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디시인사이드 마이너 갤러리/만화·애니메이션]][[분류:마녀의 여행]] [include(틀:오덕갤)] [include(틀:마녀의 여행)] {{{#!wiki style="word-break: keep-all"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1607698500.png|width=100%]] 설립 초기부터[* 확실하지 않음] 애니화 방영까지}}}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021년 마여갤 짤방.png|width=100%]] 2022년 초반까지 [[파일:22 마갤대문.jpg|width=100%]] 2022년 중반 이후}}} || || '''{{{#ffffff,#dddddd 사이트}}}''' ||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lists?id=witchtour|[[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 }}} [목차] [clearfix] == 개요 == >여행을 다니는 마녀 일레이나의 이야기. [[마녀의 여행]] 갤러리입니다.[* 2021년 기준 갤러리 소개 문구.] '''마녀의 여행 마이너 갤러리'''는 시라이시 죠우기가 글을 쓰고, [[아즈루]]가 일러스트 작업을 진행한 라이트 노벨이자, 애니메이션화 된 [[마녀의 여행]]이라는 작품에 대해 다루는 [[마이너 갤러리]]다. 갤러리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주로 마녀의 여행에 관련된 이야기를 나눈다. 줄여서 마갤, 마녀갤, 마여갤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 역사 == * [[2019년]] [[4월 1일]] ~ [[2020년]] [[10월]]: 애니화 전 마녀의 여행 갤러리는 [[2019년]] [[4월 1일]]에 [[마이너 갤러리]]로 개설되었다. 하지만 당시 [[마녀의 여행]] 작품 자체가 한국에서 워낙 마이너한 작품이었고, 일부의 팬들만이 알고 있던 작품이었기 때문에 초창기의 글리젠은 하루에 약 5개 정도로 매우 적었다. 이후 갤러리를 만든 초대 [[주딱]]의 장기 부재로 매니저가 한번 교체되게 되었고, 이때 매니저 자리를 받은 주딱이 현재까지 갤러리를 관리하게 되었다. 앞서 서술했듯 초창기엔 글리젠 자체가 매우 적었고, 가끔씩 갤러리가 정전되기도 하는 전형적인 [[망갤]]의 모습을 보여주었다. 그러다가 애니화 발표가 뜨게 되었고, 애니메이션이라는 새로운 떡밥이 생기며 글리젠이 조금씩 상승해 갔다. * [[2020년]] [[10월]] ~ [[2021년]] [[6월]] : 애니메이션 방영 이후 하지만 애니메이션이 방영되면서 기존의 [[망갤]]의 모습은 온데간데 없이 사라지게 되었다. 1화 방영 직후 사람들의 입소문을 타면서 순식간에 갤러리에 사람들이 몰려들게 되었고, 결국 [[10월 2일]] 애니메이션 1화가 방영되고 갤러리 역사상 처음으로 흥갤랭킹 300위권에 들기도 하였다. 이후 애니메이션의 인기가 폭증하며 덩달아 갤러리 내의 인구도 폭증하였고, 그 결과 사람들의 엄청난 관심을 받았던 9화에서는 실북갤 3위, 흥갤랭킹 60위권까지 올라가기도 하였다. [[물 들어온다 노 젓자|물 들어올때 노 저어라]] 라는 말이 있듯이, 갤러리 매니저들은 이때를 이용해 염사대회같은 다양한 이벤트를 개최하기도 하였다. 애니메이션이 방영중인 현재에는 애니메이션 미 방영일엔 흥갤순위 100위권, 애니메이션 방영일엔 흥갤순위 60~80권을 넘나드는 흥갤로 자리잡게 되었다.[* 참고로, 애니메이션이 방영될때 이정도로 갤러리가 활성화 된 곳은 4분기 방영작 중에는 [[진격의 거인]]의 [[히스토리아 마이너 갤러리]]를 제외하면 거의 전무한 수준이다.] * [[2021년]] [[6월]] ~ : 애니메이션 종영 이후 애니메이션이 종영된 이후에도 오랫동안 흥갤순위 최소 100위권을 지키며 글리젠율이 활성화된 편이었다. 그러나 애니메이션이 종영된 후 서서히 흥갤 순위가 내려가다가 반년이 되는 6월에는 처음으로 200위를 넘어서더니 결국 6월 18일, 흥갤 순위 300위 밖으로 밀려나며 흔갤이 되었다.[* 다만 이 날 이후로 흔갤이 되었다는 떡밥으로(...) 다시 타오르며 200위권으로 안착하고 이후 17권 신규 캐릭터 삽화가 공개되며 다시 글젠률이 올랐다. 물론 이는 일시적일 뿐이며 다시 화력이 사그라들었다.] 아침과 밤에 올라오는 마하, 마바 글을 제외하면 특별한 떡밥[* 캐릭터의 생일, 굿즈나 신간 정보, 2기 떡밥, 신규 일러스트 및 삽화 등]이 없는 이상 글 리젠율이 높은 편은 아니다. 이후 약 3개월동안 흥갤 순위 한 번도 차지하지 못한 채 서서히 잊혀가는 듯 했으나 주인공 [[일레이나]]의 생일인 [[10월 17일]], 정말 오랜만에 흥한갤 243위로 들어서며 다시 한 번 화력을 증명하였다. 하지만 주인공의 생일임에도 100위권을 손쉽게 유지하던 과거에 비하면 여전히 낮은 화력인데, 이는 애니메이션 종영 1년이 지난 시점임을 감안하면 어쩔 수 없는 처사이다. == 특징 == * 주딱에 의해 [[성우]] 떡밥 관련은 가급적 금지시키는 편이다. * 평소엔 주로 애니메이션의 전개나, [[마녀의 여행]] [[마녀의 여행/등장인물|캐릭터]]에 관한 내용들이 올라오곤 한다. 가끔씩 애니메이션으로 처음 이 작품을 접하고 원작 소설을 읽어 이에 대한 평가를 하는 사람들도 종종 등장한다. 글리젠이 뜸한 시간에는 [[뇌절|뇌좆글]]이라고 하는 글이 올라오기도 하는데, 이때 올라오는 글들은 수위가 높거나, 보는 사람에 따라 불쾌한 글들이 종종 올라오므로 글을 읽을때 주의하자. * 애니메이션이 예고편이 나오는 [[월요일]][* 10화는 화요일, 11화는 수요일에 예고편이 나오기도 하였다.]에는 주로 이 예고편에 관한 글들이 주로 올라오게 되고, 애니메이션이 방영되는 [[금요일]]에는 방영된 에피소드에 관한 내용들이 올라오는데, 이때 해당 에피소드가 좋은 평가를 받으면 갤러리 분위기가 매우 활기차지만, 반대로 평가가 좋지 못하거나 아쉽다고 느낄때에는 다소 비관적인 분위기로 바뀌기도 한다. [[토요일]]엔 갤러리 매니저에 의해 염사대회[* 애니메이션 장면 중에, 매우 작은 창문이나, 잠깐 나오는 양초같이 찾기 힘든 요소들을 문제로 내고 이를 제일 먼저 찾는 사람이 이기는 대회.]가 개최된다. 또한, 현재 진행중인 [[애캐토 2020]]에 대한 글들도 올라오고 있다. 특히, 3차 예선에서 [[죽음의 조]]로 평가받던 14조에서 압도적인 차이로 1위를 기록한 뒤에는 더 많은 사람들이 [[애니플러스 캐릭터 토너먼트|애캐토]]에 참여하며, 애캐토에 관련된 글들이 더 많이 올라오는 추세이다. * 또한 [[설레발]] 갤러리, 부두술 갤러리라는 별명도 존재하는데, 항상 부정적인 방향으로 설레발을 치면 그 반대의 결과로 오히려 좋은 결과가 나오기 때문에 생긴 별명이다. 대표적으로 애캐토 예선 3라운드에서 죽음의 조를 만나 당시 많은 사람들이 이에 대해 비관적인 반응을 보이며 탈락을 예상했지만, 탈락은 고사하고 오히려 압도적인 차이를 벌린 사례도 있었다. 이때문에 12화에 오리지널 스토리가 나올것 같다던지[* 참고로 아직 원작에선 일레이나가 집으로 돌아가지 않았다. 즉, 집으로 돌아가는 결말이 나오면 오리지널 스토리가 되는 것이다. 만약 이러한 결말이 나게 된다면, 자연적으로 후속작이 나올 가능성은 거의 소멸하게 된다. 갤러리에서 언급하는 오리지널 스토리는 거의 대부분 이 경우를 말하는 것이다.], 2기가 절대 안나올것 같다는 등의 의도적으로 부정적인 글을 달기도 한다. 최근에는 [[싸이버거]] 글도 자주 다는 모양이다(...) * [[곰 곰 곰 베어]][* 애니가 마녀의 여행과 같은 분기에 방영되었는데, 처음에는 애니 연출과 원작 소설 필력으로 갤 내에서 웃음벨 취급 받다가 해당 작품 판매량이 100만부를 돌파했다는 사실이 밝혀지면서 순식간에 분위기가 반전되었다.(...) 이후에는 판매부수, 정발속도, 2기 제작 등등 관련해서 ~~담당일진 역으로~~ 허구헌날 소환되는 중.]도 달성한 원작 판매량 200만부를 아직도 달성 못했냐라는 자조적인 밈도 유행하고 있으며 곰 곰 곰 베어가 2기 제작이 확정되자 2기도 없고 200만부도 못판 작품이라는 더욱 더 자조적인 밈이 필수요소로 자리잡고 있다. * 마녀의 여행의 bd 판매량이 8천장이 넘어가는 흥행에 성공하자 반쯤 포기하고 있었던 2기 떡밥으로 흥갤 순위가 어느정도 유지되고 있다. * 작품을 보고 입문한 금손들이 많은 탓인지 디시콘 제작이 활발하고 사용하는 디시콘도 많은 갤러리이다. bd 판매량이 수만장은 기본인 대작들의 갤러리보다 사용하는 디시콘의 숫자가 압도적으로 많다. * 애니 종영 이후 떡밥이 없으면 원작 정발 내용의 스포일러 부분을 공개하거나 정발이 느려터진 [[소미미디어|담당 출판사]]를 소재로 불타오른다. * 가끔 타애니 후속작이 나올때마다 '우리 애니 2기가 나왔다!!'라는 식의 어그로 글을 볼수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