 제압하면서 LPL에서 세 번째로, 그리고 전세계에서 열일곱 번째로 월드 챔피언십 진출을 확정지었다. * 9월 5일, LPL의 월드 챔피언십 선발전 최종전에서 '''LNG Esports'''가 Team WE를 3:1로 제압하면서 전세계에서 스물두 번째이자, 마지막으로 월드 챔피언십 진출을 확정지었다. ~~어째 제압당한게 다 동일한 팀이다~~ * LEC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 2021 월드 챔피언십 LEC 진출팀)] * 8월 14일, LEC의 플레이오프 1라운드 승자조에서 '''Rogue'''가 Misfits Gaming을 혈전끝에 3:2로 제압하면서 준결승전 진출 및 최소 3위 자리를 확보, 전세계에서 최초로 월드 챔피언십 진출을 확정지었다. * 8월 15일, LEC의 플레이오프 1라운드 승자조에서 '''MAD Lions'''가 G2 Esports를 3:1로 제압하면서 로그와 마찬가지로 준결승전 진출 및 최소 3위 자리를 확보, 전세계에서 세 번째로 월드 챔피언십 진출을 확정지었다. * 8월 23일, LEC의 플레이오프 3라운드에서 '''Fnatic'''이 G2 Esports를 상대로 3:2 승리를 거두면서 최소 3위 자리를 확보, 전 세계에서 여덟 번째이자 LEC의 마지막 남은 한 자리의 월드 챔피언십 진출을 확정지었다. * LCS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 2021 월드 챔피언십 LCS 진출팀)] * 8월 15일, LCS 팀 '''100 Thieves'''가 챔피언십 2라운드 승자조에서 Evil Geniuses를 접전 끝에 3:2로 신승을 거두면서 준결승전 진출 및 최소 3위 자리를 확보, 전세계에서 네 번째 월드 챔피언십 진출을 확정지었다. * 8월 16일, LCS 팀 '''Team Liquid'''가 챔피언십 2라운드 승자조에서 TSM을 상대로 3:1 승리를 거두면서 준결승전 진출 및 최소 3위 자리를 확보, 전세계에서 다섯 번째 월드 챔피언십 진출을 확정지었다. * 8월 23일, LCS 팀 '''Cloud9'''이 챔피언십 3라운드에서 TSM을 상대로 3:2 승리를 거두면서 최소 3위 자리를 확보, 전 세계에서 아홉 번째이자 LCS의 마지막 남은 한 자리의 월드 챔피언십 진출을 확정지었다.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 2021 월드 챔피언십 마이너 리그 진출팀)] * PCS * 8월 27일, PCS 팀 '''Beyond Gaming'''이 플레이오프 4라운드 승자전에서 PSG Talon을 상대로 3:2 승리를 거두면서 결승전에 진출, 전세계에서 열한 번째로 월드 챔피언십 진출을 확정지었다. * 8월 28일, PCS 팀 '''PSG Talon'''이 플레이오프 4라운드 최종전에서 J Team을 상대로 3:0 승리를 거두면서 결승전에 진출, 전세계에서 열두 번째이자 PCS의 마지막 남은 한 자리의 월드 챔피언십 진출을 확정지었다. * LLA * 8월 29일, LLA 팀 '''INFINITY'''가 결승전에서 Estral Esports를 상대로 3:2 승리를 거두고 우승하면서, 전세계에서 열세 번째로 월드 챔피언십 진출을 확정지었다. * LCO * 8월 31일, LCO 팀 '''PEACE'''가 결승전에서 Pentanet.GG를 상대로 3:0 승리를 거두고 우승하면서, 전세계에서 열다섯 번째로 월드 챔피언십 진출을 확정지었다. * TCL * 9월 5일, TCL 팀 '''Galatasaray Espor'''가 결승전에서 NASR ESPORTS를 상대로 3:0 승리를 거두고 우승하면서, 전세계에서 열여덟 번째로 월드 챔피언십 진출을 확정지었다. * LCL * 9월 5일, LCL 팀 '''Unicorns of Love'''가 결승전에서 CrowCrowd를 상대로 3:2 승리를 거두고 우승하면서, 전세계에서 열아홉 번째로 월드 챔피언십 진출을 확정지었다. * CBLOL * 9월 5일, CBLOL 팀 '''RED Kalunga'''가 결승전에서 RENSGA를 상대로 3:1 승리를 거두고 우승하면서, 전세계에서 스무 번째로 월드 챔피언십 진출을 확정지었다. * LJL * 9월 5일, LJL 팀 '''DetonatioN FocusMe'''가 결승전에서 Rascal Jester을 상대로 3:0 승리를 거두고 우승하면서, 전세계에서 스물한 번째로 월드 챔피언십 진출을 확정지었다. * VCS * 9월 9일, 더욱 심각해진 현지 코로나19 상황으로 인해 지난 월즈와 올해 MSI 불참에 이어 이번 월드 챔피언십까지 불참하는 것이 확정되었다. 다만, 9월 16일 오전 보도에 따르면 GAM이 월즈 출전을 위해 끝까지 노력할 것이라고 밝히며 라이엇의 협조를 요청했다.[* 참고로 VCS는 2021 서머 시즌 자체를 진행하지 못했고 바로 최근 대회인 2021 스프링 시즌의 우승은 기가 바이트 마린즈로 잘 알려진 '''GAM Esports'''가, 준우승은 퐁부 버팔로로 잘 알려진 '''Saigon Buffalo'''가 차지했다. 일정이 촉박해졌기 때문에 가능성은 매우 희박하지만 만일 VCS 참가 불발이 번복될 경우 이 두 팀이 참가할 가능성이 높다.] 그러나 9월 22일까지 특별한 변동 소식 없이 결국 VCS를 제외한 모든 조편성까지 완료되면서 VCS는 불참이 확정되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1'''[br][[Rogue/리그 오브 레전드|[[파일:RGEWORLDS2021.png|height=2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2'''[br][[DWG KIA/리그 오브 레전드|[[파일:DKWORLDS2021.jpg|height=2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3'''[br][[MAD Lions/리그 오브 레전드|[[파일:MADWORLDS2021.jpg|height=2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4'''[br][[100 Thieves/리그 오브 레전드|[[파일:100WORLDS2021.png|height=200]]]]}}} || || {{{#!wiki style="margin: -5px -10px" '''5'''[br][[Team Liquid/리그 오브 레전드|[[파일:TLWORLDS2021.jpg|height=2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6'''[br][[Gen.G Esports/리그 오브 레전드|[[파일:GENWORLDS2021.jpg|height=2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7'''[br][[T1/리그 오브 레전드|[[파일:T1WORLDS2021.png|height=2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8'''[br][[Fnatic/리그 오브 레전드|[[파일:FNCWORLDS2021.jpg|height=200]]]]}}} || || {{{#!wiki style="margin: -5px -10px" '''9'''[br][[Cloud9/리그 오브 레전드|[[파일:C9WORLDS2021.png|height=2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10'''[br][[FPX/리그 오브 레전드|[[파일:FPXWORLDS2021.jpg|height=2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11'''[br][[Beyond Gaming|[[파일:BYGWORLDS2021.png|height=2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12'''[br][[PSG Talon|[[파일:PSGWORLDS2021.png|height=200]]]]}}} || || {{{#!wiki style="margin: -5px -10px" '''13'''[br][[INFINITY(프로게임단)/리그 오브 레전드|[[파일:INFWORLDS2021.png|height=2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14'''[br][[Edward Gaming Hycan|[[파일:EDGWORLDS2021.png|height=2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15'''[br][[PEACE(프로게임단)|[[파일:PCEWORLDS2021.jpg|height=2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16'''[br][[한화생명e스포츠/리그 오브 레전드|[[파일:HLEWORLDS2021.jpg|height=200]]]]}}} || || {{{#!wiki style="margin: -5px -10px" '''17'''[br][[Royal Never Give Up/리그 오브 레전드|[[파일:RNGWORLDS2021.jpg|height=2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18'''[br][[GAM Esports|[[파일:GSWORLDS2021.jpg|height=2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19'''[br][[Unicorns of Love/리그 오브 레전드|[[파일:UOLWORLDS2021.jpg|height=2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20'''[br][[RED Canids/리그 오브 레전드|[[파일:REDWORLDS2021.jpg|height=200]]]]}}} || || {{{#!wiki style="margin: -5px -10px" '''21'''[br][[DetonatioN FocusMe/리그 오브 레전드|[[파일:DFMWORLDS2021.png|height=2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22'''[br][[LNG Esports/리그 오브 레전드|[[파일:LNGWORLDS2021.jpg|height=200]]]]}}} ||<-2><#000> [[리그 오브 레전드 2021 월드 챔피언십|[[파일:Worlds2021.png|width=300]]]] || ===# 추첨 풀별 현황 #=== * 풀 1 - '''DK - EDG - MAD - PSG''' 디펜딩 챔피언 담원이 우승을 거두면서 LCK 1시드를 차지하고, MAD 역시 통합 우승을 거두면서 1번 시드를 차지한 가운데 LPL에서는 FPX가 우승할 것이라는 예상을 깨고 EDG가 1번 시드를 차지했다. 또한 MSI에서 PSG의 선전으로 북미를 제치고 PCS가 톱시드를 차지하는 데에 성공했다.[* 이는 시사하는 바가 의외로 크다. 만약 이번 월드 챔피언십에서 LCS보다 PCS가 더 좋은 성적을 거둔다면, 메이저 4대 리그는 메이저 5대 리그, 혹은 LCS 자리를 PCS가 대체하는 형태로 바뀔 여지가 충분하다.] 톱시드답게 4팀 모두 굉장한 모습을 보여주지만 EDG는 월드 챔피언십만 오면 잔혹사를 쓰는 안 좋은 징크스가 있어서 이 부분을 극복해낼지가 관건. 하지만 징크스와 별개로 메이저 챔피언 3인방보다는 마이너 리그 소속에다가 플레이오프에서 정규시즌의 기세를 잃고 폼이 떨어진 PSG가 상대적으로 타 팀들에게 제일 선호될 1시드 팀으로 예측된다. * 풀 2 - '''GEN - FPX - FNC - 100''' T1에게 패배하고 내부 사정까지 겹치며 잡음이 일어난 젠지, 도장 깨기는 성공했으나 MAD에게 지면서 라인전의 약점을 고스란히 보여준 프나틱, 그리고 여전한 LCS의 100까지 네임밸류만 보면 오히려 3시드보다도 약해보일수도 있는 2번 풀이었으나 '''우승후보 FPX가 2시드로 떨어진 후 단번에 FPX 폭탄 피하기로 급변했다.''' 1시드에 그렇게 약해보이는 팀이 없어보이는 가운데 3시드 팀들은 웬만한 1시드보다 더 까다롭다는 평을 받는 FPX를 무조건 피해야 전망이 밝다.[* 물론 이건 1시드 팀도 포함이다. 담원과 엮여도 두 팀이 상위 라운드에 올라갈 확률이 높지만 이러면 서로 간의 매치가 무지막지하게 부담되고 MAD나 PSG가 잡히면 그 조 한정으로는 사실상 1시드와 2시드의 위상이 뒤바뀐 것처럼 그룹 스테이지가 진행될 공산이 크다. 여기에 만에 하나 2시드 자리의 FPX도 고난인데 3시드 자리에 3시드 이상의 경기력으로 평가받는 T1이 들어온다면 2019 월드 챔피언십 C조에 버금가는 죽음의 조 확정이다. 그저 RNG는 같은 조가 되지 않는다는 것을 불행 중 다행으로 여겨야 할 따름.] 2시드 중에서는 FPX가 가장 강하고 다음이 젠지로 다전제에서의 실망스러운 성적과 별개로 단판제에서의 강력함은 여러 번 보여준 부분은 고려해야 한다. 프나틱 역시 8강 단골로 LCS의 1시드인 100이 오히려 가장 약하다고 보는 것이 중론. * 풀 3 - '''T1 - RNG - RGE - TL''' 3시드로 갔지만 서머 후반으로 갈수록 저력을 보여준 덕택에 3시드 이상의 경기력을 보이는 T1과 '''스프링과 MSI 우승팀인 RNG가 1, 2번 시드도 아닌 3번 시드로''' 내려오게 되면서 이 역시 FPX와 비슷하게 ''''T1, RNG 폭탄 피하기'로 변했다.''' 다른 시드 팀들은 추첨에 따라 각각 서머 준우승팀과 스프링 우승&MSI 우승팀을 상대하게 되고, 여기에 T1이 3시드로 들어올 경우 2시드 FPX도 같은 조에 들어가는 골치 아픈 일이 일어날 수 있다.[* 상술했듯이 이렇게 되면 1시드 자리에 MAD나 PSG가 올라오는데 이는 1시드들 입장에서 여간 까다로운 일이 아니다.] 다만 T1이나 RNG와 달리 LCS 2시드인 TL은 작년보다 약해졌다는 평이 중론이고, LEC 3시드인 로그는 다전제 동안 총체적 난국을 보여주어서 TL보다도 약하다는 평을 받고 있는 중이다. * 플레이-인 스테이지 풀 1 - '''HLE - LNG - C9 - BYG''' 작년에는 MAD의 광탈로 메이저 4시드가 다른 마이너 리그의 우승팀보다 전력이 확연히 세다고 볼 수 없다는 게 어느 정도 증명되었지만, 이번 플레이-인 풀1 4팀들은 모두 작년보다 쉽지 않은 상대라고 평가받는다. 쵸비-데프트 2명의 힘으로 선발전을 찢고 온 한화생명, 타잔이 건재한 LNG, PSG와 풀세트 끝에 플레이-인으로 밀려난 BYG, 북미 3시드지만 퍽즈라는 슈퍼 크랙이 있는 C9 모두 마이너 리그 팀들에게는 상당히 껄끄럽다고 볼 수 있다. 그래도 하위 시드라 그렇게 강력하지만은 않다는 점을 다른 플레이-인 스테이지 풀 2에 속해있는 마이너 리그 팀들이 어떻게 잘 공략해낼지가 관건이다. === [[리그 오브 레전드 2021 월드 챔피언십/로스터|로스터]]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리그 오브 레전드 2021 월드 챔피언십/로스터)] == 일정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RAuQCXEg_Xc)]}}} || || {{{#fff '''진행 방식 안내'''}}} ||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 2021 월드 챔피언십 경기 일정)] == 대회 진행 == ||<-2>
{{{#!folding [ 플레이-인 스테이지 결과 펼치기 · 접기 ] ||
{{{#!wiki style="margin: -15px -10px"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 2021 월드 챔피언십/플레이-인 스테이지/A조 순위표)]}}} || {{{#!wiki style="margin: -15px -10px"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 2021 월드 챔피언십/플레이-인 스테이지/B조 순위표)]}}} || ||<-2> {{{#!wiki style="margin: -15px -10px"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 2021 월드 챔피언십/플레이-인 스테이지/녹아웃 대진표)]}}} || }}} || || {{{#!folding [ 그룹 스테이지 결과 펼치기 · 접기 ] ||
{{{#!wiki style="margin: -15px -10px"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 2021 월드 챔피언십/그룹 스테이지/A조 순위표)]}}} || {{{#!wiki style="margin: -15px -10px"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 2021 월드 챔피언십/그룹 스테이지/B조 순위표)]}}} || || {{{#!wiki style="margin: -15px -10px"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 2021 월드 챔피언십/그룹 스테이지/C조 순위표)]}}} || {{{#!wiki style="margin: -15px -10px"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 2021 월드 챔피언십/그룹 스테이지/D조 순위표)]}}} || }}} ||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 2021 월드 챔피언십/녹아웃 스테이지)] == [[리그 오브 레전드 2021 월드 챔피언십/결산|결과 및 총평]]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리그 오브 레전드 2021 월드 챔피언십/결산)] == 글로벌 파트너 == || [[마스터카드|[[파일:마스터카드 로고.svg|height=50]]]] || [[파일:버라이즌 로고.svg|height=25]] || [[파일:Secretlab 로고.svg|width=90]] || || [[마스터카드|{{{#fff '''마스터카드'''}}}]] || [[버라이즌|{{{#fff '''버라이즌'''}}}]] || {{{#fff '''시크릿 랩'''}}}[* 싱가포르 게임 의자 제조 회사] || || [[파일:스테이트팜 로고.svg|height=20]] || [[OPPO|[[파일:OPPO 로고.svg|width=90]]]] || [[레드불|[[파일:레드불 로고.svg|height=40]]]] || || {{{#fff '''스테이트팜'''}}}[* 미국 보험 및 금융] || [[OPPO|{{{#fff '''OPPO'''}}}]] || [[레드불|{{{#fff '''레드불'''}}}]] || || [[파일:AXE 로고.svg|width=90]] || [[파일:게티이미지 로고.svg|width=90]] || [[Cisco|[[파일:Cisco 로고.svg|height=40]]]] || || {{{#fff '''AXE'''}}}[* [[유니레버]] 소유의 남성용 바디케어 브랜드] || {{{#fff '''게티이미지'''}}}[* 미국 이미지 회사] || [[Cisco|{{{#fff '''Cisco'''}}}]] || || [[Spotify|[[파일:스포티파이 로고.svg|height=35]]]] || [[BOSE|[[파일:BOSE 로고.svg|height=20]]]] || [[메르세데스-벤츠|[[파일:메르세데스-벤츠 로고.svg|height=60]]]] || || [[Spotify|{{{#fff '''Spotify'''}}}]] || [[BOSE|{{{#fff '''BOSE'''}}}]] || [[메르세데스-벤츠|{{{#fff '''메르세데스-벤츠'''}}}]] || == 공식 영상 == === 오케스트라 테마곡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rQal3ArvfrE)]}}} || 피아노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이전 테마곡보다 템포를 낮췄다. 전반적으로 2019 시즌 테마와 유사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일부에서는 테마곡의 텐션이나 분위기 등을 감안했을 때 오케스트라 테마곡의 원곡인 Summoner’s call의 느낌이 난다는 평도 가끔 있다. 사실 2019년 이후로 무려 3년 간 오케스트라 테마는 크게 바뀌질 않았지만, 2019년 이후로 공식 테마곡은 몰라도 오케스트라 테마곡은 매 시즌마다 호평을 받고 있기에 딱히 스타일을 크게 바꿔볼 필요도 없긴 하다. LCK 유튜브 채널에 올라오는 하이라이트 영상 인트로나, 중계 오프닝/엔딩에서는 2019 시즌 테마를 쓰고 있는데, 빠른 템포의 중계 오프닝/엔딩 영상과 이번 시즌 테마곡이 어울리지 않아 2021 테마곡과 비슷하면서도 상대적으로 빠른 템포의 2019 테마를 쓰는 모양이다. === 공식 테마곡: [[Burn It All Down]]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1Z6CHioIn3s)]}}}|| || {{{#FFF '''Burn It All Down (ft. PVRIS)'''}}} || == 기념 스킨 == === [[자르반 4세/스킨#s-1.13|2021 월드 챔피언십 자르반 4세]] === ||<-4>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Jarvan_IV_Worlds2021Skin_HD.jpg|width=100%]]}}} || || '''가격''' || [[파일:롤아이콘-스킨-서사급.png|width=20]][br]1350RP[br](기간 한정) || '''동영상''' || [[https://www.youtube.com/watch?v=5U-f-qR8P7E|#]] || === [[Edward Gaming]] 스킨 === ||<-5> [[Edward Gaming/리그 오브 레전드|[[파일:Edward Gaming 로고 2017.svg|width=100]]]] || ||<-5> {{{#efeeec {{{+2 '''2021 시즌'''}}}}}} || ||<-5>{{{#!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022_EDG.jpg|width=100%]]}}} || || [[그레이브즈/스킨#s-1.13|그레이브즈]][br](Flandre) || [[비에고/스킨#s-1.4|비에고]][br](Jiejie) || [[조이(리그 오브 레전드)/스킨#s-1.6|조이]][br](Scout) || [[아펠리오스/스킨#s-1.4|아펠리오스]][br](Viper) || [[유미(리그 오브 레전드)/스킨#s-1.6|유미]][br](Meiko) || == [[/파워 랭킹|파워 랭킹]]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리그 오브 레전드 2021 월드 챔피언십/파워 랭킹)] == [[리그 오브 레전드 2021 월드 챔피언십/논란 및 사건 사고|논란 및 사건 사고]]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리그 오브 레전드 2021 월드 챔피언십/논란 및 사건 사고)] == 여담 == * LCK와 LPL의 4시드 참가팀이 무사히 그룹 스테이지에 안착한다면, 모든 조에서 LCK vs LPL이 성사될 수 있다. 이것이 실제로 일어날 경우 미니 리프트 라이벌즈를 볼 수 있는 셈. 거기에 2021 서머 메타가 작년과 달리 각 리그마다 천차만별인 상황이고, 라이엇에서 이번 대회 패치는 예전과 달리 큰 변화를 가할 것이라고 예고함에 따라 역대 월드 챔피언십 중 가장 메타의 충돌이 치열할 것으로 보인다. * LCK에서 담원 기아, 젠지, T1 세 팀이 순서대로 월드 챔피언십 진출을 확정지으면서 역대 LCK 월드 챔피언십 우승팀이 모두 참여하게 되었고 2021년 9월 1일 선발전에서 한화생명(舊 ROX Tigers)이 합류하면서 LCK 월드 챔피언십 성적 역대 TOP 4팀이 모두 진출하는 시즌이 되었다.[* T1, 젠지, 담원은 각각 월즈 3, 2, 1회 우승팀이고 한화생명은 준우승 1회 및 4강 1회 팀이다.] 더불어 LEC에서는 초대 챔피언 프나틱이 참가를 확정지었고 LPL에서는 2019 시즌 챔피언 FPX가 최소 2시드로 진출이 확정되면서 JT(前 TPA)와 IG를 제외한 모든 우승팀이 다 참가하게 되었다. 또한 LEC의 새로운 1황 MAD, LCS의 월드 챔피언십 단골 손님이자 퍽즈의 C9, LPL 전통의 강호 EDG와 RNG, 구 그리핀 트리오 타잔, 쵸비, 바이퍼의 재회, 일체팀이자 에비좌의 DFM, 전설의 PSG 1군 출격, FPX와 담원의 탑 스왑 매치, EDG와 한화생명의 원딜 스왑 매치, 담원과 RNG의 MSI 결승 리벤지 등 개막 전부터 역대 최고의 팀들만 모인거 같았던 2019 시즌과 대등하거나 그걸 또 뛰어넘는 역대급 대회로 평가받으며 큰 기대를 모으고 있다. IG, G2, TSM 정도만 제외하면 상징적인 팀들이 모두 모인 셈.[* 저 세 팀 중 IG는 [[송의진|루키]]와 [[더샤이]]가 좋지 못한 모습을 보여주며 두 선수의 역할이 큰 IG는 완전히 몰락했다는 평을 듣고 있으며, G2는 서머 시즌 [[라스무스 뷘터|캡스]]까지 폼이 크게 떨어지며 완전히 망해가던 중 캡스가 삭발과 함께 폼을 끌어올리고, 다른 팀원들이 버스에 탑승하며 정규 2위를 달성했다. 하지만 미드 이외의 다른 선수들의 폼이 회복된 것도 그랩즈 감독의 발밴픽이 나아진 것도 아니었고 포스트시즌에 프나틱에게 패배하며 시즌을 마치게 되었다. TSM의 경우는 [[비역슨]]이 감독으로 보직을 옮겨간 것을 시작으로 작년 월드 챔피언십에서 그나마 좋은 모습을 보여준 스피카를 제외한 모든 팀원을 새로 영입하며 우여곡절 끝에 결국 스프링-서머 합산 1위를 달성해 소기의 성과를 거두었으나 LCS 챔피언십에서 C9과의 단두대 매치에서 패배하며 월드 챔피언십 진출에 실패했다.] * 2016 시즌에 [[G2 Esports/리그 오브 레전드|G2]]가 1부 리그로 승격된 이래 처음으로 G2 없는 월드 챔피언십이 성사되었다. 특히 2017 시즌부터 G2의 1년 여정을 끝낸 팀들이 항상 월드 챔피언십 우승을 했던 징크스가 있는데 결국 서머 플레이오프 3라운드에서 G2를 떨어뜨린 프나틱이 그룹 스테이지를 뚫지 못하며 징크스는 G2를 월즈에서 꺾은 팀만이 해당되는 것으로 바뀌었다.[* 2017 월즈 그룹 스테이지 C조의 삼성은 당시 G2를 상대로 2번 모두 이겨서 G2를 그룹 스테이지에서 탈락시키고 우승했으며, 각각 2018 월즈 4강/2019 월즈 결승/2020 월즈 4강에서 G2를 쓰러뜨린 IG, FPX, 담원 역시 월즈를 우승했다. 참고로 G2 이전에는 [[김종인(프로게이머)|프레이]]가 월즈 우승팀 메이커 역할을 했으나 2018 시즌 선발전에서 프레이를 꺾은 젠지는 2021 프나틱과 똑같이 그룹 스테이지에서 1학년 5반의 굴욕을 겪고 떨어졌다.] * [[TSM/리그 오브 레전드|TSM]]이 월드 챔피언십 진출에 실패하면서 TSM이 진출하지 못한 월드 챔피언십은 LCK가 결승에 가지 못한다(혹은 우승을 하지 못한다)는 징크스가 또 이어질지 주목된다. 10월24일 8강전 담원이 MAD를 꺾고 T1과 4강에서 만나게 되면서, 반드시 1팀은 결승에 진출하게 됨으로써 이 징크스는 끝나게 되었다. 허나 11월 6일 담원이 EDG에게 패해 준우승함으로써 우승을 하지 못한다는 징크스는 유지되었다. * 녹아웃 스테이지에서 특이한 기록이 하나 세워졌는데, 바로 녹아웃 스테이지의 모든 경기에서 오른쪽(중계 화면 기준 왼쪽)에 앉은 팀이 승리했다는 것. 심지어, 같은 장소에서 진행한 MSI 2021에서도 4강, 결승의 모든 경기에서 오른쪽에 앉은 팀이 승리했다. * 그동안 월드 챔피언십을 우승한 팀은 다음 해 월즈에 참여를 하지 못하거나[* 시즌 2 프나틱, 시즌 3 TPA, 2014 시즌 SKT, 2015 시즌 삼성(전년도 우승 당시 삼성 화이트), 2020 시즌 FPX. 특히 삼성 화이트는 우승 이후 아예 팀이 와해되었다.] 참여를 해도 1시드로 참여하지는 못했는데[* 2016 시즌 ~ 2017 시즌 SKT(2시드), 2018 시즌 Gen.G(전년도 우승 당시 삼성, 3시드), 2019 시즌 IG(3시드).] 담원 기아가 사상 최초로 전년도 디펜딩 챔피언으로 당해 월드 챔피언십 1시드로 참가한 첫번째 팀이라는 기록을 세웠다. * LCK 공식 채널에서 [[김의중]] 캐스터, [[강승현(게임 해설가)|강승현]] 해설, [[하광석]] 분석가와 [[김배인]]이 조 추첨식을 진행하기 전에 모의 조 추첨을 진행했는데, 그룹 스테이지는 A조와 B조의 위치만 바뀐 것을 제외하면 실제 조 추첨과 모두 동일하게 뽑혔다. * 지난 MSI에서 라이엇 게임즈 본사 지침 중 하나인 이코노미석 항공편 예매가 크게 논란이 됐던 탓인지, 이번에는 라이엇 게임즈 본사(글로벌)에서 담원 기아, 젠지, T1, 한화생명 모두에게 구단 전용기를 대여해줬다.[[https://twitter.com/AshleyKang/status/1441208124229107721|#]] 라이엇 게임즈 본사 차원으로 전용기를 마련해 주었는데 LCK와 LPL 두 리그만 전용기를 마련해줬다고. 무려 [[보잉 777]]기로 마련해주었다고 하고, 독일 경유가 아닌 아이슬란드 직항편으로 특별 전세기를 운용한다고 한다. [[http://osen.mt.co.kr/article/G1111659974|#]] LCK 팀들의 출국은 9월 26일. * 지난 [[2020 월즈]], [[2021 MSI]]에서 쓰였던 밴픽 브금이 다시 쓰여졌다. * 1일차에는 버그때문인지 2019년도까지 사용된 세로 레이아웃 형태의 밴픽 UI가 사용됐으나, 2일차부터는 2020년부터 사용되는 LEC식 UI로 돌아왔다. 다행히, 선수 닉네임도 가로로 작성됐으며 작년 월즈보다는 가독성이 상당히 개선됐다. 1일차에는, 임시로 기본 밴픽 화면을 사용한 듯 하다. 하지만, 심미성이나 몰입감 등을 이유로 2019년까지의 메탈릭 UI를 보고싶다는 의견도 많다. 그러나 플레이인 녹아웃 2일차에 또 오류가 일어나서 다시 세로식 UI가 사용되었다. * [[트위치]]에서는 비상이 걸렸는데, [[도타 2]]의 [[The International 10]]과 일정이 겹치며 서버 트래픽이 폭발할 가능성이 열렸다. 이 때문인지 실제로 플레이인 스테이지 개막일에 라이브 방송이 자주 끊기는 등 불안정한 방송 상황이 자주 나왔다. 이 때문인지는 몰라도 국내 중계는 아프리카와 트위치 간 적게는 10초에서 40초가 넘는 지연이 발생하고 있다. * [[트위치]]의 LCK_Korea 채널에서는 10월 15일, 그룹 스테이지 A조 2R 경기부터 LCK 팀들이 참여하는 경기에 한해 채널포인트 배팅을 진행하기 시작해 소소한 재미를 제공했다(...).[* 영어 해설인 라이엇 공식 채널에서는 이미 LEC와 LCS 진행때도 진행하였지만, LCK 채널에서 진행한것은 이번이 최초이다.] * 플레이-인 3일차 티저와 함께 최근 서양권에서 유행하는 밈인 [[https://knowyourmeme.com/memes/copium|Copium]]을 패러디한 Hopium 이라는 영상을 만들었다.[[https://youtu.be/vxmVo4K33SE|#]] 그와중에 LCK는 그런거 필요없고 [[정지훈(2001)|Chovium]]이면 충분하다고. * 대회 8강 개막을 앞두고 라이엇 측에서 우승팀에게는 글로벌 파트너인 메르세데스 벤츠와 함께 공동 제작한 월즈 글로벌 파이널 우승팀 기념 '반지'가 수여된다고 [[https://youtu.be/3Zyq5EIWxg4|발표]]했다. 굿 아트 할리우드(GOOD ART HLYWD)가 손수 작업한 각 반지는 18캐럿 화이트골드와 커스텀 컷 사파이어로 제작되며 소환사의 손을 감싸는 부분은 진품 다이아몬드로 장식된다.[[https://lolesports.com/article/2021-월드-챔피언십-반지를-소개합니다!/blt2ab40f594b427d7e|#]] === 제9회 다데상 === '''공식 제9회 다데상 수상자: [[김태상|FPX Doinb]]''' [[다데상#s-2.1.5]] 항목 참조. === 드롭 === 올해도 작년처럼 시청시 드롭이라는 시청보상을 뿌린다. [[https://lolesports.com|라이엇 공식 이스포츠 사이트]]에서 로그인 후 시청해야만 얻을 수 있다. 지급 상황은 무작위이며 확정적으로 지급된다고 명시된 상황은 스테이지 시작 직전과 펜타킬을 제외하곤 없다. 드롭 지급 상황을 명확하게 밝힌 작년과는 대비되는 부분. 보상으로는 2021 월즈 한정과 특정 일반 감정표현, E스포츠 관련 아이콘[* 특정 리그 아이콘, 팀 아이콘, E스포츠 팬 아이콘 등.]들이 들어있는 캡슐을 준다. 작년 월즈의 드롭보상인 상자와 10주년 캡슐이 역대 월즈와 당해 우승/준우승 팀의 아이콘과 감정표현을 지급한 것에 비하면 초라한 보상.[* 다만, 드롭의 지급량이 전년도에 비해 2~3배 이상이긴 했다. 다만 보상들이 영양가 없는 것들이라, 많이 주더라도 전년보다 훨씬 못하다는 평이 많다.] 다만 절대적인 양이 많아 아이콘 중복의 경우 분해하면 많은 양의 주황 정수가 나오고, 감정 표현도 중복일 경우 새로운 감정 표현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낮은 확률로 마법공학상자나 크로마가 나오기도 한다. == 둘러보기 == [include(틀:LoL e스포츠 국제 대회)] [include(틀:LoL e스포츠 2021 시즌)] [[분류:리그 오브 레전드 2021 월드 챔피언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