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런앤건]][[분류:스페인 게임]][[분류:1992년 게임]][[분류:DOS 게임]][[분류:메가 드라이브 게임]] || [youtube(-KZrECfOzko)] || [youtube(EChseE1P65A)] || || [[MS-DOS]]판 || [[아미가]]판 || ||<-2> [youtube(kqkjI-Za170)] || ||<-2> [[메가 드라이브]]판 '사신 드락소스' || [목차] == 개요 == Risky Woods / 邪神ドラクソス / 사신 드락소스 [[1992년]]에 [[스페인]]의 게임 회사 Dinamic Software와 Zeus Software에서 만들고 [[일렉트로닉 아츠]]에서 발매한 횡스크롤 액션 게임. 기본 무기가 원거리 무기인 [[단검]]이라서 [[런앤건]] 게임으로 취급하기도 한다. 본래 [[아미가]], [[아타리 ST]], [[MS-DOS]] 이렇게 서구권의 [[컴퓨터]]로 출시된 게임이다. == 상세 == 주인공 소년은 [[단검]]을 던지고 마법을 쓰면서 플레이하며, 적들을 해치우면서 돈을 얻는다. 나중에 무기를 교체하기도 하지만 여전히 원거리로 던지면서 플레이하는 게임. 당시 [[IBM PC 호환기종]]의 사양이 그렇게 높지 않은 탓인지 MS-DOS판은 아미가판보다 약간 디테일이 떨어지는 느낌이다. 배경음악도 살짝 후달리는 느낌. 해당 기종의 게임들 특성상 윗 버튼을 눌러서 점프를 하며, 아이템은 반드시 아래 버튼을 눌러서 앉아야만 얻어진다. 그냥 당시의 평범한 286~386 시절 도스 게임 중 하나. 동시대 게임인 [[젤리아드]]와는 달리 그렇게 명작 취급은 받지 못했다. == 이식 == 그리고 같은 년도에 [[메가 드라이브]]로 이식되었는데, 메가 드라이브판은 점프 키가 별도로 배정되고 주인공의 복장이 바뀌었다. 또한 화면 아래쪽 스테이터스 창 오른쪽에 있던 주인공 얼굴이 아무 이유 없이 삭제되고 검은 네모로 대체되어 있다. 미국/유럽판은 컴퓨터 기종에서의 제목 그대로 '리스키 우즈'인데 일본판만 제목이 '사신 드락소스'(邪神ドラクソス)로 바뀌었고[* 여담이지만 패키지 일러스트레이션이 사기다. 미국판은 그래도 주인공 옷차림과 뒷모습이 게임 원작을 살린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en/c/c0/Risky_Woods_Cover.jpg|표지]]인데 일본판 일러스트레이션은 [[https://www.gavas.jp/upload/save_image/03221931_6239a59a65c1c.jpg|거대한 드래곤과 싸우는 전사]]의 모습을 그려놓고 정작 알맹이는 웬 추레한 꼬맹이가 마을을 돌아다니고 있으니...] [[삼성전자]]판 국내 정발명도 일본판 제목을 따른다. [[소드 오브 소단]]과 함께 메가 드라이브 [[똥겜|쿠소게]]로 유명했는데 이건 억울하다. 공교롭게도 둘 다 아미가 원작인데 메가 드라이브로 이식된 게임. 그런데 게임성 자체는 컴퓨터 버전을 그대로 옮겨왔는데 명작 액션 게임들이 넘쳐나는 메가 드라이브에서 이 게임이 살아남을 여지는 없었다. 다만 게임 자체는 큰 문제 없는 평범한 액션 게임이지만 게임의 매력 없는 디자인이나 [[양키센스|양키 센스]]와도 다른 스페인 게임 회사의 애매한 센스 등으로 인해 일본 유저들에겐 아예 관심조차 끌 수 없던 스타일이었기에 억울하게 똥겜 취급을 받는 편. 아예 게임을 플레이하기 괴로울 정도인 메가 드라이브판 소드 오브 소단과는 절대 급을 나란히 하는 건 아니고 플레이 자체는 정상적이고 나름대로 재미도 있다. [youtube(p0V-MG6Pid8)] 뜬금없이 브라질의 QUByte Interactive에서 메가드라이브판을 베이스로 2023년 7월 13일에 엑스박스 시리즈 X/S, 엑스박스 원, 플레이스테이션4, 플레이스테이션5 그리고 닌텐도 스위치로 이식해서 출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