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fff {{{+2 마경}}}[br]Makyo / Kouki Kosaka | 魔鏡}}}'''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7961A3F1-4476-424B-BD16-A0A402E1885C.jpg|width=100%]]}}} || || '''{{{#fff 이름}}}''' ||코사카 코키(コサカ コウキ, Kouki Kosaka) || || '''{{{#fff 국적}}}''' ||[[파일:일본 국기.svg|width=30]] [[일본]] || || '''{{{#fff 직업}}}''' ||카드샵 사장, YP[* [[유희왕/OCG|'''Y'''u-Gi-Oh]] '''P'''layer. 환경권 게임을 플레이하는 OCG 유저를 지칭하는 용어다. 듀얼리스트의 동의어.], 마이크로 블로거, 스트리머 || || '''{{{#fff 별명}}}''' ||마선생님[* 마경의 폼이 좋을 때나, 의도치 않은 재평가가 이루어질 때마다 쓰이는 별명.], 경[[새끼|X끼]][* 역으로 마경의 폼이 좋지 않을 때 여지없이 쓰이는 별명. 가장 유명하면서 많이 쓰이는 별명이다.], 요와스기[* 원래는 마경이 WCS 2023에 인플루언서 전형으로 참가한 카라미를 놀리던 말이었다. 그런데 마경이 WCS에서 거하게 삽질을 했고, 결국 본인이 놀리던 말을 그대로 돌려받게 되었다.], 4학년 7반[* 2023 WCS 마스터 듀얼 부문에서 티아라멘츠를 들고도 4승 7패를 하여 생긴 별명.] || || '''{{{#ffffff X(트위터) 팔로워 수}}}''' ||1.99만명[*기준 2023년 11월 20일 기준] || || '''{{{#fff 유튜브 구독자 수}}}''' ||7.71천명[*기준][* 어째 트위터 팔로워 수를 제외한 대부분의 수가 갈수록 줄어들고 있다.--실망한 한국 팬들--] || || '''{{{#fff 유튜브 총 조회수}}}''' ||612,887회[*기준] || || '''{{{#fff 트위치 팔로워 수}}}''' ||1.65천명[*기준] || || '''{{{#fff 링크}}}''' ||[[https://youtube.com/channel/UCCVUljpNZqOyKuuMgkL-Wtw|[[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https://twitch.tv/makyokk|[[파일:트위치 아이콘.svg|width=20]]]]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mk_youtone, 크기=24)] || [목차] [clearfix] == 개요 == [[일본]]의 [[유희왕]] 플레이어(YP). 1996년생. 2019년 [[유희왕 월드 챔피언십]]의 우승자로, 현 시점에서 자타공인 세계 최고의 OCG 플레이어 중 하나라고 인식되고 있다. == 상세 == 2018년 ~ 2019년 당시 유희왕 OCG의 10기 게임을 지배했던 YP이자, 현재도 OCG에서 큰 영향력을 뽐내는 YP. 10기 게임 당시에는 [[얼터가이스트]], [[샐러맨그레이트]]를 사용했으며 그 덱을 가장 잘하는 사람으로 인식되었다. 그게 어느 정도였냐면 그가 짠 얼터가이스트 레시피가 사실상 다른 얼터가이스트 유저들 레시피의 디폴트값이었으며, 샐러맨그레이트로는 아예 상술했듯 2019년 세계대회를 우승하기까지 했다.[[https://twitter.com/mk_youtone/status/1160675164746592258?s=21&t=499hTO32Z20wt3Dki5L3fw|#]] 자기 유튜브 채널과 트위치 채널을 운영하고 있으나 전문적으로 방송을 하지는 않으며, 이따금씩 트위치와 유튜브 동시 스트리밍으로 마듀 방송을 진행한다. 마듀 방송 내에서는 보통 [[엘드리치(유희왕)|엘드리치]], [[샐러맨그레이트]] 등을 굴린다. 전반적으로 대부분의 덱들을 두루 사용하며[* 단 스프라이트 원탑 분기에서의 지속 함정 엘드리치 구축으로 대회에 출전하는 것을 볼 때, [[엘드리치(유희왕)|엘드리치]]를 특별히 선호하는 것으로 보이기는 하다.], 대회에 출전하지 않는 때라도 트위터에 자신이 직접 짠 덱 레시피를 종종 올린다. 선호하는 덱은 운영 덱으로 보인다. 2022년 2분기 ~ 2022년 3분기까지는 [[파워 오브 디 엘리멘츠]]에서 출시된 테마인 [[스프라이트(유희왕)|스프라이트]]를 굴리며 우수한 성적을 거두었다. 2022년 4분기 1주차 와요 CS 팀전에서는 본인이 애정하는 테마인 [[엘드리치(유희왕)|엘드리치]]를 들고 나가 3위로 입상하였다.[[https://twitter.com/mk_youtone/status/1571085044252573696?s=21&t=DGR8sn9SsCSGsKIESqdIXQ|#]] 이후 한동안 유희왕을 쉬다가, 2023년 2분기 일본의 탑 티어 덱이던 [[퓨어리]]를, [[구원의 가교]], [[사탄클로스]], [[삼전의 호]] 파츠 등을 투입하며 기존의 운영 덱이라는 인식에서 펜듈럼과 비슷한 파츠 덱이라고 인식되도록 퓨어리의 패러다임을 바꾸어 놓았다. 이에 영향을 받은 다른 일본의 탑 플레이어들은 전부 덱 레시피를 마경이 제시한 레시피로 바꾸는 추세이다.[[https://twitter.com/mk_youtone/status/1642883304398663683?s=46|#]] 타스쿠, 시아처와 함께 [[유희왕 월드 챔피언십 2023]] 마스터 듀얼 부문 본선에 [[일본]] 대표팀으로 [[https://twitter.com/tasukusuraimu1/status/1664589416059523073|출전]]을 할 예정임이 밝혀졌다. 타스쿠(たすく)가 직접 마경에게 트위터 DM을 보내서 자신의 팀으로 들어오라고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masterduel&no=2801029|제안]]했다.[* 신발 핥을 준비 되어있다고 말하는 마경은 덤이다(...).] 그러나 팀은 4강까지 갔을지언정 개인적인 결과는 아쉬움이 따랐는데, 가장 강력한 테마인 [[티아라멘츠]]를 들고서도 개인 승률이 좋지 않아[* 개인 전적 4승 7패. 게임 접근 문제로 티아라멘츠 미러전에 대한 생각을 잘못 가지게 되어, 덱 구축에서 불리하게 게임을 시작한 결과 승률이 많이 깎였다.], 결국 일본 팀의 결승 진출 실패에 영향을 준 마경은 트위터에 너무 약해서 죄송하다는 글까지 올렸다.[[https://twitter.com/Mk_youTone/status/1687748613269774336|#]] == 수상 경력 == ||
'''{{{#white 연도}}}''' || '''{{{#white 대회명}}}''' || '''{{{#white 순위}}}''' || '''{{{#white 비고}}}''' || || 2018 || Japan Yugioh Tournament 2019 || '''{{{#000 우승}}}''' || [* 사용 덱은 [[샐러맨그레이트]].[[https://twitter.com/mk_youtone/status/1078641937249271808?s=46&t=QitEzVp1_SRaDX6LqL9ByA|#]]] || || 2019 || [[유희왕 월드 챔피언십|Yu-gi-oh! World Championship]] 2019 Berlin || '''우승''' || [* 사용 덱은 [[샐러맨그레이트]].[[https://twitter.com/mk_youtone/status/1160675164746592258?s=46&t=QitEzVp1_SRaDX6LqL9ByA|#]]] || || 2019 || 2019/12/01 足立(아다치)CS || '''{{{#000 우승}}}''' || [* 사용 덱은 [[얼터가이스트]].[[https://twitter.com/mk_youtone/status/1201088986430599168?s=46&t=QitEzVp1_SRaDX6LqL9ByA|#]]] || || 2020 || 2020/02/02 足立(아다치)CS || '''{{{#000 우승}}}''' || [* 사용 덱은 [[얼터가이스트]].[[https://twitter.com/mk_youtone/status/1223916547590082561?s=46&t=QitEzVp1_SRaDX6LqL9ByA|#]]] || || 2020 || 2020/10/18 足立(아다치)CS || '''{{{#000 우승}}}''' || [* 사용 덱은 [[엘드리치(유희왕)|엘드리치]].[[https://twitter.com/mk_youtone/status/1317794309995864064?s=46&t=QitEzVp1_SRaDX6LqL9ByA|#]]] || || 2021 || 2021/07/22 わよ(와요)CS || TOP 4 || [* 사용 덱은 [[상검]].[[https://twitter.com/mk_youtone/status/1418157330475077632?s=61&t=iCmOXZjTAOPM-5ddNXs5Ug|#]]] || || 2021 || 2021/07/23 わよ(와요)CS || '''{{{#000 우승}}}''' || [* 사용 덱은 [[엘드리치(유희왕)|엘드리치]].[[https://twitter.com/mk_youtone/status/1418522535319064586?s=46&t=QitEzVp1_SRaDX6LqL9ByA|#]]] || || 2021 || 2021/08/07 ひつじ(히츠지)CS || '''{{{#000 우승}}}''' || [* 사용 덱은 [[엘드리치(유희왕)|엘드리치]].[[https://twitter.com/mk_youtone/status/1423929420444696580?s=46&t=QitEzVp1_SRaDX6LqL9ByA]]] || || 2021 || 2021/10/09 NextPlay컵 || '''{{{#000 우승}}}''' || [* 사용 덱은 [[엘드리치(유희왕)|엘드리치]].[[https://twitter.com/mk_youtone/status/1446783897707028481?s=46&t=QitEzVp1_SRaDX6LqL9ByA|#]]] || || 2021 || 2021/11/07 わよ(와요)CS || '''{{{#000 준우승}}}''' || [* 사용 덱은 [[용사(유희왕)|용사]] [[팬텀 나이츠]]. [[https://twitter.com/mk_youtone/status/1457304266763235328?s=61&t=iCmOXZjTAOPM-5ddNXs5Ug|#]]] || || 2022 || 2022/01/30 わよ(와요)CS || '''{{{#000 우승}}}''' || [* 사용 덱은 [[용사(유희왕)|용사]] [[데스피아]].[[https://twitter.com/mk_youtone/status/1487743120095989763?s=46&t=QitEzVp1_SRaDX6LqL9ByA|#]]] || || 2022 || 2022/03/27 YCSJ || TOP 16 || [* 사용 덱은 [[용사(유희왕)|용사]] [[데스피아]]. [[https://twitter.com/mk_youtone/status/1508020715773071361?s=61&t=iCmOXZjTAOPM-5ddNXs5Ug|#]]] || || 2022 || 2022/04/24 福福(후쿠후쿠)CS 3인팀전 || '''{{{#000 우승}}}''' || [* 사용 덱은 [[용사(유희왕)|용사]] [[스프라이트(유희왕)|스프라이트]].[[https://twitter.com/mk_youtone/status/1518190073170169856?s=46&t=QitEzVp1_SRaDX6LqL9ByA|#]]] || || 2022 || 2022/05/07 ナツメ(나츠메)CS || TOP 4 || [* 사용 덱은 [[낙인(유희왕)|낙인]] [[티아라멘츠]]. [[https://twitter.com/mk_youtone/status/1522886037319524354?s=61&t=iCmOXZjTAOPM-5ddNXs5Ug|#]]] || || 2022 || 2022/09/17 わよ(와요)CS 팀전 || '''{{{#000 3위}}}''' || [* 사용 덱은 [[엘드리치(유희왕)|엘드리치]].[[https://twitter.com/mk_youtone/status/1571085044252573696?s=21&t=DGR8sn9SsCSGsKIESqdIXQ|#]]] || || 2023 || 2023/04/01 わよ(와요)CS 2인팀전 || TOP 16 || [* 사용 덱은 [[퓨어리]].[[https://twitter.com/mk_youtone/status/1642083386595622918?s=46|#]]] || || 2023 || [[유희왕 월드 챔피언십|Yu-gi-oh! World Championship]] 2023 JAPAN [[유희왕 마스터 듀얼]] 부문 || TOP 4 || [* 사용 덱은 [[낙인(유희왕)|낙인]] [[티아라멘츠]].] || == 기타 == * 일본에서 카드샵을 운영하고 있다. * [[카라미]]가 본인의 스승으로 여긴다.[* 종종 간접적으로 디스하는 경우도 있지만 이는 가벼운 장난에 속하며 실제로 월드 챔피언십에서 충격적인 덱 리스트와 플레잉을 보여주자 어느정도 변호해주는 모습도 보여주었다.] 일본에서 그를 본 카라미가 유희왕을 가르쳐 달라고 마경을 졸랐고, 그 결과 마경이 몇 마디를 해 주게 되었는데 그게 큰 도움이 되었다고. 마경도 카라미와 친분이 깊은지 카라미가 그를 초대하자 그의 방송에 출연해 주기도 하고, 카라미를 종종 샤라웃한다.[[https://twitter.com/mk_youtone/status/1687037668864249856?s=61|#]] 2023 월드 챔피언쉽에서 인플루언서로 참가한 카라미와의 인터뷰에 따르면 처음 카라미를 봤을 때 걸음마를 뗀 아기같아서 자기가 책임지고 가르쳐줘야겠다고 생각했다고 한다. * [[퍼니멀|퍼니멀 베어]] - [[퍼니멀|토이팟]]을 채용해 덱 압축 능력을 강화한 60장 [[낙인(유희왕)|낙인]] [[이시즈 티아라멘츠]] 덱을 짰으나, 카드가 없어서 실전 덱 구축은 그만두겠다고 한다(...).[[https://twitter.com/mk_youtone/status/1539369397847871488?s=21&t=-FUxTn3q55NHFChTmBGHtg|#]] * 일본 [[세븐일레븐]]에서 출시한 샐러드를 맛있어한다.[[https://twitter.com/mk_youtone/status/1529974990426165248?s=21&t=499hTO32Z20wt3Dki5L3fw|#]] * [[스프라이트(유희왕)|스프라이트]]의 출시 이후 겐겐, 카즈마와 3인 팀을 짜 용사 스프라이트 3인 팀으로 [[https://twitter.com/fukufuku_toreka/status/1518193011133673473|우승]]하고는 '이번 분기는 스프라이트가 원탑이라 걱정이 없다'고 발언했다. 이후 2023년 1분기에는 새롭게 짠 용사 스프라이트 덱 레시피를 선보였다. [[https://twitter.com/mk_youtone/status/1606964122117369857?s=46&t=QitEzVp1_SRaDX6LqL9ByA|#]] * [[용사(유희왕)|용사]] 출시 이후 마듀 환경을 보고 본인이 만든 티어표에서 1티어 라인에 여전히 트라이브리게이드를 포함시키며 국내 관련 커뮤니티에선 어느정도 논란을 빚고 있다. 본래 트라브는 용사 출시 이후 경쟁력이 없어지다시피 한 테마이기 때문. 용사를 같이 쓰는 구축을 쓰거나, [[십이수(유희왕)|십이수]]와 손잡고 드란시아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지 않는 이상 트라브는 굴리기 힘들고, 차라리 [[팬나]], [[천위]]가 더 낫기 때문이다. 이 사건 이후로 과거 [[드래곤메이드]]가 S티어라고 했던 일, 마듀 티어가 실버라는 사실까지 재발굴되며, 한국 커뮤니티에서는 [[세이콘 드립|'마'와 '경'을 분리해서, 유희왕 OCG의 탑플레이어는 '''마선생님''', 마듀알못 바보는 '''경[[새끼|X끼]]'''라고 부르는 밈]]이 생겼다(...).[* 참고로 이러한 소문은 카라미를 통해 마경 본인도 어느정도 순화된 표현으로 알게 되었다.] 후에 본인도 마듀를 잘 안 하면서 마듀 관련 얘기를 한다는 걸 인식했는지, 나중에는 [[용사(유희왕)|용사]] [[데스피아]]로 DC컵 LV.Max를 달성하고는,[[https://twitter.com/mk_youtone/status/1601732949107351553?s=46&t=QitEzVp1_SRaDX6LqL9ByA|#]], 마듀 20연승을 인증하다가[[https://twitter.com/mk_youtone/status/1602465423592595458?s=46&t=QitEzVp1_SRaDX6LqL9ByA|#]], 직접 [[샐러맨그레이트]]로 다이아몬드 티어까지 찍으며 '제대로 다이아까지 올렸다'라고 트윗하기도 했다.[[https://twitter.com/mk_youtone/status/1606960699645001731?s=46&t=QitEzVp1_SRaDX6LqL9ByA|#]] [* 하지만 이 정도는 게임을 어느정도 하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할 수 있는 수준이다. 마스터 티어가 없던 시절이라도 마찬가지.] 최근에는 마듀 티어표도 마선생님 모드일 때가 종종 있었으나 [[유희왕 월드 챔피언십 2023]]에서 그의 계정 랭크가 언랭인 것과 대회에서의 행적이 충격적이라 관련 커뮤니티에선 우리 경새끼가 맞다는 의견이 주류를 차지한다. * 함떡 덱을 굉장히 선호하는데 그 중에서도 [[엘드리치(유희왕)|엘드리치]]와 [[얼터가이스트]]에 많은 애정이 있는 모양이다. 이에 대해선 카라미 마저도 엘드리치에 미친놈으로 불리고 있는데다 얼터의 경쟁력이 사실상 사라지다시피 한 2022년 분기에서 "얼터가이스트 의외로 쓸만할지도?"라고 트윗을 올리는가 하면, yp 지인이 현 메타에 대해 진지하게 분석한 글에 대해 "얼터는 어떠냐"라며 댓글을 달기도 했다(...).[[https://m.dcinside.com/board/tcggame/895105?recommend=1|#]] 심지어 마듀에 라뷰린스 테마가 출시된 직후, [[생명 단축의 패]]와 [[욕망과 겸허의 항아리]]를 풀투입한 저가형 라뷰린스 덱리를 만들어 올렸다.[[https://twitter.com/mk_youtone/status/1601744151858380801?s=46&t=QitEzVp1_SRaDX6LqL9ByA|#]] * 또한 [[사이버스톰 액세스]]에서 함떡 덱의 서치 카드인 [[워너비!]]가 발매되자, 이를 투입한 엘드리치 덱을 만들어 트위터에 올렸다.[[https://twitter.com/mk_youtone/status/1614200672131645440?s=46&t=QitEzVp1_SRaDX6LqL9ByA|#]] * 최근 [[마법 카드]]의 규제가 심하다고 농담 삼아 불평을 토로했다. [[https://twitter.com/mk_youtone/status/1618736899400830976?s=46&t=QitEzVp1_SRaDX6LqL9ByA|#]] * 2023 WCS 마듀 부분 대표로 나가 OCG/TCG 부문에 참여한 하세쿈과 환하게 웃는 사진을 찍었다. 과거 우승했던 시기와는 다르게 기른 수염이 인상적이다. [[https://twitter.com/mk_youtone/status/1686974574179823616?s=46|#]] * 2023 WCS에 인플루언서 전형으로 참가한 카라미를 짓궃게 놀리는 해프닝이 있었다. [[https://x.com/mk_youtone/status/1688374307326676992?s=46|#]] * [[룸펠 토이펠]]의 묘지 효과를 고평가한다. [[https://x.com/mk_youtone/status/1711171982417608952?s=46|#]] * 자신의 영혼의 덱 샐러맨그레이트가 [[사염의 구희]]라는 초강력 지원을 받자, 눈이 뒤집어져서(...) 트위터에 글을 남겼다.[[https://x.com/mk_youtone/status/1716641174759584037?s=46|#]] * 11월 11일에 일본에서 대회를 개최할 예정이다.[[https://x.com/mk_youtone/status/1690384480882810880?s=46|#]] [[https://x.com/mk_youtone/status/1718403212179554363?s=46|#]] * 마스터 듀얼에서 [[샐러맨그레이트]]의 올 샤인•로얄작에 성공해서 레이징 피닉스만을 기다리고 있다. [[https://x.com/mk_youtone/status/1726495876204609801?s=46|#]] * 최근 [[발로란트]]에 빠졌다. [[https://x.com/mk_youtone/status/1726409631344583167?s=46|#]] [[분류:유희왕/OCG]][[분류:유희왕 마스터 듀얼]][[분류:트위터 사용자]][[분류:일본의 남성 유튜버]][[분류:트위치 스트리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