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명일방주/이벤트]] [include(틀:스포일러)] [include(틀:명일방주)] [include(틀:명일방주/사이드 스토리)] ||<-2> {{{+1 '''링거링 에코스''' }}}[br]'''(尘影余音)'''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링거링에코스.png|width=100%]]}}} || ||<-2> {{{#fff '''서버별 명칭''' }}} || ||{{{#fff 중국 서버 }}} || 尘影余音 || ||{{{#fff 한국 서버 }}} || 링거링 에코스 || ||{{{#fff 글로벌 서버 }}} || Lingering Echoes || ||{{{#fff 일본 서버 }}} || 塵影に交わる残響 || [목차] [clearfix] == 개요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04Cgs9NNMxI)]}}} || || {{{#fff 메인 트레일러}}} || [[라이타니엔]]의 이동도시 비세하임에서 벌어진 사건을 다루는 사이드 스토리. [[월루몽드의 황혼]] 다음으로 출시된 라이타니엔 이벤트이다. == 개방 기간 == || '''{{{#ffffff,#dddddd 개방 기간}}}''' || || 중국 서버: 2022년 6월 9일 ~ 2022년 6월 22일 요스타 서버: 2022년 12월 27일 ~ 2023년 1월 10일 || * 신규 오퍼레이터로 [[에벤홀츠]], [[히비스커스 더 퓨리파이어]], [[체르니(명일방주)|체르니]]가 추가되었다. '''체르니'''는 배포 오퍼레이터다. * 신규 스킨으로 [[플레임테일]], [[키라라(명일방주)|키라라]], [[아오스타(명일방주)|아오스타]] 스킨이 추가되었다. * 신규 한정 가구 세트로 『붉은 노을의 인상 음악실』이 추가되었다. * 신규 모듈 대상자로 캐스터는 [[에벤홀츠]], [[아이리스(명일방주)|아이리스]], [[인디고(명일방주)|인디고]]가 있으며, 디펜더로 [[블레미샤인]], [[사리아(명일방주)|사리아]], [[니어(명일방주)|니어]], [[훔(명일방주)|훔]], [[굼(명일방주)|굼]]이 있다. 추가 모듈 대상자로 [[패신저]]와 [[스카디(명일방주)|스카디]]가 있다. || '''{{{#ffffff,#dddddd 재개방 기간}}}''' || || 중국 서버: 2023년 6월 20일 ~ 2023년 7월 4일 요스타 서버: 미정 || == 진행 방식 == ||<-3> '''{{{#ffffff,#dddddd 주요 교환 상점 보상}}}''' || || '''[[체르니(명일방주)|체르니]]의 증표''' || '''헤드헌팅 허가증''' || '''모듈 데이터 칩''' || || '''중합제''' || '''개량 장치''' || '''망간 중합체''' || || '''결정 회로''' ||<-2> 가구 - '''붉은 노을의 인상 음악실''' 일부 || 주요 아이템 파밍 대상은 LE-5의 포도당 번들, LE-6의 연마석, LE-7의 반합성 용제이다. 반합성 용제가 최초로 등장한 이벤트이며, 보스 맵인 LE-8에서는 파밍 아이템이 드랍되지 않는다. == 등장하는 적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명일방주/적/2022년)] ||<-4> '''등장하는 적들''' || || [[명일방주/적/2022년#s-2.13|[[파일:enemy_1238_ltmob.png|width=70%]][br]'길거리 한량']] || [[명일방주/적/2022년#s-2.13|[[파일:enemy_1238_ltmob_2.png|width=70%]][br]'길거리 취객']] || [[명일방주/적/2022년#s-3.11|[[파일:enemy_1239_ltbow.png|width=70%]][br]'길거리 공연가']] || [[명일방주/적/2022년#s-3.11|[[파일:enemy_1239_ltbow_2.png|width=70%]][br]'길거리 음악가']] || || [[명일방주/적/2022년#s-2.14|[[파일:enemy_1240_ltgint.png|width=70%]][br]양산형 거대 석상]] || [[명일방주/적/2022년#s-2.14|[[파일:enemy_1240_ltgint_2.png|width=70%]][br]개량된 양산형 거대 석상]] || [[명일방주/적/2022년#s-2.15|[[파일:enemy_1246_aslime.png|width=70%]][br]검은 원석충]] || [[명일방주/적/2022년#s-2.15|[[파일:enemy_1246_aslime_2.png|width=70%]][br]검은 원석충 α]] || || [[명일방주/적/2022년#s-3.12|[[파일:enemy_1241_ltmage.png|width=70%]][br]고탑 캐스터]] || [[명일방주/적/2022년#s-3.12|[[파일:enemy_1241_ltmage_2.png|width=70%]][br]베테랑 고탑 캐스터]] || [[명일방주/적/2022년#s-3.13|[[파일:enemy_1242_ltsmag.png|width=70%]][br]잔당 바이올리니스트]] || [[명일방주/적/2022년#s-3.13|[[파일:enemy_1242_ltsmag_2.png|width=70%]][br]잔당 수석 바이올리니스트]] || || [[명일방주/적/2022년#s-3.14|[[파일:enemy_1243_ltswar.png|width=70%]][br]잔당 색소포니스트]] || [[명일방주/적/2022년#s-3.14|[[파일:enemy_1243_ltswar_2.png|width=70%]][br]잔당 정식 색소포니스트]] || [[명일방주/적/2022년#s-3.15|[[파일:enemy_1244_ltssch.png|width=70%]][br]잔당 진지 캐스터]] || [[명일방주/적/2022년#s-3.15|[[파일:enemy_1244_ltssch_2.png|width=70%]][br]잔당 베테랑 진지 캐스터]] || || [[명일방주/적/2022년#s-3.16|[[파일:enemy_1247_ltgtld.png|width=70%]][br]미스 게르트루트[* 이벤트의 중간 보스. 스토리에 관한 자세한 설정은 [[라이타니엔#s-2.1.3.3|이 항목]]을 참고.]]] || [[명일방주/적/2022년#s-7.4|[[파일:kre.png|width=70%]][br]'''크라이데, '속세의 유체\''''[* 이벤트의 보스. 스토리에 관한 자세한 설정은 [[라이타니엔#s-2.1.3.2|크라이데]] 항목을 참고.]]] || || || == 새로 등장하는 기믹 == > '''폐에너지 간섭''' > SP 자연 회복 속도 저하 > '''리포밍 플럭스''' > 영향받고 있는 아군 오퍼레이터의 SP 자연 회복 속도 상승. 아군 오퍼레이터가 바라보는 방향으로 리포밍 플럭스 굴절 > ''' '튜바' ''' > 지속적으로 리포밍 플럭스 생성[* 현재 한섭에서는 주술메딕 설명이 대신 적혀있는 오류가 있다. 실제 튜바는 리포밍 플럭스 생성 외에는 아무것도 하지 않는다.] > '''L-7 '반향벽' ''' > 리포밍 플럭스가 조사될 시 특정 방향으로 굴절 > ''' '공명기' ''' > 리포밍 플럭스에 노출될 시 초당 1의 SP가 충전되어 20만큼 충전될 시 활성화, 배치 가능 상태가 되어 아군을 배치한 방향으로 리포밍 플럭스 생성 링거링 에코스의 모든 맵에서는 '''폐에너지 간섭'''이라는 패널티로 인해 '''SP 자연 회복 속도가 초당 0.5만큼 감소한다.'''[* 공격 회복, 피격 회복은 영향받지 않는다.] 이 폐에너지 간섭 효과를 상쇄하기 위해서는 '''리포밍 플럭스'''를 활용해야 한다. 리포밍 플럭스는 전장에 배치된 '튜바'로부터 지속적으로 발사되는 광선으로, 아군을 이 광선의 경로에 배치하면 '''해당 아군이 바라보는 방향으로 광선이 꺾인다.'''[* 소환수의 경우 리포밍 플럭스를 꺾어주지 못하지만 영향은 받는다.] 또한 '''반향벽'''에 리포밍 플럭스가 조사되면 반사면의 방향대로 리포밍 플럭스를 꺾어준다. 리포밍 플럭스의 경로에 이미 다른 리포밍 플럭스가 존재할 경우 더 이상 진행하지 못하고 막힌다. 리포밍 플럭스의 범위 내에 있는 오퍼레이터는 SP 자연 회복 속도가 초당 0.5만큼 증가하여, 폐에너지 간섭의 영향을 완전히 상쇄할 수 있다. 일부 맵에서는 '''공명기'''라는 기물이 등장한다. 비활성화된 공명기는 배치 불가 상태이지만, 공명기에 리포밍 플럭스를 조사하면 공명기의 SP가 초당 1씩 충전되고, 20까지 충전되면 활성화되어 배치 가능 타일로 작용한다. 이 활성화된 공명기에 아군을 배치하면 '''해당 아군이 바라보는 방향으로 리포밍 플럭스를 지속적으로 발사한다.''' 따라서 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튜바'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폐에너지 간섭의 영향을 상쇄하는 것 외에도, 링거링 에코스에 등장하는 적들은 리포밍 플럭스의 범위 밖에 있는 아군 오퍼레이터에게 추가 대미지를 가하거나, 자신이 리포밍 플럭스의 범위 내에 들어갔을 때 능력치가 약화되는 등의 기믹을 가지고 있어 적절한 배치가 요구된다. == 훈장 세트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명일방주/영광의 길/2022년 이벤트)] == 등장인물 == [include(틀:다른 뜻1, other1=기타 캐릭터나 스토리 설정, rd1=라이타니엔)] ||<-4> '''등장 오퍼레이터''' || || [[에벤홀츠|[[파일:명일방주에벤홀츠아이콘.webp|width=65%]][br]에벤홀츠]] || [[체르니(명일방주)|[[파일:명일방주체르니아이콘.webp|width=65%]][br]체르니]] || [[히비스커스 더 퓨리파이어|[[파일:명일방주히비스커스더퓨리파이어아이콘.webp|width=65%]][br]히비스커스 더 퓨리파이어]] || == 스토리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명일방주/스토리/2023년)] ||<-2> '''{{{#ffffff,#dddddd 한국서버 공식 번역 [[https://050644zf.github.io/ArknightsStoryTextReader/?s=ko_KR#/ko_KR/event/act18side|#]]}}}''' || || LE-ST-1[br] [[프레데리크 쇼팽/작품 목록#왈츠|화려한 대왈츠]] || [[https://050644zf.github.io/ArknightsStoryTextReader/?s=ko_KR#/ko_KR/content?f=activities/act18side/level_act18side_st01|브릿지]] || || LE-1[br] [[요한 슈트라우스 2세#폴카 & 갈롭|트리치 트라치 폴카]] || [[https://050644zf.github.io/ArknightsStoryTextReader/?s=ko_KR#/ko_KR/content?f=activities/act18side/level_act18side_01_beg|작전 전]] / [[https://050644zf.github.io/ArknightsStoryTextReader/?s=ko_KR#/ko_KR/content?f=activities/act18side/level_act18side_01_end|작전 후]] || || LE-2[br] [[피아노 소나타 23번(베토벤)|열정]], 또는 [[피아노 소나타 8번(베토벤)|비창]] || [[https://050644zf.github.io/ArknightsStoryTextReader/?s=ko_KR#/ko_KR/content?f=activities/act18side/level_act18side_02_beg|작전 전]] / [[https://050644zf.github.io/ArknightsStoryTextReader/?s=ko_KR#/ko_KR/content?f=activities/act18side/level_act18side_02_end|작전 후]] || || LE-3[br] [[마탄의 사수]] || [[https://050644zf.github.io/ArknightsStoryTextReader/?s=ko_KR#/ko_KR/content?f=activities/act18side/level_act18side_03_beg|작전 전]] / [[https://050644zf.github.io/ArknightsStoryTextReader/?s=ko_KR#/ko_KR/content?f=activities/act18side/level_act18side_03_end|작전 후]] || || LE-4[br] [[놀람 교향곡|놀람]] || [[https://050644zf.github.io/ArknightsStoryTextReader/?s=ko_KR#/ko_KR/content?f=activities/act18side/level_act18side_04_beg|작전 전]] / [[https://050644zf.github.io/ArknightsStoryTextReader/?s=ko_KR#/ko_KR/content?f=activities/act18side/level_act18side_04_end|작전 후]] || || LE-ST-2[br] [[봄의 제전]] || [[https://050644zf.github.io/ArknightsStoryTextReader/?s=ko_KR#/ko_KR/content?f=activities/act18side/level_act18side_st02|브릿지]] || || LE-5[br] [[피아노 소나타 14번(베토벤)|월광]] || [[https://050644zf.github.io/ArknightsStoryTextReader/?s=ko_KR#/ko_KR/content?f=activities/act18side/level_act18side_05_beg|작전 전]] / [[https://050644zf.github.io/ArknightsStoryTextReader/?s=ko_KR#/ko_KR/content?f=activities/act18side/level_act18side_05_end|작전 후]] || || LE-6[br] [[죽음의 무도(교향시)|죽음의 무도]] || [[https://050644zf.github.io/ArknightsStoryTextReader/?s=ko_KR#/ko_KR/content?f=activities/act18side/level_act18side_06_beg|작전 전]] / [[https://050644zf.github.io/ArknightsStoryTextReader/?s=ko_KR#/ko_KR/content?f=activities/act18side/level_act18side_06_end|작전 후]] || || LE-7[br] [[아르놀트 쇤베르크#s-4.3|정화된 밤]] || [[https://050644zf.github.io/ArknightsStoryTextReader/?s=ko_KR#/ko_KR/content?f=activities/act18side/level_act18side_07_beg|작전 전]] / [[https://050644zf.github.io/ArknightsStoryTextReader/?s=ko_KR#/ko_KR/content?f=activities/act18side/level_act18side_07_end|작전 후]] || || LE-8[br] [[교향곡 제5번(베토벤)|운명]] || [[https://050644zf.github.io/ArknightsStoryTextReader/?s=ko_KR#/ko_KR/content?f=activities/act18side/level_act18side_08_beg|작전 전]] / [[https://050644zf.github.io/ArknightsStoryTextReader/?s=ko_KR#/ko_KR/content?f=activities/act18side/level_act18side_08_end|작전 후]] || || LE-ST-3[br] [[신세계로부터]] || [[https://050644zf.github.io/ArknightsStoryTextReader/?s=ko_KR#/ko_KR/content?f=activities/act18side/level_act18side_st03|브릿지]] || * 설정 및 스토리 정리(장문) [[https://gall.dcinside.com/m/hypergryph/1216744|#]] * 음악이 주제인 스토리답게 모든 스테이지명이 악곡 제목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TR 스테이지의 경우 [[카를 체르니]]의 연습곡명[* Op.599, Op.849]으로 지어졌다. 스테이지 OST은 [[왕벌의 비행]]. == 기타 == * EX스테이지 '골목 깊은 곳'이 개방되는 2주차 이후 LE-ST-3까지 클리어하면 이벤트 메인 일러스트가 변경된다. 에벤홀츠를 제외한 나머지 등장인물 3명이 사라지고 전체 조명도 꺼지며 에벤홀츠를 향한 스포트라이트만이 켜진 모습이다.[* 이 모습이 나가려 했던 음악회도, 친구 크라이데도 잃어 혼자가 된 에벤홀츠의 모습을 나타내지만, 반대로 위치킹의 잔재와 음악의 나라 라이타니엔에 갇혀 있다 이제서야 자유를 얻어 무대에서 나갈 수 있게 된 에벤홀츠의 모습을 나타내기도 한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명방_함께 음악을.png|width=100%]]}}}|| || {{{#fff 기존 로비 화면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명방_고독과 자유.png|width=100%]]}}}|| || {{{#fff 모든 스테이지 클리어 후 화면 }}} || * [[클래식(음악)|클래식]]을 모티브로 만든 스토리인 만큼 이벤트의 제목들과 OST도 클래식에서 많은 영향을 받았다. 특히, OST는 원곡을 편곡하거나 같은 작곡가의 다른 원곡을 섞는 식으로 만들어졌다. 이벤트 OST의 원곡을 알고 싶다면 [[https://arca.live/b/arknights/66178247|이곳]]을 참고. * 이벤트의 적으로 등장하는 [[라이타니엔#s-2.1.3.3|게르트루트]]가 [[텍사스 디 오메르토사|텍사스]]와 닮아서 화제가 되었다. 커뮤니티에선 텍사스의 엄마라거나 미래의 모습이라는 등 관련 드립들이 흥하고, 게르트루트와 텍사스가 같이 등장하는 [[https://gall.dcinside.com/m/hypergryph/1388365|팬아트]] ([[https://twitter.com/kaizo_aknt/status/1661667072529809414|원본]])까지 있을 정도. == 관련 영상 == === 애니메이션 PV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BzNGm5x4Ul8)]}}} || || {{{#fff 2D 애니메이션 PV (에벤홀츠ver.)}}} || === 특별 PV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7wBlyq9lH4c)]}}} || || {{{#fff ‘라이타니엔: 불씨’ }}} || || {{{#!folding 【 스크립트 보기 】 {{{#!wiki style="text-align:left" [br] [[라이타니엔]], 이 얼마나 영광스러운 이름인가. 셀 수 없이 많은 나라의 흥망성쇠에 이토록 의연하고 엄격하며 지혜롭고 우아한 나라는 없었지. 그러나 과연 누가 이 나라에 이런 영광을 주었는가 하면······ 고개를 들고 [[라이타니엔#s-2.1.1.1|그]](위치킹)의 숭고한 모습과 위대한 업적을 우러러보아라. 100년 전, 선제후들은 이 왕국에서 가장 위대한 캐스터인 그를 왕위에 올렸고, 그에게는 우리를 지켜볼 수 있는 고탑이 주어졌지. 저 높은 탑에서 무슨 일이 일어났는지 아무도 알지 못했으며, 그의 초월성 역시 증언할 수 있는 자는 없었어. 그의 통치는 공포의 시대를, 라이타니엔 전역엔 그림자가 드리우기 시작했지. 그의 통치는 60년간 [[독재|도전받지 않았어]]. 바로 그해 여름 내가 아주 똑똑히 기억하고 있는 그 순간까지도. 가울의 황제가 이 아름다운 라이타니엔을 탐내고 있을 때였어. 제국의 대군은 라이타니엔으로 진군하여, 그곳을 지옥 같은 전쟁의 용광로로 만들었어. 위치킹의 힘이 없었다면 우리의 운명이 어떻게 결정되었을지 모를 일이지. 그의 아츠는 재앙의 파괴력을 지니고 있었지. 그는 홀로 가울의 군대를, 그들의 선봉대를 산산조각 냈어. 전쟁이 멈추자 다른 강대국들이 움직였고, [[우르수스]]와 [[빅토리아(명일방주)|빅토리아]]는 가울이 가장 약해진 바로 그때 공격을 시작했어. 역사학자들은 이 전투를 ‘사황전투’라고 부른다지. 침략가들은 그들의 오만함과 막대한 대가를 치른 것이지. 강대국들은 패전한 제국을 분열시키고 그 잔해를 집어삼켰어. 라이타니엔의 월계관은 승리로 빛났고, 그녀의 로브는 전투의 피로 얼룩져 있었지. 하늘과도 같은 우리의 위치킹의 권세도 어둠 속에서 몰려드는 음모를 막을 수 없었어. 반역자들은 온갖 고서를 찾아다니며, 그의 힘의 원천과 그를 물리칠 수단을 알아내려고 노력했어. 그 [[라이타니엔#s-2.1.1.2|쌍둥이 찬탈자들]](쌍둥이 여황)이 어떻게 그런 상상도 할 수 없는 죄악을 저질렀는지 모르겠으나, 그들은 나조차도 헤아릴 수 없는 힘으로 그를 끌어내리고 그의 왕위를 찬탈했지······. 세상 사람들은 마침내 위치킹이 드리운 그림자로부터 벗어날 수 있다고 생각했겠지만, 시간이 지나면 그 쌍둥이의 실체도 드러날 것이야. 나는 내 삶을 나의 왕에게, 그의 영광을 위해 나의 목적을 바쳤다. 그의 오리지늄 아츠로 구현한 그의 모든 업적 역시 기록해왔지. 그러나 이제 나는 내 손으로 그에 대한 기억을 불태워야 한다. 그들은 위치킹에 대해 아무것도 몰라. 그는 결코 우리를 뒤덮는 그림자가 아니었어. 그의 위대함은 왕위를 더럽힌 그자들(쌍둥이 여황)을 훨씬 뛰어넘는다! 그는 라이타니엔의 하늘을 지탱하는 탑이며, 그 누구도 대체할 수 없는, 없어서는 안 될 영원한 라이타니엔의 기둥이다! 그는 라이타니엔의 왕이시다. 우리의 유일한 왕······. [br]}}}}}} || === EP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QPnOsrFLxG8)]}}} || || {{{#fff 에벤홀츠 EP - Ständchen(세레나데[* [[슈베르트]]의 세레나데를 모티브로 만들어졌다.]) }}} || || {{{#!folding 【 가사 보기 】 [br] I spent my life suffocating, 나는 숨 막히는 삶을 살아왔어 ignoring villains living inside me. 내 안에 사는 악인을 못 본 체하며 Oh, my guilt is never-fading. 오, 내 죄책감은 영원히 사라지지 않겠지 It forever lives on 평생 계속될 거야 under my skin, 살갗 아래서 killing me from within. 내 안에서 나를 죽여가는 너 Will you stay a part of me 나의 일부로서 for the rest of my life? 나의 남은 인생을 함께해 주겠나? You tighten your grip 넌 마치 족쇄처럼 like shackles on both my wrists. 내 두 손목을 움켜쥐고 있어 Will you stay a part of me 나의 일부로서 for the rest of my life? 나의 남은 인생을 함께해 주겠나? I once was a dreamer, 난 한때 몽상가였어 but then I grew up 그러나 세월이 지나며 and saw the real world. 진실과 마주했지 When I look in the mirror, 거울을 들여다보면 I can almost see you crawling. 기어 다니는 네가 보여 under my skin, 살갗 아래서 killing me from within. 내 안에서 나를 죽여가는 너 Will you stay a part of me 나의 일부로서 for the rest of my life? 나의 남은 인생을 함께해 주겠나? I bit my tongue for years. 난 여태껏 이를 악물고 I choked back every tear. 눈물을 속으로 삼켜왔지 I carry you all on my own 홀로 널 감당해야만 했으니까 'cause you insist you only feel at home. 네가 나만을 고집했기 때문에 Under my skin, 살갗 아래서 you're killing me from within. 내 안에서 나를 죽여가는 너 Will you stay a part of me 나의 일부로서 for the rest of my life? 나의 남은 인생을 함께해 주겠나? [br]}}} || === OST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Y5pFTqDtwFI)]}}} || || {{{#fff 로비 OST - 光影(빛과 그림자 [* 모티브는 [[카를 체르니]]의 화려한 론도(Op. 233)로, 원곡을 어두운 분위기(단조)로 연주했다.])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fOobdvaeIn4)]}}} || || {{{#fff 일반 스테이지 OST - 急行(급행 [* 모티브는 림스키코르사코프의 [[왕벌의 비행]].])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sWQNmtYmn9s)]}}} || || {{{#fff 보스 스테이지 OST - 斜陽肅穆(엄숙한 황혼[* 모티브는 베토벤의 [[운명교향곡]].])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