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 '''[[Critical Role]] 멤버'''(나이순) || || [[리암 오브라이언]] || [[샘 리겔]] || [[탈리신 재피]] || [[로라 베일리]] || [[트래비스 윌링햄]] || [[매튜 머서]] || [[애슐리 존슨]] || [[마리샤 레이]] || ||<-2>
{{{#ffffff '''{{{+1 리암 오브라이언}}}'''[br]Liam O'Brien}}}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Liam_O'Brien_Portrait.jpg|width=100%]]}}} || || '''이름''' ||'''리암 크리스토퍼 오브라이언[br]{{{-1 (Liam Christopher O'Brien)}}}''' || ||<|2> '''출생''' ||[[1976년]] [[5월 28일]] ([age(1976-05-28)]세) || ||[[미국]] [[뉴저지]] 주 에식스 카운티 벨빌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 || '''신체''' ||180cm[* [[https://www.imdb.com/name/nm1240448/bio|출처]]] || || '''가족''' ||어머니 로이스 윌츠 오브라이언[br]배우자 에이미 킨케이드[* 《[[코드 기어스]]》에서 [[셜리 페넷]] 역을 맡았다.]^^(2002년 결혼~현재)^^[br]자녀 2명 || || '''학력''' ||[[뉴욕 대학교]] {{{-2 (학사)}}} || || '''활동 시기''' ||[[2001년]] ~ 현재 || || '''링크''' ||[[http://www.behindthevoiceactors.com/Liam-OBrien|[[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0]]]]^^출연 목록^^ [[https://en.wikipedia.org/wiki/Liam_O%27Brien|[[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0]]]]^^위키^^ [[https://www.instagram.com/voiceofobrien|[[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0]]]]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voiceofobrien, 크기=20)] || [목차] [clearfix] == 개요 == [[미국]]의 [[성우]]. [[신시내티]]에서 연극을 하면서 활동하고 있을 때, [[크리스핀 프리먼]]을 만나 [[뉴욕]]에서 애니메이션 연기를 시작하게 되었다고 한다. 데뷔작은 [[부기팝은 웃지 않는다(애니메이션)|부기팝은 웃지 않는다]]의 스기누마 요지. 뉴욕에서 활동할 때는 Headline Studio와 [[NYAV]] 작품들을 주로 맡았고, [[캘리포니아]]로 이사오면서 [[Bang Zoom! 엔터테인먼트]]나 [[Studiopolis]], [[NYAV]]의 작품을 맡았었다. 비음이 꽤 섞인 비열한 음색을 가지고 있어서, 일부러 [[매드 사이언티스트]]나 사악한 [[천재]] 같은 살짝 맛이 간 캐릭터를 고른다고 한다. 북미판 [[로이드 아스프룬드]] 연기를 들어보면 [[시라토리 테츠]]가 [[영어]] 배워서 연기한 게 아닐까 의심될 정도로 완벽한 [[또라이]]에 [[공돌이]] 매드 사이언티스트 연기를 펼쳤다. 특유의 쉭쉭 거리는 느낌이 쿨하거나 [[중2병]]적인 요소를 자극하기도 해서(...) 간지 나는 캐릭터나 악의 조직의 간부나 수장 같은 역할도 꽤 맡고 있다. [[레드 스컬]]과 [[닥터 스트레인지]]의 전담 성우이기도 하다. [[일본 애니메이션]]에서 [[미국 애니메이션]]이나 서양 AAA게임 쪽으로 활동 영역을 옮겼으나 《[[Critical Role]]》에 집중하게 되면서 본업인 성우업은 사실상 휴업이나 다름없어져서[* 이건 《[[Critical Role]]》의 다른 멤버들도 마찬가지다. 그나마 [[매튜 머서]]가 신작 캐스팅은 급감했을지언정 기존에 출연했던 작품의 후속작에는 변경없이 꾸준히 출연하는 어느정도 본업인 성우업을 이어가고 있는 편.] 동서양 컨텐츠에 상관없이 목소리 연기 자체를 듣기가 매우 어려워졌다. 그나마 최근에 출연한 일본 애니메이션 배역은 [[TIGER & BUNNY 2]]의 [[유리 페트로프]]. 그외 미국 애니메이션하고 게임에 단역으로 모습을 보이고 있다. 가족으로는 성우인 아내 에이미 킨케이드와 딸 조이랑 아들 오웬이 있다. == 출연작 == * .hack//Legend of the Twilight - 톰 * [[.hack//G.U.]] - 엔드랜스(Endrance) * Blue Dragon - 돌숙(Dolsk) * Boys Be - 쿠루미자와 마코토 * [[DC 슈퍼히어로 걸즈]] - [[조드 장군]] * [[DNA2]] - 모모나리 준타 * [[Fate/stay night]] - [[아처(5차)]] * [[Fate/Zero/애니메이션|Fate/Zero]] - [[마토 카리야]] * [[GUN X SWORD]] - [[레이 랑그렌]] * [[KO세기 비스트 삼수사]] - 버드 민트 * [[TIGER & BUNNY]] - [[유리 페트로프]] * [[TIGER & BUNNY 2]] - 유리 페트로프 * [[걸즈 브라보]] - 후쿠야마 카즈하루 * [[기동전사 건담 THE ORIGIN]] - [[기렌 자비]] * [[그와 그녀의 사정]] - [[아사바 히데아키]] * [[금색의 갓슈]] - [[겐소]] * [[길티기어 시리즈|길티기어 2 오버츄어]] - [[카이 키스크]] * '''[[나루토(애니메이션)|나루토]]''' 시리즈 - '''[[가아라]]''', [[하가네 코테츠]] * [[니어 레플리칸트|니어 게슈탈트/NIER]], [[니어 레플리칸트 ver.1.22474487139...]] - 백의 서 * [[다크사이더스]] - [[워(다크사이더스)|워]] * [[DOA(게임)|DOA]] - [[릭(DOA)|릭]] * [[데빌 메이 크라이 4]] - [[상투스(데빌 메이 크라이)|상투스]] * [[데빌 서머너 소울 해커즈]] - 사쿠라이 마사히로(스푸키) * [[듀얼 마스터즈]] - [[키리후다 쇼부]] * [[드래그 온 드라군 3]] - 센트 * [[디스크전사 어벤져스]] - [[레드 스컬]], [[닥터 스트레인지]], [[아이언 피스트]] * [[레귤러 쇼]] - 탱고 * [[리그 오브 레전드]] - [[야스오(리그 오브 레전드)|야스오]] * [[리틀 프린세스 소피아]] - 보스웰 * 레고 마블 슈퍼 히어로즈 블랙팬서 트러블 인 와칸다 - [[닥터 스트레인지]] * [[마블 퓨처 어벤져스]] - [[레드 스컬]], [[닥터 스트레인지]] * [[망각의 선율]] - 홀 * [[망상대리인]] - 마니와 미츠히로 * [[메르]] - [[나나시]] * '''[[몬스터(만화)/애니메이션|몬스터]] - [[텐마 켄조]]''' * [[무장연금/애니메이션|무장연금]] - [[나카무라 고우타]], 오카쿠라 히데키 * [[무적코털 보보보]] - Kittypoo, [[오버(무적코털 보보보)|오버]], Pana, Not Nice Cream, Crimson * [[미소녀 전사 세일러 문(애니메이션 1기)|미소녀 전사 세일러 문]](Viz Media)/[[미소녀 전사 세일러 문 Crystal]] - [[네프라이트]] * [[미들 어스: 섀도우 오브 모르도르]] ,[[미들 어스: 섀도우 오브 워]] - [[골룸]] * [[바이오하자드 5]] - 레이널드 피셔 * [[부기팝은 웃지 않는다(애니메이션)|부기팝은 웃지 않는다]] - 스가누마 요지 * [[브레이블리 디폴트]] - 카미이즈미 * '''[[블리치]] - [[우키타케 쥬시로]]''', [[이노우에 소라]]([[어시드 와이어]]), 리키치, [[이시다 소켄]], 바이곤 * [[사무라이 참프루]] - 어린 [[야마네]] * [[소녀혁명 우테나]] - 치다 마미야 * '''[[소닉 포시즈]] - [[인피니트(소닉 더 헤지혹 시리즈)|인피니트]]''' * '''[[스컬걸즈]] - [[스퀴글리|레비아탄]]''' * [[스크랩드 프린세스]] - Furet/Fulle * [[스타워즈 반란군]] - [[요가르 라이스트]], 모라드 수마르 * [[스타워즈: 배드 배치]] - 볼로, 레이니, 스크래퍼 * [[스타크래프트 2]] - [[유령(스타크래프트 시리즈)|유령]][* 스테로이드 한거같다, [[스타크래프트 1]] 수준의 간지에도 못미친다 등의 악평을 받았다.] * [[스트리트 파이터 5]] - [[길(캡콤)|길]], [[투피(파이널 파이트)|투피]][* NPC.] * [[신무월의 무녀]] - [[츠바사(신무월의 무녀)|츠바사]] * [[아이언맨]]과 [[캡틴 아메리카]], 헐크 히어로 유나이티드 - [[레드 스컬]] * [[아수라의 분노]] - '''아수라''' * [[아프로 사무라이]] - 키하치, Patron #4, 시치고로 * [[악마성 시리즈]] * [[Castlevania: Curse of Darkness]] - [[아이작 라포레제]] * [[악마성 드라큘라 갤러리 오브 라비린스|캐슬바니아: Portrait of Ruin]] - [[조나단 모리스]] * [[어둠의 후예]] - 쿠로사키 히소카 * [[암굴왕]] - 안드레아 카발칸티 * [[에르고 프록시]] - 빈센트 로 * [[연풍]] - 오다기리 케이 * '''[[워크래프트 시리즈]] - [[일리단 스톰레이지]][* [[불타는 성전]] 이후. 불타는 성전도 시네마틱은 이전 성우인 매튜 양 킹이다.]''', 갈퀴대왕 이키스, 폭력의 샤 * 울버린과 X맨 - 나이트크롤러, 엔젤, 크리스, 아르찬젤 * [[유그드라 유니온]] - 듀란 * [[유성의 록맨]] - 키그너스 윙 * [[어벤져스 어셈블]] - [[레드 스컬]], [[닥터 스트레인지]], 스컬리 * [[얼티밋 스파이더맨]] - [[닥터 스트레인지]] * [[인어 시리즈|인어의 숲]] - '''유타'''(4화 이후)[* 1~3화까지는 저스틴 그로스가 맡았다.] * [[인저스티스 2]] - [[리버스 플래시]] * 저스티스 리그 액션 어드벤쳐 트랩드 인 타임 - [[아쿠아맨]] * [[전국 바사라 3]] - [[도쿠가와 이에야스(전국 바사라)|도쿠가와 이에야스]] * [[정글은 언제나 맑음 뒤 흐림/애니메이션|정글은 언제나 맑음 뒤 흐림]] - [[크라이브 노시]] * [[진 여신전생 4]] - [[나바르(진 여신전생 4)|나바르]] * [[천상천하]] - 나츠메 신 * [[천원돌파 그렌라간]] - 긴브레 카이토 * [[철권6]] - [[미겔 까바예로 로호]] * [[카르멘 산디에고]] - 마일스톰, 보리스, 블라드, 딥로매트 * [[캐서린(게임)|캐서린]], [[캐서린 풀 보디]] - [[올랜도 해딕]] * '''[[코드 기어스 반역의 를르슈]] - [[로이드 아스프룬드]]''' * [[코믹파티]] - [[타이시]] * [[콜 오브 듀티: 모던 워페어 3]] - 싱글플레이 PMC 팀 2 리더, 멀티플레이 PMC 오퍼레이터 * [[콜 오브 듀티: 블랙 옵스 2]] - [[ISA(특수부대)|ISA]] 오퍼레이터 * [[타이탄폴]], [[타이탄폴 2]] - 바커 * [[타카하시 루미코 극장]] - 베토(윌리엄 마크험 명의), 오다기리, 류이치, 고저스 * [[트랜스포머 어드벤처]] - [[언더바이트]], [[킥백(프라임)|킥백]], 사이클로너스, 존슨 * [[트랜스포머: 워 포 사이버트론]] - 에어레이드 * [[테니스의 왕자]] - [[에치젠 난지로]], 아라이 마사시 * [[테크노라이즈]] - 코하쿠라 * [[파이어 엠블렘 각성]] - [[아주르(파이어 엠블렘 시리즈)|이니고]] * [[페르소나 3]] - [[사나다 아키히코]], [[타케바 에이이치로]] * [[포 아너]] - [[워든(포 아너)|남성 워든]] * [[폴아웃: 뉴 베가스]] - 다수의 역할(...) * [[폴아웃 4]]([[Far Harbor]]) - [[Far Harbor#s-4.2|알렌 리]], [[볼트 118#s-2|키이스 매키니]] * [[피니와 퍼브]] 미션 마블 - [[레드 스컬]] * [[헐크와 스매쉬 군단]] - 아르콘, [[레드 스컬]], 레드 스컬 공룡 * 헐크 웨어 몬스터 드웰 - [[닥터 스트레인지]] * [[헬싱]] - [[월터 쿰 도르네즈]] === ADR 디렉터 === * [[데빌 메이 크라이 5]] * [[나루토(애니메이션)|나루토]] 시리즈 * [[바이오하자드 다크사이드 크로니클즈]] * [[바이오하자드 6]] == 여담 == * 《Critical Role》의 멤버 중 하나이며 리암의 생일선물로 시작하게 된 [[D&D]]가 현재의 테이블탑 게임 전문 채널로 성장하게 되었다. * 같은 대학교를 나온 성우 선배로 [[마크 톰슨]], 성우 후배로는 [[커샌드라 리]]가 있다. * [[닥터 스트레인지|성우가 성우인지라]] [[베네딕트 컴버배치|담당 배우]]와 닮았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다. 다만 얼굴형은 확실히 다르다. * 《[[어쌔신 크리드: 로그]]》에서 '리암 오브라이언'이라는 동명이인 캐릭터가 등장하는데 이름 자체를 이 성우에게서 따온 것인지는 불명이나 리암이라는 이름이나 오브라이언이라는 성씨나 [[아일랜드]]에선 엄청나게 흔해빠진 이름이기 때문에 순수하게 우연의 일치인 것으로 보인다. == 관련 문서 == * [[성우/미국]] [[분류:미국 남성 성우]][[분류:1976년 출생]][[분류:2001년 데뷔]][[분류:벨빌(뉴저지) 출신 인물]][[분류:뉴욕 대학교 출신]][[분류:아일랜드계 미국인]][[분류:뉴욕 계열 성우]][[분류:캘리포니아 계열 성우]][[분류:크리티컬 롤/플레이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