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희왕]]의 지속 함정 카드.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2347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함정=, 지속=, 한글판명칭=리미트 리버스, 일어판명칭=リミット・リバース, 영어판명칭=Limit Reverse, 효과1=자신 묘지의 공격력 1000 이하의 몬스터 1장을 선택하고\, 앞면 공격 표시로 특수 소환한다. 그 몬스터가 수비 표시가 되었을 때\, 그 몬스터와 이 카드를 파괴한다. 이 카드가 필드 위에서 벗어났을 때\, 그 몬스터를 파괴한다. 그 몬스터가 파괴되었을 때\, 이 카드를 파괴한다.)] 한 때 [[금지 제한 카드]]였던 [[리빙 데드가 부르는 소리]]를 적당히 조정해서 하위 호환으로 출시한 카드. 일러스트에서 대상으로 삼는 건 [[랜드스타의 검사]]. 실제로도 랜드스타의 검사는 공격력 500이기에 대상이 될 수 있다. 비슷한 카드인 [[엔젤 리프트]]나 [[정통한 혈통(유희왕)|정통한 혈통]]과는 달리, 파괴됐을 때만 같이 파괴되는 특성까지 리빙 데드가 부르는 소리와 같다. 즉, [[싱크로 소환]]이나 릴리스 등으로 몬스터를 묘지로 보낸 경우 리미트 리버스는 필드에 남는다. 발매 당시에는 하급 몬스터를 부활시켜도 마땅히 쓸 데가 없어서 버려졌으나, [[싱크로 소환]]의 도입으로 하급 라인의 가치가 높아지면서 평가가 반등하기 시작했다. 주로 [[정크도플]] 같은 약소 몬스터 위주의 덱에서 2 ~ 3장째의 리빙 데드로 채용하는 식으로 자주 애용되었다. 그러나, 시간이 흐르면서 리빙 데드도 무제한으로 풀려났고, 빨라진 듀얼 속도의 영향으로 소생계 함정 카드들의 단점이 점점 부각되면서 자연스래 이 카드도 잊혀지게 되었다. 굳이 찾자면 [[유벨]] 덱이나 [[베놈(유희왕)|베놈]]덱, [[기황제]] 정도. 유벨과의 상성은 꽤 좋은 편으로 유벨의 경우 묘지에 존재하면 공격력이 0이라서 이 카드로 바로 소생이 가능하며 공격 표시로 소환되어도 전투로는 파괴되지 않으며 전투 데미지도 반사가 가능해서 이 카드를 채용할 만한 이유가 충분한 편. 게다가 이 카드로 소생시킨 유벨을 수비 표시로 돌리면 자괴 디메리트[* 엔드 페이즈에 자신 필드 위에 존재하는 몬스터를 묘지로 보내지 않으면 스스로 파괴되며 이 경우 진화체로 진화가 불가능해진다.]를 회피하면서 덱에서 바로 유벨 진화체가 튀어나온다![* 물론 [[매직 플랜터]]로 리미트 리버스를 터트리고 카드 2장을 드로우해도 나오기는 하지만 모든 소생 계열의 지속 함정에 해당하는 사항이므로 차별점이 되지는 못한다.] 기황제의 경우 일단 소생에 성공하면 이 카드의 특성상 뭐만 하면 터지기 쉬운지라 의외로 손 쉽게 튀어나올 수 있으므로 한두장 정도는 투입해볼만 하다. 또한 파츠 별로 나눠놓은 태그 포스에서는 일리아스텔 삼총사가 상대 턴의 엔드 페이즈에 코어를 소생시켜 다음 자신 턴에 일부러 터트리는 전략을 자주 사용한다. 원작에선 [[유우키 쥬다이]]가 [[텐죠인 아스카]]와의 태그 듀얼에서 사용했다. 본인이 직접 발동하진 않았고, 세트해두었다가 나중에 아스카가 [[사이버 츄츄]]를 부활시키는 데 이용했다. 사실 쥬다이 본인의 덱에는 네오 스페이시언을 제외하면 마땅히 부활시켜도 좋은 몬스터가 별로 없기 때문에 그닥 상성이 맞지 않다. 오히려 다음작의 주인공인 [[후도 유세이]]의 덱에 더 잘 어울리는 카드. 대신, 유세이는 레벨 2 이하를 대상으로 하는 [[엔젤 리프트]]를 사용했다. 이름은 한정적인 소생 효과에 맞게 'Limit Rebirth'여야 하는데, 북미판에선 리버스를 Reverse로 번역했다. [[버스트 리버스]]의 리버스는 제대로 Rebirth라고 한 걸 보면 심의 문제가 아니라 단순 실수인 듯.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 [[파괴의 빛]] || LODT-KR063 || [[슈퍼 레어]]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스타터 덱 2009]] || YSD4-KR037 || [[노멀]] || 한국 || || || [[스타터 덱 2010]] || YSD5-KR037 || [[노멀]] || 한국 || || || [[스타터 덱 2011]] || YSD6-KR039 || [[노멀]] || 한국 || || || [[파괴의 빛|LIGHT OF DESTRUCTION]] || LODT-JP063 || [[슈퍼 레어]]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스타터 덱 2009]] || YSD4-JP037 || [[노멀]] || 일본 || 절판 || || [[스타터 덱 2010]] || YSD5-JP037 || [[노멀]] || 일본 || 절판 || || [[스타터 덱 2011]] || YSD6-JP039 || [[노멀]] || 일본 || || || [[파괴의 빛|Light of Destruction]] || LODT-EN063 || [[노멀]] || 미국 || 미국 최초 수록 || || [[스타터 덱 2009|Starter Deck 2009]] || 5DS2-EN037 || [[노멀]] || 미국 || || || [[스타터 덱 2011|Dawn of the Xyz]] || YS11-EN039 || [[노멀]] || 미국 || || [[분류:유희왕/OCG/지속 함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