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보스턴 레드삭스 명예의 전당)] ---- [[분류:미국의 야구 선수]][[분류:1943년 출생]][[분류:1963년 데뷔]][[분류:1976년 은퇴]][[분류:브루클린 출신 인물]][[분류:내야수]][[분류:우투우타]][[분류:보스턴 레드삭스/은퇴, 이적]] || 이름 || 아메리코 피터 "리코" 페트로셀리 (Americo Peter "Rico" Petrocelli) || || 생년월일 || [[1943년]] [[6월 27일]] || || 국적 || [[미국]] || || 출신지 || [[뉴욕]] [[브루클린]] || || 포지션 || [[유격수]] || || 투타 || [[우투우타]] || || 신체조건 || 193cm, 105kg || || 프로입단 || [[1963년]] [[9월 21일]] || || 소속팀 || [[보스턴 레드삭스]](1963, 1965~1976) [br] || [목차] == 개요 == [[브루클린]] 출신 야구 선수. 미국의 전직 야구 유격수 겸 3루수로, [[보스턴 레드삭스]]에서 메이저리그 통산 전역을 뛰었다. 그는 6피트 0인치(1.83m)와 185파운드(84kg)의 체중을 자랑하며 오른손 투수와 타구를 병행했다. == 커리어 == 페트로첼리는 1961년 7월 아마추어 프리 에이전트로 [[보스턴 레드삭스]]에 의해 지명되었다. 페트로첼리는 보스턴의 B급 농장 팀인 윈스턴-살렘 레드삭스와 137경기에서 17개의 홈런과 80타점을 기록하며 1962년 시즌을 보냈다. 1963년에는 더블애더링 레드삭스에서 뛰면서 다시 137경기를 뛰었으며, 19홈런, 평균 타점 0.239개를 기록했다. 페트로첼리는 [[1963년]] 보스턴과 9월 21일 [[미네소타 트윈스]]와 MLB 1경기를 치렀다. 그는 선발 유격수였고 그의 첫 번째 메이저리그 안타는 이스탠지와의 2루타였다. [[1964년]] 페트로첼리는 트리플A 시애틀 레이니어스에서 134경기를 뛰며 타율 0.231에 10홈런, 48타점을 기록했다. === [[보스턴 레드삭스]] === ==== [[1965년]] ==== 시즌 내내 보스턴과 함께 103경기에 출전하여 유격수에서 93개의 스타트를 기록했다. 시즌 타율 0.232에 13홈런, 33타점을 기록했다. ==== [[1966년]] ==== 139경기에서 .238의 타율과 18홈런, 59타점을 기록했다. ==== [[1967년]] ==== 보스턴의 '임파서블 드림' 해에 페트로첼리는 올스타전에 선발되었다. 그는 [[아메리칸 리그]] 팀의 선발 [[유격수]]였으며, 한 타석에서 무안타에 그쳤다. 페트로첼리는 정규시즌 142경기에 출전해 17홈런 66타점 평균 0.259를 기록했다. 1967년 월드시리즈에서 2홈런, 3타점으로 4포20(.200) 타자로 7경기 모두 선발 출장했다. 그의 두 홈런은 모두 세인트루이스의 [[딕 휴즈]]의 6차전에서 나왔다. 그러나 보스턴은 결국 [[카디널스]]전과의 시리즈에서 4대 3으로 졌다. ==== [[1968년]] ==== 타율 0.234에 123경기, 12홈런, 46타점을 기록했다. ==== [[1969년]] ==== [[유격수]]로 홈런 기록 40개를 세웠으며, 154경기를 뛰면서 97타점과 통산 최고 기록(2.97개)을 기록했다. fWAR 9.6 bWAR 10.0로 커리어 하이를 기록했다. 그는 또한 두 번째 올스타전에 출전했는데, [[아메리칸 리그]] 팀의 [[유격수]]에서 시작하여 [[제리 쿠스먼]]의 2루타로 플레이트에서 1타수 3루타를 쳤다. 페트로첼리는 1968년과 1969년 각각 0.978과 0.981로 아메리칸 리그 단점들을 이끌었다. ==== [[1970년]] ==== 29개의 홈런을 치고 통산 103타점을 올렸고 157경기에서 타율 0.261을 기록했다. ==== [[1971년]] ==== 레드삭스는 유격수 [[루이스 아파리시오]]를 영입했고 페트로첼리는 3루로 이적했다. 그는 [[아메리칸 리그]] [[3루수]]를 필딩 비율(.976)에서 선두로 나섰고, 총 463번의 찬스에서 11개의 실책만을 기록했다. 통산 최다인 158경기에서 타율 0.251에 28홈런 89타점을 기록했다. ==== [[1972년]] ==== 타율 0.240에 15홈런 75타점을 기록하며 147경기에 출전했다. ==== [[1973년]] ==== 오른쪽 팔꿈치에 칼슘 침전물이 있어 8월 11일 이후 경기에 나서지 않고 수술을 받아야 했다. 시즌 동안 그는 타율 0.244에 13홈런 45타점을 기록하며 100경기 출전했다. ==== [[1974년]] ==== 1974년에 다시 복귀하여 15개의 홈런, 76타점, 평균 타율 0.267로 129경기를 치렀다. 그는 9월 15일 이후 [[밀워키 브루어스]]의 [[짐 슬라톤]]이 던진 투구에 머리를 맞아 경기에 출전하지 않았다. ==== [[1975년]] ==== 1975년 정규시즌 동안 115경기에서 0.239의 타율을 기록하며 7개의 홈런과 59타점을 기록했다. 그는 내이 문제로 8월 하반기를 놓쳤는데, 아마도 [[1974년]] 그의 콧노래와 관련이 있을 것이다. 보스턴은 [[아메리칸 리그]] 동부 지방에서 우승하였고, [[아메리칸 리그]] 챔피언십 시리즈에서 [[오클랜드 애슬레틱스]]와 맞붙었다. 페트로첼리는 3루에서 3경기를 모두 시작했는데, 레드삭스가 오클랜드를 싹쓸이했고, 2타점 홈런과 2타점으로 12타수 2안타(.167)를 기록했다. 보스턴이 [[신시내티 레즈]]에게 패한 [[1975년 월드 시리즈]]에서 3할 8푼 8리를 4타점으로 때려 7경기 모두 3루에서 선발로 나섰다. 그는 1975년 포스트시즌에서 실수를 저지르지 않았다. ==== [[1976년]] ==== 페트로첼리는 추가적인 내이 문제로 8월 20일 부상자 명단에 올랐다. 그는 그 해에 3경기만 더 뛰었다. 시즌 동안, 그는 85경기 동안 통산 최저 타율 0.213에 3개의 홈런과 24타점을 기록했다. ==== [[1977년]] ==== 스프링 트레이닝 동안, 레드삭스는 [[부치 홉슨]]이 팀의 정규 3루수로 부임하면서 페트로첼리를 방출했다. == 기록 == 레드삭스 시절 페트로첼리는 경기 1553경기에서 타율 0.251에 210홈런, 773타점, 653득점을 기록했다. 2018년 현재, 페트로첼리는 3루수에서 MLB의 역대 8번째 필드링 비율을 보유하고 있다. [[1997년]] [[보스턴 레드삭스]]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