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ngua Franca Nova [[https://elefen.org/introdui/corean.html|한국어 안내문]] [[http://www.memrise.com/course/307279/|멤라이즈 기초강좌]] '''링구아 프랑카 노바'''는 [[미국]] [[펜실베이니아]] 시펜스버그 대학교에서 심리학을 전공하는 조지 보레 박사[* 2021년 5월 작고]가 만드는 국제 보조어 계열의 인공어이다. 언어 명칭은 중세 유럽에서 교역어로 쓰였던 [[링구아 프랑카]]에서 유래하였으며, 흔히 줄여서 LFN이라고 부른다. 언어적 특징은 [[로망스어]] 계통 언어를 기초로 하여, 크레올어적 성격(간략화된 문법)을 띈 인공어이다. 정서법상으로는 [[라틴 문자]]와 [[키릴 문자]]를 둘 다 인정하지만 실질적으로는 거의 주로 라틴 문자로 표기한다.[* 이 점에서는 [[슬로비오]]도 비슷하다.] 보레 박사는 1965년 무렵부터 이 언어를 고안했다고 하지만 인터넷 초창기인 1998년부터 온라인에 공개되어 일정한 수의 이용자를 확보해왔다. 2008년에는 SIL에서 언어코드를 부여받았고, 2018년 4월에는 [[https://lfn.wikipedia.org/wiki/Paje_xef|링구아프랑카노바 위키백과]]가 생겼다. 한국에서 활동하던 데이빛이란 이름을 쓰던 외국인이 온라인에서 한국어로 [[에스페란토]]의 파생어격인 [[이도]]와 LFN을 소개/홍보한 적이 있다. 물론 인공어계 수장급인 에스페란토의 인지도도 미미한 판이긴 했지만... 에스페란토와의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자면, 에스페란토보다 문법이 간단하고 실수로 틀릴 여지도 적은 데다 발음도 쉽고 [[다이어크리틱]]도 쓰이지 않는 반면에, 강세 규칙이 다소 복잡하고[* 다만 비슷한 컨셉의 인공어인 [[인테르링구아]]보다는 간단하다.] 접사가 불규칙하게 붙는다. 또한 에스페란토가 로망스계 뿐만 아니라 게르만계나 슬라브계 어휘도 꽤 포함되어있는 반면, 링구아 프랑카 노바는 거의 로망스계나 로망스계 언어에 차용된 게르만계 어휘로만 이루어져있어 전형적인 유로클론에 가깝다. [[분류:인공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