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reynor_Qlash.jpg|width=100%]]}}} || ||<-2> '''BASILISK[br]{{{+1 Reynor}}}''' || ||<-2> '''{{{#000000 리카르도 로미티(Riccardo Romiti)}}}''' || || 출생 || [[2002년]] [[7월 1일]] || || 국적 || [[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28]] [[이탈리아]] || || 종족 || [[저그]] || || 現 소속 || [[BASILISK]] || || 스폰서 || [[레드불|RedBull]] || || ID || '''Reynor'''[* [[짐 레이너]]의 그 레이너가 맞다고 한다. 어린 리카르도가 스펠링 오타를 내면서 Reynor가 되었다고, 리카르도와 친분이 있는 김동원이 2017 WESG 방송에서 언급했다.] || || 경력 상금 || [[https://www.esportsearnings.com/players/15015-reynor-riccardo-romiti|$731,991.46 USD]] || || 2018 WCS 서킷 순위/점수 || 10위/2030점 || || 2019 WCS 서킷 순위/점수 || 2위/7365점 || || 2020/21 EPT 서킷 순위/점수 || 유럽 2위/2702점 || || 2021/22 EPT 서킷 순위/점수 || 유럽 3위/1914점 || || 2022/23 EPT 서킷 순위/점수 || 유럽 2위/3124점[* [[https://liquipedia.net/starcraft2/ESL_Pro_Tour/2022/23/Standings/EU|참고]]] || || SNS ||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Reynor02, 크기=22)] [[https://www.instagram.com/reynor02|[[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2]]]] || || 방송국 || [[https://www.twitch.tv/rb_reynor|[[파일:트위치 아이콘.svg|width=20]]]] || ||<-2> 소속 기록 || || Ace of Spades || 201?-??-?? - 2013-09-27 || || [[mYinsanity|{{{#white mYinsanity}}}]] || 2013-11-12 ~ 2016-01-10 || || True eSport || 2016-01-13 ~ 2017-06-17 || || Next Gaming || 2017-09-04 ~ 2018-01-19 || || Prophecy E-sports || 2017-09-04 ~ 2018-01-19 || || Exeed Esports || 2018-01-19 ~ 2018-11-12 || || GamersOrigin || 2019-01-12 ~ 2020-01-05 || || Team QLASH || 2020-02-15 ~ 2022-03-21 || || [[KaiZi Gaming|{{{#white KaiZi Gaming}}}]] || 2022-03-21 ~ 2023-02-20 || || [[BASILISK|{{{#white BASILISK}}}]] || 2023-02-24 ~ 현재 || [목차] [clearfix] == 경력 == [include(틀:IEM World Championship SC2/역대 우승자)] ||<-5> '''{{{#white 우승 기록 }}}''' || ||<-5> '''[[스타크래프트 2: 공허의 유산]]''' || ||<-5> [[2019 WCS Summer]] 우승자 [br] (vs [[요나 소탈라]], 4:2) [br] ( 우승 상금: '''$ 20,000''' ) || || [[2019 WCS Spring]] [br] [[요나 소탈라]] || → || '''리카르도 로미티''' || → || [[2019 WCS Fall]] [br] [[요나 소탈라]] || ||<-5> [[DreamHack SC2 Masters 2020: Summer/유럽|DreamHack SC2 Masters 2020: Summer - Europe]] 우승자 [br] (vs [[요나 소탈라]], 4:2) [br] ( 우승 상금: '''$ 13,375''' ) || || 대회 개편 || → || '''리카르도 로미티''' || → || [[DreamHack SC2 Masters 2020: Fall/유럽|DreamHack SC2 Masters 2020: Fall - Europe]][br]리카르도 로미티 || ||<-5> [[DreamHack SC2 Masters 2020: Fall/유럽|DreamHack SC2 Masters 2020: Fall - Europe]] 우승자 [br] (vs [[클레망 데플란케]], 4:3) [br] ( 우승 상금: '''$ 13,375''' ) || || [[DreamHack SC2 Masters 2020: Summer/유럽|DreamHack SC2 Masters 2020: Summer - Europe]][br]리카르도 로미티 || → || '''리카르도 로미티''' || → || [[DreamHack SC2 Masters 2020: Winter/유럽|DreamHack SC2 Masters 2020: Winter - Europe]][br][[클레망 데플란케]] || ||<-5> [[2019 WCS Winter Europe]] 우승자 [br] (vs [[요나 소탈라]], 4:3) [br] ( 우승 상금: '''$ 12,000''' ) || || 대회 출범 || → || '''리카르도 로미티''' || → || 대회 개편 || ||<-5> [[Douyu Cup 2020]] 우승자 [br] (vs [[요나 소탈라]], 4:1) [br] ( 우승 상금: '''¥ 50,000''' ) || || 대회 출범 || → || '''리카르도 로미티''' || → || 미정 || ||<-5> [[DreamHack SC2 Masters 2020: Fall/시즌 파이널|DreamHack SC2 Masters 2020: Fall - Season Finals]] 우승자[br](vs [[조성호(프로게이머)|조성호]], 4:3)[br] ( 우승 상금: '''$ 12,500''' ) || || [[DreamHack SC2 Masters 2020: Summer/시즌 파이널|DreamHack SC2 Masters 2020: Summer - Season Finals]][br][[요나 소탈라]] || → || '''리카르도 로미티''' || → || [[DreamHack SC2 Masters 2020: Winter/시즌 파이널|DreamHack SC2 Masters 2020: Winter - Season Finals]][br][[요나 소탈라]] || ||<-5> [[DreamHack SC2 Masters 2021: Summer/시즌 파이널|DreamHack SC2 Masters 2021: Summer - Season Finals]] 우승자[br](vs [[조성주(프로게이머)|조성주]], 4:3)[br] ( 우승 상금: '''$ 10,000''' ) || || [[DreamHack SC2 Masters 2020: Last Chance 2021]][br][[조성호(프로게이머)|조성호]] || → || '''리카르도 로미티''' || → || [[DreamHack SC2 Masters 2021: Fall/시즌 파이널|DreamHack SC2 Masters 2021: Fall - Season Finals]][br][[요나 소탈라]] || ||<-5> [[IEM Katowice 2021/스타크래프트 2|IEM Katowice 2021]] 우승자 [br] (vs [[주성욱]], 4:2) [br]( 우승 상금: '''$ 65,400''' ) || || [[IEM Season XIV - Katowice/스타크래프트 2|IEM Katowice 2020]][br][[이병렬]] || → || '''리카르도 로미티''' || → || [[IEM Katowice 2022/스타크래프트 2|IEM Katowice 2022]][br][[요나 소탈라]] || ||<-5> [[Gamers8|Gamers8 2023]] 우승자 [br] (vs [[김도욱]], 4:1) [br]( 우승 상금: '''$ 150,000''' ) || || 종목 신설 || → || '''리카르도 로미티''' || → || 미정 || ||
{{{#white 기타 입상 경력}}} || || {{{#!folding [펼치기 / 접기] ||<-5> '''{{{#white 수상 기록 }}}''' || ||<-5> '''[[스타크래프트 2: 공허의 유산]]''' || ||<-5> Italian Video Game Awards 2019[br]'''최우수 e스포츠 선수상''' || || 부문 신설 || → || '''리카르도 로미티''' || → || 부문 개편 || ||<-5> Italian Interactive Digital Entertainment Association 2020[br]'''최우수 이탈리아 선수상''' || || 부문 신설 || → || '''리카르도 로미티''' || → || Italian Interactive Digital Entertainment Association 2021[br]리카르도 로미티 || ||<-5> Italian Interactive Digital Entertainment Association 2021[br]'''최우수 이탈리아 선수상''' || || Italian Interactive Digital Entertainment Association 2020[br]리카르도 로미티 || → || '''리카르도 로미티''' || → || 미정 || ---- ||<-5> '''{{{#white 준우승 기록 }}}''' || ||<-5> '''[[스타크래프트 2: 공허의 유산]]''' || ||<-5> [[2018 WCS Montreal]] 준우승자 [br] (vs [[요나 소탈라]], 3:4) [br] ( 준우승 상금: '''$ 10,000''' ) || || [[2018 WCS Valencia]] [br] [[커유펑]] || → || '''리카르도 로미티''' || → || [[2019 WCS Spring]] [br] [[후안 로페즈]] || ||<-5> [[2019 WCS Fall]] 준우승자 [br] (vs [[요나 소탈라]], 1:4) [br] ( 준우승 상금: '''$ 10,000''' ) || || [[2019 WCS Summer]] [br] [[요나 소탈라]] || → || '''리카르도 로미티''' || → || 대회 개편 || ||<-5> [[DreamHack SC2 Masters 2020: Winter/유럽|DreamHack SC2 Masters 2020: Winter - Europe]] 준우승자 [br] (vs [[클레망 데플란케]], 2:4) [br] ( 준우승 상금: '''$7,500''' ) || || [[DreamHack SC2 Masters 2020: Fall/유럽|DreamHack SC2 Masters 2020: Fall - Europe]][br][[클레망 데플란케]] || → || '''리카르도 로미티''' || → || [[DreamHack SC2 Masters 2021: Summer/유럽|DreamHack SC2 Masters 2021: Summer - Europe]][br]리카르도 로미티 || ||<-5> [[DreamHack SC2 Masters 2021: Summer/유럽|DreamHack SC2 Masters 2021: Summer - Europe]] 준우승자 [br] (vs [[클레망 데플란케]], 1:4) [br] ( 준우승 상금: '''$7,375''' ) || || [[DreamHack SC2 Masters 2020: Winter/유럽|DreamHack SC2 Masters 2020: Winter - Europe]][br]리카르도 로미티 || → || '''리카르도 로미티''' || → || [[DreamHack SC2 Masters 2021: Fall/유럽|DreamHack SC2 Masters 2021: Fall - Europe]][br][[요나 소탈라]] || ||<-5> [[IEM Katowice 2022/스타크래프트 2|IEM Katowice 2022]] 준우승자 [br] (vs [[요나 소탈라]], 3:4) [br]( 준우승 상금: '''$ 76,000''' ) || || [[IEM Katowice 2021/스타크래프트 2|IEM Katowice 2021]][br][[주성욱]] || → || '''리카르도 로미티''' || → || [[IEM Katowice 2023/스타크래프트 2|IEM Katowice 2023]][br][[조성주(프로게이머)|조성주]] || [include(틀:WCS Global Finals/역대 준우승자)] [include(틀:IEM World Championship SC2/역대 준우승자)] [include(틀:역대 WCG 스타크래프트 부문 은메달리스트)] }}} || === [[스타크래프트 2: 군단의 심장]] === * 2013년 * 2013 DreamHack Open: Bucharest 그룹 스테이지 1라운드 * 2014년 * [[2014 DreamHack Open: Bucharest]] 그룹 스테이지 2라운드 * 2014 DreamHack Open: Valencia 그룹 스테이지 1라운드 * [[2014 DreamHack Open: Stockholm]] 그룹 스테이지 2라운드 * 2015년 * 2015 DreamHack Open: Valencia 그룹 스테이지 2라운드 * 2015 DreamHack Open: Stockholm 그룹 스테이지 2라운드 === [[스타크래프트 2: 공허의 유산]] === * 2015년 * [[2015 DreamHack Open: Winter]] 24강 * 2016년 * 2016 DreamHack Open: Valencia 8강 (VS [[Snute]] 0:3) * 2018년 * [[World Electronic Sports Games 2017]] 8강 (VS [[조성주(프로게이머)|조성주]] 0:3) * [[StarCraft II: NationWars V]] 8강[* 노르웨이를 상대로 거둔 올킬 1회를 포함하여 8승 1패를 기록 이탈리아 팀을 혼자서 캐리하고 있다. 리카르도를 제외한 나머지 이탈리아 팀 선수들은 0승 3패를 기록 중이다. 8강에서 한국팀의 이신형에게 올킬당하며 최종성적 8승 3패로 대회를 마감한다.] (VS [[대한민국]] 0:4) * [[2018 GSL Season 3]] 코드 S 16강[* 코드S 최연소 외국인 게이머] * [[2018 WCS Valencia]] 8강 (VS [[Serral]] 0:3) * [[2018 WCS Montreal]] 준우승 (VS [[Serral]] 3:4) * [[HomeStory Cup]] XVIII 9~12위 (VS [[김도욱]] 1:3) * 2019년 * [[World Electronic Sports Games|World Electronic Sports Games 2018]] 16강 (VS [[Neeb]] 2:3) * [[2019 WCS Winter Europe]] '''우승''' (VS [[Serral]] 4:3) * [[2019 WCS Spring]] 4강 (VS [[Serral]] 0:3) * [[2019 WCS Summer]] '''우승''' (VS [[Serral]] 4:2) * [[World Cyber Games|World Cyber Games 2019 Xi'an]][* 이벤트 종목으로 [[https://liquipedia.net/starcraft2/World_Cyber_Games/2019|채택]]되었으며 [[알렉스 선더하프트|Neeb]], [[리카르도 로미티|Reynor]], Cyan과 함께 네 명이 초청되어 참가한다.] 준우승 (VS [[조성주(프로게이머)|조성주]] 0:2) * [[Assembly Summer 2019]][*초청시드] 16강 * [[GSL vs. the World 2019]] 16강 (VS [[SpeCial]] 0:3) * [[2019 WCS Fall]] 준우승 (VS [[Serral]] 1:4) * [[2019 WCS Global Finals]][* 2019년 [[어윤수]], [[조성주(프로게이머)|조성주]], [[요나 소탈라]], [[박령우]]에 이은 5번째 글로벌 파이널 직행시드 진출자] 준우승 (VS [[박령우]] 1:4) * [[HomeStory Cup]] XX 준우승 (VS [[Serral]] 3:5) * [[StarCraft II: NationWars 2019]] 3위 (VS [[프랑스]] 4:3) * 2020년 * [[IEM Season XIV - Katowice/스타크래프트 2|IEM Katowice 2020]] 24강 * [[HomeStory Cup|StayAtHomestory Cup #1]] 5~8위 (VS [[강민수(프로게이머)|강민수]] 2:3) * aX Code CD - CynicalDeath Edition 준우승 (VS [[김대엽]] 2:4) * [[TeamLiquid StarLeague 5]] 7~8위 (VS [[이신형]] 2:3) * [[HomeStory Cup|StayAtHomestory Cup #2]] 16강 * [[DreamHack SC2 Masters 2020: Summer/유럽|DreamHack SC2 Masters 2020: Summer - Europe]] '''우승''' (VS [[Serral]] 4:1) * [[DreamHack SC2 Masters 2020: Summer/시즌 파이널|DreamHack SC2 Masters 2020: Summer - Season Finals]] 4강 (VS [[조성호(프로게이머)|조성호]] 1:3) * [[Douyu Cup 2020]][*초청시드] '''우승''' (VS [[Serral]] 4:1) * [[DreamHack SC2 Masters 2020: Fall/유럽|DreamHack SC2 Masters 2020: Fall - Europe]] '''우승''' (VS [[Clem]] 4:2) * [[DreamHack SC2 Masters 2020: Fall/시즌 파이널|DreamHack SC2 Masters 2020: Fall - Season Finals]] '''우승''' (VS [[조성호(프로게이머)|조성호]] 4:3) * [[King of Battles]][*초청시드] 16강 * [[DreamHack SC2 Masters 2020: Winter/유럽|DreamHack SC2 Masters 2020: Winter - Europe]] 준우승 (VS [[Clem]] 2:4) * [[DreamHack SC2 Masters 2020: Winter/시즌 파이널|DreamHack SC2 Masters 2020: Winter - Season Finals]] 8강 (VS [[Clem]] 1:3) * [[ASUS ROG Online 2020]][*초청시드] 4강 (VS [[조성주(프로게이머)|조성주]] 2:3) * [[TeamLiquid StarLeague 6]][*초청시드] 7~8위 (VS [[박령우]] 2:3) * 2021년 * [[DreamHack SC2 Masters 2020: Last Chance 2021]] 16강 (VS [[이신형]] 1:2) * [[IEM Katowice 2021/스타크래프트 2|IEM Katowice 2021]] '''우승''' (VS [[주성욱]] 4:2) * [[HomeStory Cup|StayAtHomestory Cup #3]] 16강 * [[DreamHack SC2 Masters 2021: Summer/유럽|DreamHack SC2 Masters 2021: Summer - Europe]] 준우승 (VS [[Clem]] 1:4) * [[NeXT 2021 S1-SC2 Masters]] 16강 * [[TeamLiquid StarLeague 7]] 준우승 (VS [[조성호(프로게이머)|조성호]] 3:4) * [[DreamHack SC2 Masters 2021: Summer/시즌 파이널|DreamHack SC2 Masters 2021: Summer - Season Finals]] '''우승''' (VS [[조성주(프로게이머)|조성주]] 4:3) * [[DreamHack SC2 Masters 2021: Fall/유럽|DreamHack SC2 Masters 2021: Fall - Europe]] 5~6위 (VS [[Clem]] 2:3) * [[ASUS ROG Fall 2021]][*초청시드] 8강 (VS [[HeRoMaRinE]] 2:3) * [[DreamHack SC2 Masters 2021: Winter/유럽|DreamHack SC2 Masters 2021: Winter - Europe]] 5~6위 (VS [[Clem]] 0:3) * [[HomeStory Cup|StayAtHomestory Cup #4]] 32강 * [[King of Battles 2]] 8강 (VS [[조성주(프로게이머)|조성주]] 1:3) * [[NeXT 2021 S2-SC2 Masters]] 16강 * [[TeamLiquid StarLeague 8]] 5~6위 (VS [[조성호(프로게이머)|조성호]] 1:3) * 2022년 * [[DreamHack SC2 Masters 2021: Last Chance 2022]] 8강 (VS [[강민수(프로게이머)|강민수]] 2:3) * [[IEM Katowice 2022/스타크래프트 2|IEM Katowice 2022]] 준우승 (VS [[Serral]] 3:4) * [[King of Battles 3]] '''우승''' (VS [[Serral]] 4:0) * [[DreamHack SC2 Masters 2022: Summer/유럽|DreamHack SC2 Masters 2022: Summer - Europe]] 준우승 (VS [[Clem]] 3:4) * [[DreamHack SC2 Masters 2022: Valencia]] 8강 (VS [[조성주(프로게이머)|조성주]] 1:3) * [[2022 HOT6 GSL Season 3]] 코드 S 20강 * [[DreamHack SC2 Masters 2022: Winter/유럽|DreamHack SC2 Masters 2022: Winter - Europe]] 준우승 (VS [[Clem]] 3:4) * [[HomeStory Cup|HomeStory Cup XXII]] '''우승''' (VS [[Astrea]] 3:1) * 2023년 * [[IEM Katowice 2023/스타크래프트 2|IEM Katowice 2023]] 8강 (VS [[리페이난|Oliveira]] 2:3) * [[Gamers8 2023/스타크래프트 2|Gamers8 2023]] '''우승''' (VS [[김도욱]] 4:1) == 소개 == [[이탈리아]]의 '''現''' [[스타크래프트 2]] [[프로게이머]]. 종족은 [[저그]]이며, ID는 '''Reynor'''이다. 2019년부터 스타2 씬의 미래라고 주목받고 있는 서킷의 [[2002년]]생 프로게이머이다. 최초의 21세기 태생 [[코드 S]],[* [[2000년]]까지는 [[20세기]]이다. 즉, 2000년생인 [[리페이난]]은 20세기 태생이다. 다만 리페이난은 최초의 2000년대생 코드 S 타이틀을 가지고 있다.] 최연소 [[2019 WCS Summer|WCS 서킷]] 우승자,[* WCS 전체로 따지면 [[옥션 올킬 스타리그 2013]] 당시 조성주가 16세 13일로 최연소] 최연소 [[2019 WCS Global Finals|WCS 글로벌 파이널]] 결승 진출자, 최초의 비 한국인 [[IEM Katowice 2021/스타크래프트 2|IEM 월드 챔피언십]] 우승자 등 어린 나이에 수많은 타이틀을 보유하고 있을 정도로 현존 서킷의 최정상급 선수 중 한 명이다. 2020년대 들어 [[요나 소탈라]], [[이병렬]], [[박령우]]와 함께 세계 4대 저그라 불리고 있다. == [[리카르도 로미티/선수 경력|선수 경력]] == || '''{{{#ffffff 리카르도 로미티의 선수 경력}}}''' || ||<^|1>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6> '''통합 선수 경력''' : '''[[리카르도 로미티/선수 경력]]''' || ||<-2> [[리카르도 로미티/선수 경력#s-1|'''{{{#000000 ~2018년}}}''']] || [[리카르도 로미티/선수 경력#s-2|'''{{{#000000 2019년}}}''']] || [[리카르도 로미티/선수 경력#s-3|'''{{{#000000 2020년}}}''']] || ||<-2> [[리카르도 로미티/선수 경력#s-4|'''{{{#000000 2021년}}}''']] || [[리카르도 로미티/선수 경력#s-5|'''{{{#000000 2022년}}}''']] || [[리카르도 로미티/선수 경력#s-6|'''{{{#000000 2023년}}}''']] || }}}}}}}}} || == 플레이 스타일 == 전체적인 플레이 스타일은 상대의 플레이에 맞춰 대응하는 능력이 뛰어나다. 거기에 기본기 역시 탄탄한데다, 특히 프로들도 수차례 놓치는 저그의 기본 소양인 점막 넓히기와 견제를 상대로 한 방어전 운영을 굉장히 잘한다. 2022년 기준, 최정상급 저그 4명으로 함께 꼽히는 세랄, 이병렬, 박령우와 비교했을 때에도 위의 능력이 특히나 우월하다. 최적화 괴물인 세랄의 올인을 일벌레를 10기 가량이나 더 찍었음에도 불구하고 아무런 피해도 받지 않고 막아낼 만큼 수비력이 뛰어나며, 최정상급 테란들의 강한 압박에도 불구하고 일벌레를 순식간에 90기 이상까지 불리며 점막으로 맵을 장악하고 온갖 방향으로 저글링과 맹독충을 집어넣으며 멀티태스킹 싸움을 걸어서 지속적인 이득을 거두는 방식의 싸움을 지향한다. 게다가 초중반 최적화를 통해 200 병력을 빠르게 채운 뒤, 타이밍을 잡고 상대를 뚫어내는 공격적인 올인성 플레이에도 상당한 강점을 보이기도 한다. 많은 수의 일벌레로 빠르게 자원을 비축하여 끊임없는 난전과 소모전을 유도하는 플레이에도 유능하다. 가장 눈에 띄는 점은 2002년 생의 어린 선수이다 보니 피지컬이 매우 좋은데, 이를 통해 상대가 자신에게 견제를 걸면 역으로 자신도 견제를 걸어 이득을 챙기는 플레이가 인상적이다.[* 대표적으로 WESG 2017에서는 견제를 받으면서도 4히드라 드랍으로 상대의 일꾼을 견제하며 저글링을 꾸준히 돌렸고, GSL Season 3에서도 능수능란하게 다수의 저글링을 끝없이 돌리는 플레이를 통해 난전을 이끌고 이득을 거두며, 스타2 팬들에게 자신의 이름을 확실히 각인시켰다.] 그 중에서도 [[저글링(스타크래프트 시리즈)|저글링]], [[뮤탈]] 돌리기 플레이는 타의 추종을 불허할 정도. 실력적으로 전성기를 맞이한 2020년 들어서는 저글링, 뮤탈리스크 견제를 할 수 있는 피지컬이 받쳐주기 때문에 많이 먹고 많이 때리는 식으로 경기를 풀어 나가는 편이다. 초반 방어를 성공적으로 해낸 이후에는 일꾼을 90기 내외로 늘려준 다음에 병력 교환비에서 손해를 좀 보더라도 상대방의 자원줄을 말리는 철저한 아웃파이팅을 펼치고 있다. 또한 새로운 빌드와 전술에 대한 시도 역시 도전적인 성향이며, 세랄을 상대로 전작의 저글링 러커와 흡사한 저글링 가시지옥 전략을 시도해 완벽하게 성공시키며 승리한 전적도 있다. 다만 [[무감타]] 운영에서 약점을 보여서 극후반에 반반싸움에서 무너지는 경우가 더러 있다. 둥지탑을 하나만 지어서 업그레이드가 늦는다던가, 무리군주를 무빙했다가 토르나 폭풍함에 두들겨 맞는다던가. 그래도 2021년부터 저그의 극후반 운영 메타가 무감타로 천천히 라인전을 하는게 아닌, 가시지옥과 히링링을 빠르게 쏟아붓는 쪽이 대세인 상태라 병력 움직임이 좋은 레이너에게는 날개가 달린 상황이었다.[* 테저전에서 테란과 후반 싸움을 간다고 했을때 중반에 우위를 점해 포자촉수가 동반되는 상황이 아니라면 무리군주는 바이킹의 밥이고, 울트라는 유령에게 카운터를 맞는 상황이다. 때문에 손싸움이 되는 프로 단계에서는 히링링에 울트라를 섞는 기존 방식에서 울트라를 뺀 가시지옥을 가는 쪽으로 메타가 바뀐 상황.] 하지만 다시 무감타 활용능력이 중요해진 2022년 중반부터는 위에 서술된 단점 때문에 대회에서 발목을 잡히고 있다. 전체적인 피지컬은 굉장히 좋지만 그 피지컬 능력도 [[조성주(프로게이머)|조성주]], [[클레망 데플란케|Clem]] 정도의 선수들이라면 유의미한 성과가 나오지 않고 있으며 특히나 후반 운영 능력에 약해 박수호에게 저저전 운영에서 패하는 등 2021년 만큼의 포스는 나오지 않고 있다. == 기타 == * [[스타크래프트 2]] 프로게이머 중에서 프랑스의 테란 [[클레망 데플란케|Clem]], 크로아티아의 프로토스 [[레온 브롤베브|goblin]], 미국의 테란 [[조셉 스타니시|Future]]와 같이 [[2002년]]생 동갑인데, 이들 중 현재 단연 빼어난 커리어와 활약을 보여주고 있다. * 에너지 드링크 글로벌 기업 [[레드불]]과 개인 스폰서쉽을 맺고 있다. 그래서인지 대회 안밖에서 레드불 로고가 박힌 모자나 상의 등을 자주 착용한다. * [[피자]]의 본고장 이탈리아 출신답게 피자에 대한 근본과 취향이 확고한 듯 하다. 본인 [[https://twitter.com/Reynor02/status/1207930255463387136|트윗]]에 "내 인생의 마지막 목표는 피자에 케첩이나 마요네즈를 첨가하는 모든 사람들을 감옥에 넣는 것이다"란 [[https://gall.dcinside.com/m/sc2/524020|드립도 쳤다]]: My final goal in life is to put in jail everyone that adds ketchup or mayo on the pizza. 아니나다를까 [[하와이안 피자|파인애플 피자]]를 매우 싫어한다. * 친동생인 [[2005년]]생 [[https://liquipedia.net/starcraft2/BabyMarine|BabyMarine]] 안드레아 로미티도 Team Rotti 소속 스타크래프트 2 [[테란]] 선수이다. 그가 15살 무렵, EU 서버에서 [[스타크래프트 2/리그#s-9|그랜드마스터 리그]]에 도달했다는 사실로 보아 집안 유전자 자체가 게임 재능을 타고난 듯 하다.[* 후안 모레노 듀란-페드로 모레노 듀란 형제와 마찬가지로 쌍둥이지만, 종족이 다른 두 번째 케이스다.] 다만 형의 커리어에 비해 안드레아 로미티는 아직 이렇다할 성적을 내지 못해 프로에서는 여전히 유망주 신세다. * [[GSL vs. the World 2019]] 대회 참가로 한국에 다시 왔을 때, 인터뷰에서 지난 [[2018 GSL Season 3]]에 참가한 경험이 본인의 실력 향상에 많은 도움이 되었다고 언급하였다. * 평소에 싱글벙글 잘 웃는데다가, 경기 승패에 따라 [[https://gall.dcinside.com/m/sc2/828314|리액션]]도 큰 편이다. 또 쉴새없이 혼잣말을 내뱉기도 하는데, 사실은 대회를 할 때 독특하게도 노래를 즐겨 들으며 [[https://gall.dcinside.com/m/sc2/824688|이탈리안 랩]]을 따라 부르는거라고 한다. * [[IEM Season XIV - Katowice/스타크래프트 2|IEM Katowice 2020]] 인터뷰에서 자신이 코리안 저그 슬레이어라고 말했다가 [[어윤수]], [[이병렬]]에게 패하여 24강 탈락하면서 '''코저슬'''이란 별명을 얻었다. 그래도 이듬해 [[IEM Katowice 2021/스타크래프트 2|IEM Katowice 2021]]에서 외국인 킬러인 [[박령우]]를 8강에서 꺾어내며 이후 우승까지 차지, 결국 코저슬을 증명해냈다. * 이탈리아 출신의 [[e스포츠]] 선수로서 어린 나이에도 불구하고 훌륭한 성과를 내고 있는데, 그 결과 2019년 4월 IVGA 최우수 e스포츠 선수상을 수상하였으며, 2020년 9월과 2021년 10월에 IIDEA 최우수 이탈리아 선수상을 2연속 수상하였다. * 2022년 여름서부터 주종 저그가 아닌 [[프로토스]]로도 제법 빼어난 실력을 선보이고 있다.[* 테란 캐릭터를 닉네임으로 사용하는 저그 주종족 선수가 프로토스로 플레이하는 것.] 유럽 서버 래더에서 6600점에 도달하는 모습을 보여주더니 급기야 프로토스로 참가한 ESL 오픈 컵 EU 127주차에서는 [[ShoWTimE]]과 [[HeRoMaRinE]]을 연파하고 결승까지 진출하며 많은 이들을 놀라게 하였다.[* 당시 ESL 오픈 컵 EU 127주차 결승 상대는 유럽 테란 1인자인 클렘이어서 아쉽게 1-3으로 패했다.] 또한 [[DreamHack SC2 Masters 2022: Valencia]] 조별리그에서 [[강민수(프로게이머)|강민수]]를 상대로 프로토스를 꺼내들어 2:0으로 승리하기도 했다. [[분류:프로게이머/스타크래프트 2]][[분류:이탈리아의 인물]][[분류:2002년 출생]][[분류:e스포츠 관련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