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2010년대부터 인터넷 공간에서 파생된 밈, rd1=리미널 스페이스(밈))] [목차] == 개요 == {{{+2 Liminal Space}}} 리미널 스페이스란, 본래 하나의 장소 또는 다른 장소도 아닌, 제3의 공간의 한 유형을 말한다.[* 조대원, 입종엽.(2003) .280p] 쉽게 말하면 장소에 대한 사적공간과 공적공간의 경계가 허물어진 상태라고 설명할 수 있다.[* 조경진, 한소영.(2011). 53p] 한국어권에서는 '''전이공간(轉移空間)''' 혹은 '''역공간(逆空間)'''이라고도 번역된다.[* 조대원, 입종엽.(2003) .280p] == 정의 == 리미널 스페이스에서 리미널(Liminal)이란 '문간방, 문턱(threshold)', 또는 '경계'를 의미하는 라틴어 리멘(Limen)을 어원으로 한다. 명사로는 리미널리티(Liminality, 역치성)라고 한다.[* 축제 같은 의례들에서 질서와 무질서, 일상과 비일상성이 교차하며 전도되는 상황을 말하는 문화인류학적 개념이다.] 리미널이란 용어는 문화인류학적 개념의 범주에 속한다. '리미널'의 최초 용례는 [[네덜란드]]의 인류학자 판 헤네프(Arnold Van Gennep, 1873~1957)로, 그는 리미널을 '(일상 사회생활로부터의) 분리', '(문턱을 뜻하는) 주변 혹은 전이역(transition)', '재통합'의 3가지 통과 의례로 분류하였다. 판 헤네프가 말하는 '리미널'은 일종의 애매성, 즉 어떤 결과로 생긴 사회적, 문화적 상태의 속성들을 거의 가지고 있지 않은 상태를 말한다. 이러한 리미널리티를 [[영국]]의 문화인류학자 빅터 터너(Victor Turner, 1920~1983)는 그 의미를 확장시켜 어떤 상태를 형성하고 구조적 지위를 정해가는 과정 사이의 '중간적인 상태'라고 정의하였다. [[미국]]의 현대 도시사회학자 샤론 쥬킨(Sharon Zukin, 1946~)은 리미널 스페이스를 '공적인 것과 사적인 것, 문화와 경제, 시장과 장소 등을 가로지르고 결합하는 공간'이라고 표현하였다.[* Zukin, S. (1991) ''Landscapes of Power: From Detroit to Disney World''. Berkeley and Los Angeles, CA: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즉 학술적 의미에서 리미널 스페이스란 '중간적인 전환 상태'라고 볼 수 있다. * 참고된 논문 * '조경진, 한소영.(2011).역공간(Liminal Space) 개념으로 해석한 현대도시 공공공간의 혼성적 특성에 관한 연구.한국조경학회지,39(4),49-59.' * '조대원, 입종엽.(2003).리미널 스페이스의 특성과 건축적 응용 및 재현에 관한 연구.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계획계,23(1),279-282.' == 예술, 건축 == === 설치미술 === 리미널리티와 관련된 미술 장르는 서구에서는 1960년대 이후부터, [[대한민국]]에서는 1990년대를 전후로 발전하였다. 현대미술에서 리미널 스페이스는 가상적인 차원에서가 아니라 실제적으로 시간과 공간을 작업의 재료로서 활용하고 예술과 삶을 잇는 것을 목표로 한다. 주요 특징은 아래와 같다. * 장소와 사이트: 장소의 의미가 첨예하게 살아나는 리얼리티의 장소 (갤러리, 공공건물, 거리, 동상, 다리 등) * 미디어 공간과 인터페이스 행위: 주변 환경의 규모, 시간 개념, 정보의 의미를 재조직화 (전자 미디어 활용) * 담화와 공간: 관객 스스로가 육체적으로 개입할 것을 요구 (주제가 설명적으로 부각되는 경향) || [[파일:리미널 에어 디센드.png|width=400px]] || || ,,,리미널 에어 -디센드, 2006-15, 나일론 실, 형광등, 유리, 나무 가변설치,,, || === 건축 === 전통적 건축 실천은 건물 개념과 구조, 거주 사이를 명확하게 구분짓는 반면, 리미널리티의 이론을 바탕으로 한 건축은 '공간의 형성과 경험 사이의 구역'을 불분명하게(즉 당초 건축의 목적, 맥락에서 벗어나는) 한다. 즉 혼성적인 경향을 보인다. 이는 전통적으로 고립된 구조들 사이를 애매모호하게 하는 구역, in-between space을 탐험하게 하는 방법으로써 나타내고 있다. || [[파일:파이널 우든 하우스.png|width=400px]] || || ,,,후지모토 소우, 파이널 우든 하우스 (Final Wooden House),,, || == 기타 == * 2010년대를 전후하여 영어권 인터넷 공간에서 상기의 학술적 개념에서 차용하여 '경계에 위치한 장소' 등을 의미하는 [[리미널 스페이스(밈)]]라는 밈이 파생되었다. 자세한 것은 해당 문서를 참조할 것. [[분류:리미널 스페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