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한국어]] [[명사]] == 1. 대, 갈대, 나무 따위의 줄기에서 가지나 잎이 나는 부분. 잘록하거나 도드라져 있다. 2. 뼈와 뼈가 맞닿은 부분. 3. 실, 새끼, 줄 따위가 엉키거나 맺힌 부분. 15세기 어형은 '마ᄃᆡ'로 나타나 제2음절 모음이 [[ㆎ]]이다. 이러한 단어들은 대개 오늘날 방언형/중앙어형에서 'ㅜ/ㅣ' 대립이 나타난다(마두/마디). === [[음악]] 용어 === 영어로는 "Bar"라 일컬으며, 일정 단위로 나뉜 마디 안에는 [[음표]]가 들어간다. 한 곡 안에 들어가는 마디 수 계산식은 다음과 같다. 작곡할 때 참고할 수 있다. {{{+2 [math(\frac{BPM}{npb}\times \frac{(60 \times {min} + sec)}{60})]}}} npb는 Note per Bar의 약자. "4분의 4박자"에서 "4박자"에 해당하는 부분.[* 참고로 '4분' 은 한 박의 기준이 되는 음표, 즉, beats를 의미한다. [[박자]] 참고.] 마디 수는 [[자연수]]여야 하므로 소수점은 버린다. 만약 [math(\frac{BPM}{npb})]가 정수가 아니라면 위 식의 값에 1을 더한다. 가령 BPM이 120이고 한 마디 안에 기준음표 4개가 들어가는 4분 30초 곡을 만들고 싶을 때의 마디 수는 다음과 같다. {{{+2 [math(\frac{120}{4}\times \frac{(60 \times 4 + 30)}{60}=135)]}}} 위 식에 한 마디를 차지하는 음표 개수 4개를 나누어 나머지가 나오면 무조건 위 식의 값에 2를 더한다. === [[화학]] 용어 === [[오비탈]]에서 [[전자]]가 존재할 확률이 0인 곳을 마디라고 한다. 영어로는 node 라고 한다. == [[이슬람]] 용어 == [include(틀: 상세 내용, 문서명=마흐디)] [각주] [[분류:동음이의어]][[분류:순우리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