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마법소녀 마도카☆마기카)] [include(틀:마기아 레코드/애니메이션)] ||<-2>
{{{#ffffff,#ffffff '''{{{+1 마기아 레코드[br]마법소녀 마도카☆마기카 외전[br]Final SEASON -얕은 꿈의 새벽-}}}''' (2022)[br]{{{-1 マギアレコード 魔法少女まどか☆マギカ外伝[br]Final SEASON ‐浅き夢の暁‐[br]Magia Record: Puella Magi Madoka Magica Side Story[br]Final Season -Dawn of a Shallow Dream-}}}}}}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마기레코 파이널 키비주얼.jpg|width=100%]]}}} || ||<-2> {{{#ffffff,#ffffff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작품 정보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
'''{{{#ffffff,#ffffff 장르}}}''' ||[[마법소녀물|마법소녀]] || || '''{{{#ffffff,#ffffff 원작}}}''' ||Magic Quartet || || '''{{{#ffffff,#ffffff 메인 캐릭터 원안}}}''' ||[[아오키 우메]] || || '''{{{#ffffff,#ffffff 총감독}}}''' ||[[극단 이누카레]] ,,(도로이누),, || || '''{{{#ffffff,#ffffff 감독}}}''' ||[[미야모토 유키히로]] || || '''{{{#ffffff,#ffffff 부감독}}}''' ||요시자와 미도리(吉澤 翠) || || '''{{{#ffffff,#ffffff 시리즈 구성}}}''' ||[[극단 이누카레]] ,,(도로이누),,[br][[타카야마 카츠히코]] || || '''{{{#ffffff,#ffffff 캐릭터 디자인}}}''' ||[[타니구치 준이치로]] || || '''{{{#ffffff,#ffffff 총 작화감독}}}''' ||[[타니구치 준이치로]][br]이토 요시아키(伊藤良明)[br]이와모토 리나(岩本里奈) || || '''{{{#ffffff,#ffffff 메인 애니메이터}}}''' ||미야이 카나(宮井加奈)[br][[나가타 히로토]][br][[카와타 카즈키]] || || '''{{{#ffffff,#ffffff 미술 감독}}}''' ||나이토 타케시(内藤 健) || || '''{{{#ffffff,#ffffff 미술 설정}}}''' ||오오하라 모리히토(大原盛仁) || || '''{{{#ffffff,#ffffff 색채 설계}}}''' ||히비노 히토시(日比野 仁) || || '''{{{#ffffff,#ffffff 촬영 감독}}}''' ||에가미 레이(江上 怜) || || '''{{{#ffffff,#ffffff CG 감독}}}''' ||시마 히사토(島 久登) || || '''{{{#ffffff,#ffffff 편집}}}''' ||마츠바라 리에(松原理恵) || || '''{{{#ffffff,#ffffff 음향 감독}}}''' ||[[츠루오카 요타]] || || '''{{{#ffffff,#ffffff 음악}}}''' ||오자와 타쿠미(尾澤拓実) || || '''{{{#ffffff,#ffffff 음악 제작}}}''' ||[[애니플렉스]] || || '''{{{#ffffff,#ffffff 애니메이션 슈퍼바이저}}}''' ||[[신보 아키유키]] || || '''{{{#ffffff,#ffffff 프로듀서}}}''' ||이시카와 타츠야(石川達也)[br]코바야시 히로유키(小林宏之)[br]오카다 야스히로(岡田康弘)[br]사토 미츠키(佐藤允紀) || || '''{{{#ffffff,#ffffff 애니메이션 프로듀서}}}''' ||마츠카와 유야(松川裕也) || || '''{{{#ffffff,#ffffff 애니메이션 제작}}}''' ||[[샤프트(기업)|샤프트]] || || '''{{{#ffffff,#ffffff 제작}}}''' ||Magia Record Anime Partners || || '''{{{#ffffff,#ffffff 방영 기간}}}'''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애니메이션/2022년 4월|2022. 04. 03.]][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22. 05. 02. ~ 2022. 05. 09. || || '''{{{#ffffff,#ffffff 방송국}}}'''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도쿄 메트로폴리탄 텔레비전|도쿄 MX]][br](일) 19:00^^1~4화^^[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애니플러스]][br](월) 20:00^^1~4화/LIVE^^[br](월) 22:00^^1~4화/TV^^ || || '''{{{#ffffff,#ffffff 스트리밍}}}''' ||[[애니플러스]] [[https://aniplustv.com/items/2653|▶]][br][[Laftel]] [[https://laftel.net/item/40569|▶]][br][[네이버 시리즈온]] [[https://serieson.naver.com/v2/broadcasting/499215|▶]] || || '''{{{#ffffff,#ffffff 편당 러닝타임}}}''' ||24분 || || '''{{{#ffffff,#ffffff 화수}}}''' ||4화 || || '''{{{#ffffff,#ffffff 시청 등급}}}'''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대한민국의 텔레비전 등급 제도#관련 규정|[[파일:15세 이상 시청가 아이콘.svg|width=20]] {{{#373a3c 15세 이상 시청가}}}]] {{{-2 {{{#373a3c (주제, 폭력성)}}}}}} || || '''{{{#ffffff,#ffffff 관련 사이트}}}''' ||[[https://anime.magireco.com/|[[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magireco)] || }}}}}}}}}}}} || [목차] [clearfix] == 개요 == [[마기아 레코드 마법소녀 마도카☆마기카 외전]]을 원작으로 하는 [[마기아 레코드 마법소녀 마도카☆마기카 외전/애니메이션|TV 애니메이션 시리즈]] 3기. [[마기아 레코드 마법소녀 마도카☆마기카 외전 2nd SEASON -각성 전야-]]의 방영 시기가 나오면서 동시에 파이널 시즌의 방영이 예고되었다. 방영 시기는 [[애니메이션/2022년 4월|2022년 4월]][* 원래 2021년 12월 연말로 예정되었으나 제작상의 형편으로 연기되었다.[[https://twitter.com/magireco/status/1470302469137776644?t=SPZ5QBx9_2EPyonMWsJ2gw&s=19|#]]]. 총 4화 분량으로, [[샤프트(기업)|동 제작사]]의 전작 [[네코모노가타리 (흑)]]과 [[츠키모노가타리]]처럼 4월 3일에 모든 편을 한 번에 전부 방영했다. 한국에서는 한 달 넘은 5월에 1주에 2화씩 2주에 걸쳐 방영했다. == 공개 정보 == 2022년 1월 28일, 오전 12시에 키비주얼이 공개됐다.[* 물론 그 이전 홈페이지에 먼저 선행공개됐다.] 2022년 3월 12일 오후 7시에 티저 PV가 공개됐다. === PV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hwKdExEs7ko, width=100%)]}}} || || '''티저 PV'''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TofxbuBRBfk, width=100%)]}}} || || '''애니플러스 PV''' || == 줄거리 == >소원을 이뤄주는 대가로 남들은 모르는 싸움을 계속하는 마법소녀들. >하지만 [[타마키 이로하]]는 자신의 소원을 잊어버렸다. > >'마법소녀가 됐을 때 나는 뭘 빌었었지?' > >일상 속에서 휑하니 뚫린 구멍. >잃어버린 소중한 무언가. >이유도 모른 채 싸움을 계속하는 나날... > >그런 때에 마법소녀들 사이에서 >소문이 돌기 시작한다. > >'카미하마시에 가면 마법소녀는 구원받는다.' > >마법소녀와 소문이 모이는 마을 카미하마시. >잃어버린 소원을 찾고 싶은 타마키 이로하의 이야기가 시작된다. >---- >[[https://www.aniplustv.com/|애니플러스]] == [[마기아 레코드 마법소녀 마도카☆마기카 외전/등장인물|등장인물]] == ##PV 및 작중에서 등장이 확인된 인물만 기재## * [[미카즈키장]] * [[타마키 이로하|[[파일:card_10011_f.png|width=50]]]] [[타마키 이로하]] - CV. [[아사쿠라 모모]] * [[나나미 야치요|[[파일:card_10022_f.png|width=50]]]] [[나나미 야치요]] - CV. [[아마미야 소라]] * [[유이 츠루노|[[파일:card_10032_f.png|width=50]]]] [[유이 츠루노]] - CV. [[나츠카와 시이나]] * [[미츠키 펠리시아|[[파일:card_10052_f.png|width=50]]]] [[미츠키 펠리시아]] - CV. [[사쿠라 아야네]] * [[후타바 사나|[[파일:card_10042_f.png|width=50]]]] [[후타바 사나]] - CV. [[오구라 유이]] * 모모코 팀 * [[토가메 모모코|[[파일:card_10104_f.png|width=50]]]] [[토가메 모모코]] - CV. [[코마츠 미카코]] * [[미나미 레나|[[파일:card_10094_f.png|width=50]]]] [[미나미 레나]] - CV. [[이시하라 카오리]] * [[아키노 카에데|[[파일:card_10113_f.png|width=50]]]] [[아키노 카에데]] - CV. [[오오하시 아야카]] * 애니메이션 오리지널 캐릭터 * [[쿠로에(마기아 레코드)|[[파일:card_10434_f.png|width=50]]]] [[쿠로에(마기아 레코드)|쿠로에]] - CV. [[하나자와 카나]] * 조정상 * [[야쿠모 미타마|[[파일:card_10174_f.png|width=50]]]] [[야쿠모 미타마]] - CV. [[호리에 유이]] * [[미타키하라 시]]·[[카자미노 시]] 마법소녀[* 흔히 '원작조'라 일컬어지는 마마마 원작 멤버] * [[카나메 마도카(마기아 레코드)|[[파일:card_20014_f.png|width=50]]]] [[카나메 마도카(마기아 레코드)|카나메 마도카]][*A 카메오 출연으로 몇몇은 목소리가 나오거나 없는 경우.] * [[아케미 호무라 Ver.|[[파일:card_20034_f.png|width=50]]]] [[아케미 호무라 안경 Ver.|아케미 호무라(안경)]][*A] * [[토모에 마미(마기아 레코드)|[[파일:card_20054_f.png|width=50]]]] [[토모에 마미(마기아 레코드)|토모에 마미]][*A] * [[미키 사야카(마기아 레코드)|[[파일:card_20044_f.png|width=50]]]] [[미키 사야카(마기아 레코드)|미키 사야카]][*A] * [[사쿠라 쿄코(마기아 레코드)|[[파일:card_20064_f.png|width=50]]]] [[사쿠라 쿄코(마기아 레코드)|사쿠라 쿄코]][*A] * [[마기우스의 날개]] * [[사토미 토우카|[[파일:card_10074_f.png|width=50]]]] [[사토미 토우카]] - CV. [[쿠기미야 리에]] * [[히이라기 네무|[[파일:card_10144_f.png|width=50]]]] [[히이라기 네무]] - CV. [[모로호시 스미레]] * [[알리나 그레이|[[파일:card_10084_f.png|width=50]]]] [[알리나 그레이]] - CV. [[타케타츠 아야나]] * [[아즈사 미후유|[[파일:card_10064_f.png|width=50]]]] [[아즈사 미후유]] - CV. [[나카하라 마이]] * [[아마네 츠쿠요|[[파일:card_10184_f.png|width=50]]]] [[아마네 츠쿠요]] - CV. [[우치다 마아야]] * [[아마네 츠카사|[[파일:card_10193_f.png|width=50]]]] [[아마네 츠카사]] - CV. [[우치다 아야]] * [[미야비 시구레|[[파일:card_10294_f.png|width=50]]]] [[미야비 시구레]][*A] * [[아즈미 하구무|[[파일:card_10304_f.png|width=50]]]] [[아즈미 하구무]][*A] * [[미도리 료|[[파일:card_30463_f.png|width=50]]]] [[미도리 료]][*A] * [[마키노 이쿠미|[[파일:card_30534_f.png|width=50]]]] [[마키노 이쿠미]][*A] * [[호즈미 시즈쿠|[[파일:card_30072_f.png|width=50]]]] [[호즈미 시즈쿠]][*A] * 기타/특별출연/단역 * [[타마키 우이|[[파일:card_10154_f.png|width=50]]]] [[타마키 우이]] - CV. [[이와미 마나카]] * [[작은 큐베|[[파일:작은큐베.png|width=80]]]] [[큐베]] / [[작은 큐베]] - CV. [[카토 에미리]] * [[이스즈 렌|[[파일:card_30254_f.png|width=50]]]] [[이스즈 렌]][*A] * [[코즈에 마유|[[파일:card_30324_f.png|width=50]]]] [[코즈에 마유]][*A] * [[후미노 사유키|[[파일:card_30334_f.png|width=50]]]] [[후미노 사유키]][* 엔딩에 성우는 표시되지 않았는데 기존에 녹음해 놓은 캐릭터송만 틀었기에 성우는 출연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 [[아미 리아|[[파일:card_30103_f.png|width=50]]]] [[아미 리아]][*A 단역으로 목소리는 없다.] * [[쿠루미 마나카|[[파일:card_30092_f.png|width=50]]]] [[쿠루미 마나카]][*A 단역으로 목소리는 없다.] * [[미소노 카린|[[파일:card_10124_f.png|width=50]]]] [[미소노 카린]][*A] * [[하루나 코노미|[[파일:card_30302_f.png|width=50]]]] [[하루나 코노미]][*A] * [[우츠호 나츠키|[[파일:card_30022_f.png|width=50]]]] [[우츠호 나츠키]][*A] * [[치아키 리코|[[파일:card_30354_f.png|width=50]]]] [[치아키 리코]][*A] * [[이부키 레이라|[[파일:card_30133_f.png|width=50]]]] [[이부키 레이라]][*A] * [[쿠미 세이카|[[파일:card_30142_f.png|width=50]]]] [[쿠미 세이카]][*A] * [[아이노 미토|[[파일:card_30154_f.png|width=50]]]] [[아이노 미토]][*A] * [[토키와 나나카|[[파일:card_30053_f.png|width=50]]]] [[토키와 나나카]][*A] * [[시노부 아키라|[[파일:card_30082_f.png|width=50]]]] [[시노부 아키라]][*A] * [[나츠메 카코|[[파일:card_30112_f.png|width=50]]]] [[나츠메 카코]][*A] * [[츈 메이유이|[[파일:card_30123_f.png|width=50]]]] [[츈 메이유이]][*A] * [[시즈미 코노하|[[파일:card_30264_f.png|width=50]]]] [[시즈미 코노하]][*A] * [[유사 하즈키|[[파일:card_30273_f.png|width=50]]]] [[유사 하즈키]][*A] * [[미쿠리 아야메|[[파일:card_30282_f.png|width=50]]]] [[미쿠리 아야메]][*A] * [[사라사 한나|[[파일:card_30184_f.png|width=50]]]] [[사라사 한나]][*A] * [[마오 히미카|[[파일:card_30204_f.png|width=50]]]] [[마오 히미카]][*A] * [[이즈미 카나기|[[파일:card_10164_f.png|width=50]]]] [[이즈미 카나기]] - CV. [[센본기 사야카]] * 타마키 자매의 부모님. * 그 외 마법소녀 다수들. == 주제가 == === OP === ||<-2>
'''{{{#ffffff,#ffffff OP[br]ケアレス[br]케어리스}}}'''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 width=100%)]}}} || ||<-2> '''{{{#ffffff,#ffffff TV ver.}}}'''[* 기존에 없던 야치요가 추가되었다.]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8qPvFIqjsf4, width=100%)]}}} || ||<-2> '''{{{#ffffff,#ffffff Full ver.}}}''' || || '''노래''' || [[ClariS]] || || '''작사''' ||<|2> 와타나베 쇼(渡辺 翔) || || '''작곡''' || || '''편곡''' || 유아사 아츠시(湯浅 篤) || ||<-2><^|1>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디렉터''' || 요시자와 미도리(吉澤 翠) || || '''작화감독''' || [[타니구치 준이치로]] || }}}}}}}}} || ||<-2> {{{#!folding 가사 ▼ ||
「大人じゃない」 「오토나쟈나이」 「어른이 아니야」 背中につけてまた言い訳ばかり 세나카니 츠케테 마타 이이와케 바카리 등 뒤에 달라붙어 또 핑계거리만 焦り取り繕えばシワになる 아세리 토리츠쿠로에바 시와니나루 초조하게 고치려고 하면 구김살만 늘어 「大人じゃない」 「오토나쟈나이」 「어른이 아니야」 狭いここには機嫌はかる術さえ 세마이 코코니와 키겐 하카루 스베사에 좁은 이 곳에는 눈치 살피기조차 置いたまま部屋の隅、忘れてる 오이타마마 헤야노 스미 와스레테루 방구석에 둔 채 잊어버리고 있었어 台本なんてなくてつまづいてばかり 다이혼난테 나쿠테 츠마즈이테바카리 대본같은 건 없이 실패뿐이야 突然目の前の全部しまわれてた 토츠젠 메노마에노 젠부 시마와레테타 갑자기 눈 앞의 전부가 끝나 있었어 空想でもなくて空耳じゃない声が 쿠-소-데모 나쿠테 소라미미쟈나이 코에가 공상도 아니고 잘못 들은 것도 아닌 목소리가 傷をそっと癒やしてる 키즈오 솟토 이야시테루 상처를 살며시 치료해줘 間違いも「お揃いだねっ」て笑えたらいい 마치가이모 「오소로이다네」테 와라에타라이이 다름도 「한 쌍이구나」라고 웃으면 돼 書き足した願い不器用だけど信じればいい 카키타시타 네가이, 후키요-다케도 신지레바이이 덧붙인 소원, 서툴지만 믿으면 돼 まっすぐに歩いてるつもりでも決まって 맛스구니 아루이테루 츠모리데모 키맛테 똑바로 걸어나갈 생각이어도 반드시 知らない場所出るんだ 시라나이 바쇼 데룬다 모르는 장소가 나와 臆病でもいつか 오쿠뵤-데모 이츠카 겁쟁이여도 언젠가 || }}} || === ED === ||<-2>
'''{{{#ffffff,#ffffff ED[br]Lapis}}}'''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 width=100%)]}}} || ||<-2> '''{{{#ffffff,#ffffff TV ver.}}}'''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s48uz9-AjCE, width=100%)]}}} || ||<-2> '''{{{#ffffff,#ffffff Full ver.}}}''' || || '''노래''' || [[TrySail]] || || '''작사''' ||<|2> 와타나베 쇼(渡辺 翔) || || '''작곡''' || || '''편곡''' || 유아사 아츠시(湯浅 篤) || ||<-2><^|1>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디렉터''' || 이와모토 리나(岩本里奈) || || '''작화감독''' || [[타니구치 준이치로]] || }}}}}}}}} || ||<-2> {{{#!folding 가사 ▼ ||
'''(원어 가사)''' || || (원어 발음) || || (한국어 가사) || || '''(원어 가사)''' || || (원어 발음) || || (한국어 가사) || || '''원어 가사 출처: ''' || }}} || === 4화 ED === ||<-2>
'''{{{#ffffff,#ffffff 4화 ED[br]オルゴール[br]오르골}}}'''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1ttd67LMJoY, width=100%)]}}} || ||<-2> '''{{{#ffffff,#ffffff Full ver.}}}''' || || '''노래''' || [[ClariS]] × [[TrySail]] || || '''작사''' ||<|2> 와타나베 쇼(渡辺 翔) || || '''작곡''' || || '''편곡''' || 유아사 아츠시(湯浅 篤) || ||<-2> {{{#!folding 가사 ▼ ||
'''甘く甘く散らばっていた''' || || 아마쿠아마쿠치라밧테이타 || || '''달콤하게 달콤하게 흩어져 있었어''' || || '''それを小さくしまい''' || || 소레오치이사쿠시마이 || || '''그것을 조그맣게 모아서''' || || '''ちぐはぐな夢の中ずっと眺め奏でてる''' || || 치구하쿠나유메노나카즛토나가메카나데테루 || || '''뒤죽박죽인 꿈속을 쭉 바라보며 노래하고 있었어''' || || '''終わらない壊さない''' || || 오와라나이코와사나이 || || '''끝나지 않아 부수지 않아''' || || '''どこへ向かってるの''' || || 도코헤무캇테루노 || || '''어딜 향하고 있는 거야''' || || '''ゆっくりと気付かないように''' || || 윳쿠리토키즈카나이요우니 || || '''서서히 알아차리지 못하도록''' || || '''鳴り止んでいた''' || || 나리얀데이타 || || '''울림을 멈추고 있었어''' || || '''謡い必要な分だけ詰めて''' || || 우타이히츠요나분다케츠메테 || || '''노래해 필요한 만큼만 채워서''' || || '''綺麗な面だけ心音に刻みたい''' || || 키레이나멘다케코코로네니키자미타이 || || '''깨끗한 면만 마음의 소리에 새기고싶어''' || || '''そっと知らない世界へと耳を澄まして''' || || 솟토시라나이세카이헤토미미오스마시테 || || '''살며시 미지의 세계로 귀를 기울이고''' || || '''未来巻き続けよう''' || || 미라이마키츠즈케요우 || || '''미래를 계속 감아 나가자''' || || '''やがていつかまばらになり''' || || 야가테이츠가마바라니나리 || || '''이윽고 언젠가 드문드문 해지고''' || || '''音が抜け落ちて行く''' || || 오토가누케오치테유쿠 || || '''소리가 빠져 나가''' || || '''置き去りの大切にならないよう''' || || 오키자리노다이세츠니나라나이요우니 || || '''소중함이 방치되지 않도록''' || || '''飽きず聴こう''' || || 아키즈키코우 || || '''실증내지말고 듣자''' || || '''開かない回らない''' || || 히라카나이마와라나이 || || '''열리지 않아 돌지 않아''' || || '''でも飾っていたい''' || || 데모카자앗테이타이 || || '''그래도 꾸미고 싶어''' || || '''シンプルのあり方さえも''' || || 심프루노아리카타사에모 || || '''심플한 본연의 모습조차''' || || '''うつろいで行く''' || || 우츠로이테이쿠 || || '''변색되어 가네''' || || '''願い一音ごとに愛詰めて''' || || 네가이이치온고토니아이츠메테 || || '''소망해 한 음마다 사랑을 담아서''' || || '''息を飲むほどのひと時創りたい''' || || 이키오노무호도노히토토키츠쿠리타이 || || '''숨가쁘게 잠시라도 만들고싶어''' || || '''きっと何も持たずにいつの日にか''' || || 킷토나니모모타나즈니이츠노히니카 || || '''분명 아무것도 간직하지 않고 언젠간''' || || '''先を探し出すんだろう''' || || 사키오사가시타슨다로우 || || '''미래를 찾아내겠지''' || || '''君も鳴って 僕も鳴って 違く鳴って''' || || 키미모낫테 보쿠모낫테 치가쿠낫테 || || '''너도 울리고, 나도 울리고, 다르게 울리고''' || || '''ねぇあっちが羨ましい''' || || 네에앗치가우라마시이 || || '''저기 저쪽이 부러워''' || || '''首にずっとぶら下がった''' || || 쿠비니즛토부라사갓타 || || '''목에 계속 매달려있던'' || || '''自分らしさ気が付いて理解し合おう''' || || 지분라시사키가츠이테리카이시아오우 || || '''나다움을 깨닫고 서로 이해해가자''' || || '''謡い必要な分だけ詰めて''' || || 우타이히츠요나분다케츠메테 || || '''노래해 필요한 만큼만 채워서''' || || '''綺麗な面だけ心音に刻みたい''' || || 키레이나멘다케코코로네니키자미타이 || || '''깨끗한 면만 마음의 소리에 새기고싶어''' || || '''そっと知らない世界へと耳を澄まして''' || || 솟토시라나이세카이헤토미미오스마시테 || || '''살며시 미지의 세계로 귀를 기울이고''' || || '''未来巻き続けよう''' || || 미라이마키츠즈케요우 || || '''미래를 계속 감아 나가자''' || || '''一音ごとに愛詰めて''' || || 이치온고토니아이츠메테 || || '''한 음마다 사랑을 담아서''' || || '''息を飲むほどのひと時創りたい''' || || 이키오노무호도노히토토키츠쿠리타이 || || '''숨가쁘게 잠시라도 만들고싶어''' || || '''きっと何も持たずにいつの日にか''' || || 킷토나니모모타나즈니이츠노히니카 || || '''분명 아무것도 간직하지 않고 언젠간''' || || '''先を探し出すんだろう''' || || 사키오사가시타슨다로우 || || '''미래를 찾아내겠지''' || || '''カタカタ歌って 変わらず回って''' || || 카타카타우탓테 카와라즈마왓테 || || '''달그락 달그락 노래해 변함없이 돌아가''' || || '''カタカタやがて どこかへ''' || || 카타카타야가테 도코카헤 || || '''달그락 달그락 이윽고 어딘가에''' || || '''원어 가사 출처: [[https://www.uta-net.com/song/316762/]]''' || }}} || == 회차 목록 == * 전화 총 작화감독: [[타니구치 준이치로]], 이토 요시아키(伊藤良明), 이와모토 리나(岩本里奈) ||
'''회차''' || '''제목'''[* 한국어 번역 제목은 정식 방영사인 [[애니플러스]] 방영판을 기준으로 한다.] || '''각본''' || '''콘티''' || '''연출''' || '''작화감독''' || '''방영일''' || || {{{-2 제1화}}} || {{{-2 僕たちは失敗した[br]우리들은 실패했다}}} || {{{-2 니시베 마호[br](西部真帆)}}} ||<-2> {{{-2 요시자와 미도리[br](吉澤 翠)}}} || {{{-2 미야이 카나[br](宮井加奈)[br]미야지마 히토시[br](宮嶋仁志)[br]무토 노부히로[br](武藤信宏)[br]마츠자키 요시카츠[br](松崎嘉克)[br]우시노하마 유이[br](牛ノ濱由惟)[br]타카하시 미키[br](高橋みき)[br]후나코시 마유미[br](船越麻友美)[br]카와시마 쿠미코[br](河島久美子)[br]타카오카 키이치[br](たかおかきいち)[br]송선영[br](宋善永)}}} || {{{-2 日: 2022.04.03.[br]韓: 2022.05.02.[br][[https://youtu.be/UXznpeBWCeU|하이라이트]]}}} || || {{{-2 제2화}}} || {{{-2 やがて消えゆく少女たちよ[br]이윽고 사라질 소녀들이여}}} ||<|3> {{{-2 [[타카야마 카츠히코]]}}} || {{{-2 [[미야모토 유키히로]][br]시부타 나오아키[br](渋田直彰)}}} || {{{-2 시부타 나오아키}}} || {{{-2 미야이 카나[br]미야지마 히토시[br]무토 노부히로[br]마츠자키 요시카츠[br]우시노하마 유이[br]타카오카 키이치[br]타카하시 미키[br]후나코시 마유미[br]카와시마 쿠미코}}} || {{{-2 日: 2022.04.03.[br]韓: 2022.05.02.[br][[https://youtu.be/_tEU-Mh2vjQ|하이라이트]]}}} || || {{{-2 제3화}}} || {{{-2 いつまで魔法少女を[br]続けなきゃいけないの?[br]언제까지 마법소녀를[br]계속해야 하는 거야?}}} ||<-2> {{{-2 후지타 쇼헤이[br](藤田星平)[br]요시자와 미도리}}} || {{{-2 미야이 카나[br]미야지마 히토시[br]무토 노부히로[br]마츠자키 요시카츠[br]우시노하마 유이[br]타카하시 미키[br]후나코시 마유미[br]카와시마 쿠미코[br]타카오카 키이치}}} || {{{-2 日: 2022.04.03.[br]韓: 2022.05.09.[br][[https://youtu.be/3dSszl_ApLs|하이라이트]]}}} || || {{{-2 제4화}}} || {{{-2 誰も知らない、私たちの記録[br]아무도 모르는, 우리들의 기록}}} || {{{-2 미야모토 유키히로[br][[극단 이누카레]][br](도로이누)}}} || {{{-2 미야모토 유키히로}}} || {{{-2 미야이 카나[br]미야지마 히토시[br]무토 노부히로[br]마츠자키 요시카츠[br]우시노하마 유이[br]타카하시 미키[br][[타니구치 준이치로]]}}} || {{{-2 日: 2022.04.03.[br]韓: 2022.05.09.[br][[https://youtu.be/XD4yZ7oIjy4|하이라이트]]}}} || == [[마기아 레코드 마법소녀 마도카☆마기카 외전/애니메이션/에피소드 가이드#s-2.3|에피소드 가이드]]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마기아 레코드 마법소녀 마도카☆마기카 외전/애니메이션/에피소드 가이드, 문단=2.3)] == [[마기아 레코드 마법소녀 마도카☆마기카 외전/애니메이션/엔드 카드#s-2.3|엔드 카드]]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마기아 레코드 마법소녀 마도카☆마기카 외전/애니메이션/엔드 카드, 문단=2.3)] == [[마기아 레코드 마법소녀 마도카☆마기카 외전/애니메이션/평가#s-3|평가]]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마기아 레코드 마법소녀 마도카☆마기카 외전/애니메이션/평가, 문단=3)] == 기타 == * 본작의 부제인 얕은 꿈의 새벽은 메인 스토리 10장의 제목이라서 10장을 다룰 것으로 보였으나, 뚜껑이 열리고 보니 오리지널 전개와 결말이었다. * 파이널 시즌을 표방했으면서 분량이 4화밖에 되지 않는 것으로 드러나자 당혹스러워하는 반응이 많다. 2기가 당시 다른 동분기 애니들보다 4주 가량 늦게 방송을 시작했었는데, 이와 연관 지어 원래라면 2기에 포함되어야 했을 분량이 샤프트의 고질적인 스케줄 문제로 인해 어쩔 수 없이 3기로 분리된 게 아니냐는 지적이다. 처음 예고한 2021년 연말이라는 공개 시기도 지켜지지 않았기 때문에 팬들 사이에선 기정사실로 취급받고 있다. * 원작 TVA처럼 마법소녀의 운명에 저항하는 구도를 계속 취하는 게임과 다르게, 이번 오리지널 전개는 이미 시작부터 우이 일행의 시도를 실패한 것으로 전제하고 있었다. 그래서 근본적인 대결 구도가 꿈도 희망도 없는 큐베 vs 알리나로 변질되었고, 이로하는 시종일관 사태에 말려들었을 뿐인 외부자의 입장에서 발버둥쳤을 뿐 제대로 주도권을 쥐지 못했다. * 3기 결말에 호불호가 갈리고 있으나 사실 이 결말은 2기 8화에서 이미 예고가 되어 있었다. 즉 2기 8화 마지막에 네무가 진실을 말해준다고 한 후 예고하듯 '우리들의 이별이 시작된다'라는 자막과 함께 마녀문자로 '이것은 실패의 이야기'라는 글귀가 나왔는데 이는 병원조 3인방의 과거 회상 뿐만 아니라 마기레코 TVA 전체의 전개를 암시한 것이었다. 결국 마기레코 TVA는 처음부터, 성공보다 실패가 더 익숙한 평범하고 약한 자들의, 아무도 구원받을 수 없는 현실을 마주하면서도 그것을 받아들이고 살아가야 하는 모습을 그린 이야기였던 셈이다. || [[파일:마기레코3기씬.png|width=100%]] || * 3화에서 큐베가 마법소녀의 역사와 윤리관에 대한 설명을 할때 역사속 마법소녀를 보여주는듯한 연출이 지나가는데 TVA 원작 12화에 나온 마법소녀들과 스핀오브 코믹스에 나왔던 주연들이다. 스핀오브 작품 특성상 게임외엔 등장한적이 없었으나 간접적으로 애니에서 전원 첫출연을 한셈 또한 가장 마지막 장면엔 [[호무릴리|단두대로 향하는]] 아케미 호무라가 보인다. TVA에 나온 클레오파트라(로 추정되던 인물)와 중세기사풍 마법소녀, 잔 다르크인 [[타루토]]와 [[리즈 호크우드]]가 가장 아래쪽이고 가장 현재시점에서 나온 호무라가 가장 위에있는 걸 보면 과거에서 현재 시간대의 마법소녀들을 간접적으로 묘사한 듯하다. 그위는 차례로 치토세 유마, 카즈미, 오리코, 스즈네 3기 마지막화에서 호무라가 시간 루프를 해도 그 시간선은 평행세계로 남는것이 밝혀지면서 스핀오프 주연들의 세계관 역시 하나의 역사이자, 시간대로 남겨진 평행세계의 하나인 것으로 인정한 것으로 보인다. [[분류:마기아 레코드/애니메이션|마기아 레코드 3기]][[분류:일본 애니메이션/목록]][[분류:2022년 2분기 일본 애니메이션]][[분류:모바일 게임 원작 애니메이션]][[분류:샤프트(기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