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리투아니아)] ||<-7>
[[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width=25]]''' {{{#000 리투아니아 외교 관련 틀}}}''' [[파일:리투아니아 국장.svg|width=25]] || ||<-7>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북유럽의 외교)] [include(틀:리투아니아의 대외관계)] [include(틀:리투아니아 관련 문서)] }}} || [목차] == 개요 == [[발트3국]] 중 하나인 리투아니아의 외교 관계를 다루는 문서. 리투아니아는 [[러시아 제국]]과 [[소련]]의 지배를 받은 적이 있다보니 러시아를 견제하기 위해 [[유럽연합]]과 [[북대서양 조약 기구]]에 가입했다. 특히 반러정책 관련하여 [[발트3국]]에 속한 [[에스토니아]], [[라트비아]]와는 교류와 협력이 활발한 편이다. [[독일]]과의 관계는 오늘날 기준으로는 우호적이지만, 중세 [[튜튼 기사단]]이 리투아니아를 침략했던 역사 때문에 민간 감정은 전통적으로 좋지 못한 편이었다. 이 외에도 [[나치 독일]]이 리투아니아를 침공해서 점령한 적이 있었다. 중세 당시 사실상 한 나라나 다름없었던 [[벨라루스]]와의 관계는 현재 갈등이 매우 심각해졌다. 폴란드에 대한 국민 감정은 독일이나 벨라루스에 대해 느끼는 감정이 반반씩 섞여 있다고 보면 된다. 2020년 실시된 여론조사에서는 리투아니아인 중 93%가 이웃나라 [[라트비아]]에 대해 우호적이라고 응답했으며, [[독일]](87%), [[에스토니아]](85%) 등에 대해서도 우호적이라는 응답이 다수를 점했다. 한편 [[폴란드]]와 [[미국]]에 대해서 우호적이라고 응답한 비율은 각각 74%, 73%였다. [[벨라루스]]에 대해서는 우호적이라는 응답(44%)과 우호적이지 않다는 응답(36%)이 엇비슷했고, [[러시아]]에 대해서는 68%가 우호적이지 않다고 응답한 반면 우호적이라는 응답은 13%[* 대다수가 러시아계 이주민의 후손이거나 러시아 제국 내지는 소련 치하에서 러시아화된 리투아니아인의 후손일 것으로 추정된다.]에 그쳤다.[[https://www.delfi.lt/en/politics/survey-more-lithuanians-view-belarus-as-unfriendly-state.d?id=84689923|#]] == [[아시아]] ==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height=16]] [[대한민국]]과의 관계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한국-리투아니아 관계)] 한국과는 [[소련 해체]]이후에 수교했다. 양국간 교류는 2000년대 이후에 많아지고 있다. 그리고 리투아니아를 방문하는 한국인 관광객들도 늘어나고 있다. 주 폴란드 한국 대사관에서 리투아니아를 겸임하고 있다. === [[파일:중국 국기.svg|height=16]] [[파일:대만 국기.svg|height=16]] [[중화권]]과의 관계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중화권-리투아니아 관계)] === [[파일:북한 국기.svg|height=16]] [[북한]]과의 관계 === [[북한]]도 물론 수교하였다. 현재도 북한과 미수교 상태인 [[에스토니아]]와는 달리 [[1991년]] [[9월 25일]]에 [[라트비아]]처럼 한국보다도 1개월 먼저 공식적으로 수교하였지만 [[리투아니아]] 주재 북한 대사관은 [[1995년]]부터 [[3년]] 동안 [[코펜하겐]] 주재 북한 대사관을 통해 겸임하였다가 [[1998년]] [[스톡홀름]] 주재 북한 대사관으로 겸임지가 이관되어 겸임중에 있다. 사실 에스토니아가 북한을 워낙 이례적으로 적대해서 그렇지 리투아니아, 라트비아도 북한을 좋게 보는 건 아니다. === [[파일:이스라엘 국기.svg|height=16]] [[이스라엘]]과의 관계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리투아니아-이스라엘 관계)] == [[유럽]] == === [[파일:러시아 국기.svg|height=16]] [[러시아]]와의 관계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러시아-리투아니아 관계)]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러시아-폴란드-리투아니아 관계)] [[리투아니아]]는 오랫동안 [[러시아 제국]]과 [[소련]]의 지배를 받다가 독립했기 때문에 [[반러]]감정이 심한 편이다. 다만, [[발트3국]]과 달리 [[러시아인]]들이 소수이기 때문에 [[리투아니아]]내의 [[러시아인]]들에게 대부분 시민권을 줬다. ===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height=16]] [[우크라이나]]와의 관계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우크라이나-리투아니아 관계)]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폴란드-우크라이나-발트 3국 관계)] [[우크라이나]]와의 관계는 매우 좋은 편이다. [[우크라이나]]와는 [[소련]] 해체 이후에 독립국이 되면서 양국은 공식수교했다. 현재에도 [[리투아니아]]는 [[우크라이나]]와 협력하고 있다. === [[파일:폴란드 국기.svg|height=16]] [[폴란드]]와의 관계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폴란드-리투아니아 관계)]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러시아-폴란드-리투아니아 관계)]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폴란드-우크라이나-발트 3국 관계)] [[폴란드]]와는 매우 우호적이다. 양국은 [[언어]], [[문화]], [[종교]] 등에서 매우 가까우며 현재에도 교류와 협력하고 있다. 양국은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시절에 관계가 매우 우호적이었다. [[리투아니아]] 내의 [[폴란드계 리투아니아인|폴란드인]]은 [[러시아계 리투아니아인|러시아인]]보다 많은 편이다. === [[파일:벨라루스 국기.svg|height=16]] [[벨라루스]]와의 관계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벨라루스-리투아니아 관계)] 소련 해체 이후에는 서로 적대하는 관계이다. 리투아니아가 독립 이후 [[서방]]권에 속하는 국가라면 벨라루스는 [[친러]]성향의 국가이자 [[반서방]]국가라서 양국의 외교적 관계는 갈등이 심각한 편이다. 그러나 민간 감정은 그렇게까지 나쁜 편은 아닌데, 2020년에 벨라루스에서 [[2020년 벨라루스 시위|시위]]가 일어나자 리투아니아는 벨라루스 정부 인사들을 제재하는 한편, 리투아니아로 망명하는 벨라루스 민주화 운동 인사들은 적극 보호했던 바 있다. === [[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height=16]] [[에스토니아]]와의 관계 === [[에스토니아]]와는 [[발트 3국]]에 포함되어 있다. 그리고 리투아니아는 에스토니아, 라트비아와 함께 EU, 나토에 가입되어 있고 러시아를 견제하기 위해 협력하고 있다. 국민 감정은 다소 애매한데, 현대에는 같은 발트 3국이자 반러 국가로서 연대하는 편이지만, 과거에는 사이가 별로 좋지는 않았다. 에스토니아 민간 설화에는 리투아니아인들을 사악한 침략자로 묘사하는 경우가 적지 않다. 17세기 초 [[리보니아]]를 두고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과 스웨덴 왕국과 전쟁이 발발하는데, 세임에서 군인들에게 봉급을 제대로 주지 못하면서 폴란드인 귀족 리소프스키가 봉급을 돈 대신에 약탈을 할 권리를 받는 조건으로 리투아니아인 용병들을 고용하고, 에스토니아 현지인들을 마구 약탈한 적이 있었기 때문이다.[* 리소프스키 사후 이 용병들은 자신들을 리소프스키의 부하들이란 뜻에서 자신들을 리소프치치(Lisowczycy)로 칭했다.] 물론 이런 에스토니아 민간 설화들은 근현대 에스토니아 민족주의가 부흥하는 와중에 수집되고, 오늘날 에스토니아 교과서에서 가르치기도 하고. 다른 한편으로 발트 3국에 체류하는 사람들이 전하는 바에 의하면 리투아니아인들은 에스토니아인들을 어딘가 쓸게빠진 사람들로 취급하는 편이라고 한다. 리투아니아와 라트비아, 에스토니아와 라트비아가 서로 국민 감정이 무척 좋은 것과 비교해보면 의아할 수도 있지만, 실상을 알고 나면 이상할 것도 없는 것이 리투아니아는 유럽 기준으로 유달리 종교 민족주의가 강한 편이고, 에스토니아는 유럽에서도 가장 무종교인 비율이 높은 국가이기 때문이다. 즉 에스토니아와 리투아니아 상호간의 종교관 및 문화적 차이가 서로를 얕잡아보는 감정으로 이어졌다고 볼 수 있다. === [[파일:라트비아 국기.svg|height=16]] [[라트비아]]와의 관계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리투아니아-라트비아 관계)] [[라트비아]]와는 [[발트 3국]]에 포함되어 있다. 라트비아 동남부에 거주하는 [[라트갈레주]]의 [[라트갈레족|라트갈레인]]들은 루터 교회를 믿는 여타 [[라트비아인]]들과 다르게 리투아니아처럼 가톨릭을 믿고 리투아니아어와 흡사한 [[라트갈레어]]를 사용한다. 리투아니아는 에스토니아, 라트비아와 함께 EU, 나토에 가입되어 있고 러시아를 견제하기 위해 협력하고 있다. === [[파일:독일 국기.svg|height=16]] [[독일]]과의 관계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독일-리투아니아 관계)] === [[파일:튀르키예 국기.svg|height=16]] [[튀르키예]]와의 관계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튀르키예-리투아니아 관계)] === [[파일:스웨덴 국기.svg|height=16]] [[스웨덴]]과의 관계 ===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이 [[대홍수(역사)|보흐단 흐멜니츠키 반란 직후 스웨덴군의 침공을 받을 당시]] [[폴란드 왕국]] 측에 불만을 품은 일부 [[리투아니아 대공국]] 귀족들이 스웨덴 편을 들고 스웨덴-리투아니아 동군연합을 구상한 적도 있었다. 오늘날에는 적지 않은 리투아니아인들이 스웨덴에서 이주노동자로 일하고 있다. === [[파일:영국 국기.svg|height=16]] [[영국]]과의 관계 === 영국에는 약 10만여 명 가량의 리투아니아인들이 체류하고 있다. 2020년도 이후 영국의 공공의료 체제에 결함이 드러나면서 리투아니아로 의료관광을 오는 영국인들이 증가하고 있다.[[https://www.yna.co.kr/view/AKR20230122015400009|#]] == [[아메리카]] == === [[파일:미국 국기.svg|height=16]] [[미국]]과의 관계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미국-발트 3국 관계)] [[미국]]과는 매우 우호적이다. 양국은 [[러시아]]를 견제하기 위해 협력하고 있다. 또한, [[나토]]회원국들이다. 미국에는 60만여 명 이상 규모의 [[리투아니아계 미국인]]들이 거주한다. == [[오세아니아]] == === [[파일:호주 국기.svg|height=16]] [[호주]]와의 관계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호주-발트 3국 관계)] == 지역별 관계 == * [[한국-리투아니아 관계]] * [[중화권-리투아니아 관계]] * [[러시아-리투아니아 관계]] * [[독일-리투아니아 관계]] * [[폴란드-리투아니아 관계]] * [[러시아-폴란드-리투아니아 관계]] * [[벨라루스-리투아니아 관계]] * [[우크라이나-리투아니아 관계]] * [[폴란드-우크라이나-발트 3국 관계]] * [[튀르키예-리투아니아 관계]] * [[리투아니아-라트비아 관계]] * [[미국-발트 3국 관계]] * [[호주-발트 3국 관계]] == 관련 문서 == * [[유럽연합]] * [[발트해 국가 이사회]] * [[루블린 삼각동맹]] * [[NB8]] * [[대국관계일람/유럽 국가/북유럽 국가]] == 관련 기사 ==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0/0003419405?sid=110|리투아니아가 보여준 반중·반러의 길 [글로벌 이슈/하정민]]] - 동아일보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5/0003164491?sid=100|중국에 ‘맞짱’뜨는 유일한 나라 '리투아니아'…세계 외교가가 놀랐다]] - 중앙일보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리투아니아, version=453)] [[분류:리투아니아의 외교]][[분류:나무위키 외교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