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안드레이 즈비아긴체프 감독 장편 연출 작품)] ---- ||<-100>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A5BBE0 , #A5BBE0)" {{{#55647B ''' 리바이어던의 주요 수상 이력 ''' }}} }}} || ||<-1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죽기 전에 꼭 봐야 할 영화 1001)] ---- [include(틀:BBC 선정 100대 21세기 영화)] ---- [include(틀:더 가디언 선정 21세기 100대 영화)] ------ ||<-5>
{{{#e5d85c ''' 역대 [[골든글로브 시상식|{{{#e5d85c 골든 글로브 시상식}}}]]''' }}} || ||<-5> [[파일:goldenglobe.png|width=55]] || ||<-5> {{{#e5d85c '''외국어영화상'''}}} || || ''' 제71회 [br] ([[2014년]]) ''' || {{{+1 → }}} || ''' [[제72회 골든 글로브 시상식|제72회]] [br] ([[2015년]]) ''' || {{{+1 → }}} || ''' [[제73회 골든 글로브 시상식|제73회]] [br] ([[2016년]]) ''' || || [[그레이트 뷰티]][br](이탈리아) || {{{+1 → }}} || '''{{{#55647B 리바이어던[br](러시아)}}}''' || {{{+1 → }}} || [[사울의 아들]][br](헝가리) || ---- ||<-5>
{{{#e5d85c ''' 역대 [[칸 영화제|{{{#e5d85c 칸 영화제}}}]] ''' }}} || ||<-5> [[파일:prixduscenario.jpg|width=170]] || ||<-5> [[칸 영화제/각본상|{{{#e5d85c '''각본상'''}}}]] || || ''' 제66회 [br] ([[2013년]]) ''' || {{{+1 → }}} || ''' 제67회 [br] ([[2014년]]) ''' || {{{+1 → }}} || ''' [[2015년 칸 영화제|제68회]] [br] ([[2015년]]) ''' || || [[천주정]] || {{{+1 → }}} || '''{{{#55647B 리바이어던}}}''' || {{{+1 → }}} || 크로닉 || }}} || ---- ||<-2>
{{{#55647B '''{{{+2 리바이어던}}}''' (2014)[br]''Левиафан''[br]''Leviathan''}}}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리바이어던 국내 포스터.jpg|width=100%]]}}} || || '''{{{#ffffff 장르}}}''' ||{{{#!wiki style="margin: 0px 10px" [[범죄]], [[드라마]]}}} || || '''{{{#ffffff 감독}}}''' ||{{{#!wiki style="margin: 0px 10px" [[안드레이 즈비아긴체프]]}}} || || '''{{{#ffffff 각본}}}''' ||{{{#!wiki style="margin: 0px 10px" 안드레이 즈비아긴체프, 올레그 네긴}}} || || '''{{{#ffffff 제작}}}''' ||{{{#!wiki style="margin: 0px 10px" 세르게이 멜쿠모프, 알렉산더 로드니얀스키}}} || || '''{{{#ffffff 출연}}}''' ||{{{#!wiki style="margin: 0px 10px" 알렉세이 세레브리아코프, 옐레나 랴도바, 블라디미르 브도비첸코프 ,,외,,}}} || || '''{{{#ffffff 촬영}}}''' ||{{{#!wiki style="margin: 0px 10px" 미카일 크리취만}}} || || '''{{{#ffffff 편집}}}''' ||{{{#!wiki style="margin: 0px 10px" 안나 매스}}} || || '''{{{#ffffff 미술}}}''' ||{{{#!wiki style="margin: 0px 10px" 안드레이 폰커라토프}}} || || '''{{{#ffffff 음악}}}''' ||{{{#!wiki style="margin: 0px 10px" [[필립 글래스]], 안드레이 데르가체프}}} || || '''{{{#ffffff 의상}}}''' ||{{{#!wiki style="margin: 0px 10px" 안나 바르툴리}}} || || '''{{{#ffffff 촬영 기간}}}''' ||{{{#!wiki style="margin: 0px 10px" 2013년 8월 ~ 11월}}} || || '''{{{#ffffff 제작사}}}''' ||{{{#!wiki style="margin: 0px 10px" [[파일:러시아 국기.svg|width=20]] Non-Stop Productions [[파일:러시아 국기.svg|width=20]] A Company Russia}}} || || '''{{{#ffffff 수입사}}}''' ||{{{#!wiki style="margin: 0px 10px"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오드(기업)|오드]]}}} || || '''{{{#ffffff 배급사}}}''' ||{{{#!wiki style="margin: 0px 10px" [[파일:러시아 국기.svg|width=20]] [[20세기 폭스]][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오드(기업)|오드]]}}} || || '''{{{#ffffff 개봉일}}}''' ||{{{#!wiki style="margin: 0px 10px" [[칸 영화제|[[파일:칸 영화제 로고.svg|width=20]]]] 2014년 05월 23일[br][[파일:러시아 국기.svg|width=20]] 2015년 02월 05일[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15년 03월 19일}}} || || '''[[화면비율|{{{#ffffff 화면비}}}]]''' ||{{{#!wiki style="margin: 0px 10px" 2.35 : 1}}} || || '''{{{#ffffff 상영 시간}}}''' ||{{{#!wiki style="margin: 0px 10px" 140분}}} || || '''{{{#ffffff 제작비}}}''' ||{{{#!wiki style="margin: 0px 10px" -}}} || || '''{{{#ffffff 월드 박스오피스}}}''' ||{{{#!wiki style="margin: 0px 10px" $4,439,481}}} || || '''{{{#ffffff 북미 박스오피스}}}''' ||{{{#!wiki style="margin: 0px 10px" $1,092,800}}} || || '''{{{#ffffff 대한민국 총 관객 수}}}''' ||{{{#!wiki style="margin: 0px 10px" 10,385명}}} || || '''{{{#ffffff 국내 스트리밍}}}''' ||{{{#!wiki style="margin: 0px 10px" [[TVING|[[파일:TVING 로고.svg|width=40]] {{{#000000 (TVING)}}}]] [[https://user.tving.com/pc/user/login.tving?returnUrl=https%3A%2F%2Fwww.tving.com%2Fmovie%2Fplayer%2FM000101548%3Futm_source%3Dkinolights%26utm_campaign%3Dkinolights%26utm_medium%3Dorganic%26utm_content%3Dtitle_provider|▶]]}}} || || '''[[영상물 등급 제도/대한민국|{{{#ffffff 상영 등급}}}]]''' ||{{{#!wiki style="margin: 0px 10px" '''[[청소년 관람불가|[[파일:영등위_18세이상_2021.svg|width=30]] {{{#000000 청소년 관람불가}}}]]'''}}} || [목차] [clearfix] == 개요 == [[파일:external/file2.nocutnews.co.kr/20150224144041146652.jpg]] [[안드레이 즈비아긴체프]] 감독의 2014년작 [[러시아 영화]]. 러시아의 평범한 중년이 자신의 땅을 노리는 권력자에게 맞서 싸우는 영화이다. == 예고편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L4NghBXyqOA)]}}}|| || {{{#55647B '''▲ 예고편'''}}} || == 시놉시스 == * 출처: [[네이버 영화]] > '''“왜 하필 접니까?”''' > > 작은 바닷가 마을에서 사랑스러운 아내, 아들과 함께 살고 있는 평범한 아버지 콜랴. > 부패한 시장이 호화 별장을 짓기 위해 그의 집을 빼앗으려 하면서 > 콜랴의 삶은 걷잡을 수 없이 흔들리기 시작한다. > 콜랴는 유능한 변호사 친구의 도움을 받아 이 상황을 이겨내려 하지만, > 법을 뛰어넘는 막강한 권력을 가진 시장은 그를 더욱 궁지로 몰아가는데…… > >권력이라는 괴물에 맞서는 평범한 아버지의 치열한 생존 싸움이 시작된다! == 등장인물 == * 알렉세이 세레브리아코프 - 니콜라이 콜랴 역 * 옐레나 랴도바 - 릴랴 역 * 블라디미르 브도비첸코프 - 드미트리 역 * 로먼 마디아노브 - 바딤 역 * 알렉세이 로친 - 파샤 역 * 안나 우코로바 - 안젤라 역 * 이고르 사보치킨 - 슬레도바텔 역 * 드미트리 비코브스키-로마쇼프 - 트카추크 역 * 세르게이 바추어스키 * 이리나 가브라 - 트카추크의 아내 역 == 줄거리 == == 평가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 code=leviathan-2014, critic=92, user=7.3)] [include(틀:평가/로튼 토마토, code=leviafan, tomato=97, popcorn=80)] [include(틀:평가/IMDb, code=tt2802154, user=7.6)] [include(틀:평가/레터박스, code=leviathan-2014, user=3.9)] [include(틀:평가/알로시네, code=228247, presse=4.1, spectateurs=4.0)] [include(틀:평가/키노포이스크, code=705356, user=6.922)] [include(틀:평가/야후! 재팬 영화, code=353490, user=3.63)] [include(틀:평가/Filmarks, code=58352, user=3.6)] [include(틀:평가/엠타임, code=208734, user=7.8)] [include(틀:평가/도우반, code=24525283, user=7.8)] [include(틀:평가/왓챠, code=mO2Mg4x, user=3.7)] [include(틀:평가/키노라이츠, code=11014, light=88.3)] [include(틀:평가/네이버 영화, code=124845, expert=8.44, audience=8.21, user=7.93)] [include(틀:평가/다음 영화, code=85973, expert=없음, user=8.3)] [include(틀:평가/CGV, code=78103, egg=없음)] > Leviathan lives up to its title, offering trenchant, well-crafted social satire on a suitably grand scale. >---- > '''<리바이어던>은 자신의 제목에 걸맞게, 적절히 웅장한 규모로 정곡을 찌르면서도 잘 만들어진 사회 풍자를 제공한다.''' > - [[로튼 토마토]] 총평 > '''무리 지어 끝내 황폐해질 지어다.'''[br][br]삶의 터전에서 내몰린 약자의 하얀 피를 도화지 삼아 권력의 탄생, 성장, 소멸을 그린다. 부패한 고기를 사이좋게 뜯어 먹으며 공평하게 썩어 문드러져 가는 괴물. 그 앞에 왜소한 인간. 웅장한 필치로 그려낸 차갑고 메마른 풍경화. >---- > - [[송경원]] '''(★★★★☆)''' > '''낯설지 않은 러시아의 현실'''[br][br]마약이나 살인 같이 생각할 수 있는 가장 강력한 범죄에 연루되지 않아도 평범한 삶을 이토록 나락으로 떨어트릴 수 있는 건 야욕적인 권력의 힘이다. 야금야금 삶을 좀먹는 러시아 비리 관료의 검은 손이 어째 낯설지 않다. >---- > - 나원정 '''(★★★★)''' > '''폭력이 지나간 자리의 풍경'''[br][br]권력이라는 이름의 폭력 앞에서, 사람들은 죽고 떠나고 갇힌다. 이 막막한 현실은 황량한 풍경으로 이어지며, 거대하지만 앙상하게 남은 고래 뼈의 추한 몰골로 드러난다. 느리지만 묵직하게 전개되는 이야기가 스산한 카메라에 담긴다. >---- > - 김형석 '''(★★★★)''' > '''세상은 뭍같이 까딱 않는데, 파도야 어쩌란 말이냐.''' >---- > - [[이동진]] '''(★★★★)''' > '''권력, 어디서나 살과 뼈를 바르는''' >---- > - [[박평식]] '''(★★★★)''' > '''철거되는 삶의 장엄한 풍경화. 맨 정신으로 봐도 취한다''' >---- > - [[김혜리(평론가)|김혜리]] '''(★★★★☆)''' > '''개인을 덮치는 운명과 뼈대만 남은 국가. 정치신학 영화''' >---- > - [[황진미]] '''(★★★★☆)''' > '''상식이 작동하지 않는 곳에서 법이란 얼마나 부질없는가''' >---- > - 송형국 '''(★★★★☆)''' > '''권력의 광기와 야만, 그 민낯과 아픔이 저릿저릿~''' >---- > - 유지나 '''(★★★★)''' === 반응 === 부패한 [[정부]], [[종교]], [[법]] 사이의 결탁에 [[꿈도 희망도 없어]]가 절로 나오는 내용인지라 러시아의 보수층에게 상당한 비난을 받았다. 아이러니한 것은 이런 영화를 러시아 문화부에서 지원했고, [[아카데미 시상식]]에 외국어 영화상 후보로 추천한 것도 러시아 문화부라는 점. 가뜩이나 푸틴을 비판하면 매장당하는 러시아 사회라 러시아 문화부장관은 "개인적으로 리바이어던을 좋아하지 않는다."는 변명아닌 변명을 했다. 감독 본인은 미국의 [[킬도저]] 사건에서 영향을 받았다고 밝혔다. 그런데 러시아 상황을 풍자했다고 밝히면 정부와 보수주의자의 가열찬 비난을 받을까 봐 내세운 명분에 가깝다. 한편 러시아 정교회의 진보진영을 포함한 진보 측에서는 리바이어던을 높게 평가하는 시각도 있는 듯하다. 정교회의 안드레이 쿠라예프 신부는 >"즈비아긴체프 감독은 '리바이어던'으로 비난받고 있는 것을 영광으로 여겨야 한다." >"'''[[알렉산드르 푸시킨|푸쉬킨]]''', 그로보예도프, '''[[레프 톨스토이|톨스토이]]''', '''[[표도르 도스토옙스키|도스토예프스키]]'''도 같은 이유로 비난받았기 때문" 라고 뼈 있는 발언을 하기도 했다. 때문에 즈비아긴체프 감독의 차기작인 [[러브리스]]는 해외 자본에 러시아 자본이 일부 투자되는 형식으로 만들어졌다. 여기다도 즈비아긴체프보다 더 세게 푸틴과 보수파를 까대며 영화를 만들던 키릴 세레브렌니코프가 누명으로 감금되는 사태가 일어나서 푸틴에 대한 비판이 많다. 정작 [[푸틴]]은 대변인을 통해 "반(反)러시아 영화라고는 생각하지 않는다"는 반응을 내놓았고 그 때문에 보수파의 비난하는 여론도 다소 수그러들었다. [[카더라]]지만 측근들에게 이 영화를 다운 받아서 보라고 했다는 말도 있다. 독재자의 아량인지 "직접적으로 공격한 것은 아니니 이 정도 내용은 별 문제없다"라는 자신감인지는 알 수 없다. 아니면 푸틴도 스스로 러시아의 부패와 하위 권력의 횡포에 대해 나름 경계하고 있는 걸지도 모른다. == 흥행 == ||<-7><:> 출처: [[https://www.boxofficemojo.com/title/(링크)/|박스오피스 모조]] || ||<:> 국가 ||<:> 개봉일 ||<:> 총수입 (단위: [[미국 달러]]) ||<:> 기준일 || ||<:> '''전 세계''' ||<:> (최초개봉일) ||<:> '''$4,439,481''' ||<:> '''(기준일자)''' || ||||||||<:> 개별 국가 (개봉일 순, 전 세계 영화 시장 1, 2위인 북미, 중국은 볼드체) || ||<:> '''[[북미]]''' ||<:> 미정 ||<:> '''$1,092,800''' ||<:> 미정 || == 수상 및 후보 이력 == * [[제87회 아카데미 시상식]] [[아카데미 국제영화상|외국어 영화상]] 후보 * 제67회 [[칸 영화제]] [[칸 영화제/각본상|각본상]] '''수상''' * 황금독수리 영화상 감독상, 각본상, 남우조연상, 여우조연상 '''수상''' * 제72회 [[골든 글로브 시상식]] 외국어 영화상 '''수상''' * 제68회 [[영국 아카데미 시상식]] 외국어 영화상 후보 * 제35회 런던 비평가 협회상 외국어 영화상 '''수상''', 작품상, 기술공헌상 후보 * 제26회 팜스프린스 국제 영화제 국제비평가협회(FIPRESCI) 외국어영화상 '''수상''' * 제41회 뮌헨 국제 영화제 [[아리(기업)|아리]]상 '''수상''' * 제8회 아시아 태평양 스크린 어워드 작품상 '''수상''', 감독상, 촬영상 후보 * 제58회 런던 국제 영화제 작품상 '''수상''' * 제27회 [[유럽 영화상]] 유러피안 작품상, 유러피안 각본상, 유러피안 감독상, 유러피안 남우주연상 후보 2015년 [[제87회 아카데미 시상식]] [[아카데미 국제영화상|외국어 영화상]] 후보 지명, 프랑스 [[칸 영화제]]에서 각본상 및 미국 [[골든글로브]]에서 외국어 영화상을 수상하였다. 그 이외에도 러시아의 황금독수리영화상 시상식에서 감독상, 남우조연상, 여우조연상, 극본상 등 여러 부분을 수상하였다. == 기타 == * 촬영은 [[무르만스크]] 주 바랜츠 해 연안에 위치한 테리바르카라는 마을에서 이루어졌다고 한다.고립된 해변에 집이 있는 공간을 찾지 못해 고심하다가, 감독이 우연히 인터넷으로 발견한 사진 한 장을 보고 수소문해 찾게 된 마을이라고 한다. == 관련 문서 == * [[리바이어던]] * [[킬도저]] == 외부 링크 == * [[http://www.cine21.com/news/view/?mag_id=79502|씨네21]] - 김영진 평론가 평론 * [[http://www.cine21.com/news/view/?mag_id=79364|씨네21]] - 김소희 평론가 리뷰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리바이어던, version=111, paragraph=2.1)] [[분류:2014년 영화]][[분류:러시아의 드라마 영화]][[분류:러시아의 범죄 영화]][[분류:피카레스크]][[분류:칸 영화제 각본상 수상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