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ffff 0%, #0066ff 30%, #0066ff 70%, #ffffff)" {{{#ffffff '''마르틴 슈크르텔의 역임 직책'''}}}}}} || || {{{#!folding ▼ ||<-5>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ffff 0%, #0066ff 30%, #0066ff 70%, #ffffff)" {{{#ffffff ''' 슬로바키아 축구 국가대표팀 주장 ''' }}} }}} || || [[마렉 함식]][br]{{{-1 (2010~2012) }}} || {{{+1 {{{#0066ff ▶ }}} }}} || '''{{{#0066ff 마르틴 슈크르텔[br]{{{-1 (2012~2019)}}}}}}''' || {{{+1 {{{#0066ff ▶ }}} }}} || [[마렉 함식]][br]{{{-1 (2019~2022) }}} ||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ffff 0%, #0066ff 30%, #0066ff 70%, #ffffff)" {{{#ffffff '''마르틴 슈크르텔의 수상 이력'''}}}}}} || || {{{#!folding ▼ ||<-4> {{{#333333,#cccccc '''둘러보기 틀 모음'''}}} || ||<-4> {{{#333333,#cccccc '''개인 수상'''}}} || || [[틀:리버풀 FC 올해의 선수(2010년대)|[[파일:리버풀 FC 로고.svg|height=55]]]][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d00027; font-size: 0.9em" [[틀:리버풀 FC 올해의 선수(2010년대)|{{{#ffffff '''2011-12 리버풀 올해의 선수''' }}}]]}}} || || || || ||<-4> {{{#333333,#cccccc '''베스트팀'''}}} || || [[쉬페르리그|[[파일:쉬페르리그 로고.svg|height=55]]]][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8B3840; font-size: 0.9em" [[틀:2017-18 쉬페르리그 올해의 팀|{{{#ffffff '''2017-18 쉬페르리그'''}}}]]}}} || || || ||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ffff 0%, #0066ff 30%, #0066ff 70%, #ffffff)" {{{#ffffff '''마르틴 슈크르텔의 기타 정보'''}}}}}} || || {{{#!folding ▼ [include(틀:슬로바키아의 FIFA 센추리 클럽 가입 선수)] }}} || ||<-3> {{{+1 {{{#010101 '''슬로바키아의 前 축구선수'''}}}}}} || ||<-3>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마르틴슈크르텔.jpg|width=100%]]}}} || ||<-3> '''{{{+1 마르틴 슈크르텔}}}''' [br] '''Martin Škrtel''' || ||<-2><|2> '''출생''' ||[[1984년]] [[12월 15일]] ([age(1984-12-15)]세) || ||[[체코슬로바키아]] 한들로바 || ||<-2>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슬로바키아)] || ||<-2> '''신체''' ||[[키(신체)|키]] 191cm / [[체중]] 84kg || ||<-2> '''직업''' ||[[축구선수]] ([[센터백]] / ^^은퇴^^) || ||<|2> '''소속''' || '''유스''' ||FK 바니크 프리에비자 (1990~2001) || || '''프로''' ||[[FK AS 트렌친]] (2001~2004) [br] [[FC 제니트 상트페테르부르크]] (2004~2008) [br] '''[[리버풀 FC]] (2008~2016)''' [br] [[페네르바흐체 SK]] (2016~2019) [br][[아탈란타 BC]] (2019)[br] [[이스탄불 바샥셰히르 FK]] (2019~2021) [br] [[FC 스파르타크 트르나바]] (2021~2022) || ||<-2> '''국가대표''' ||104경기 6골 ^^([[슬로바키아 축구 국가대표팀|슬로바키아]] / 2004~2019)^^ || ||<-2> '''SNS''' ||[[http://www.martin-skrtel.com/|[[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3]]]] | [[https://www.instagram.com/martin37skrtel/|[[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3]]]] | [[https://www.facebook.com/SkrtelOfficialFanpage/|[[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3]]]] || [목차] [clearfix] == 개요 == [[슬로바키아]]의 前 축구선수. == 클럽 경력 == 2001년에 슬로바키아 AS 트렌친에서 프로 선수로 데뷔하였다. 2004년 러시아의 [[제니트 상트페테르부르크]]로 이적하였다. 제니트에서 주전으로 활약하면서 [[UEFA 컵]]에서 [[에버튼 FC|에버튼]]과 [[토트넘 홋스퍼]]와의 경기도 가졌다. 2007년에는 [[러시아 프리미어 리그]]에서 제니트가 우승하는데 기여하였다. === [[리버풀 FC]]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martin-skrtel-of-liverpool.jpg|width=100%]]}}} || 2008년 1월 11일, 리버풀 FC로 이적하였다. 이적료는 1000만 유로이며, 이는 리버풀 역사상 수비수로는 최고액이었다. 2007-08 시즌 리버풀 아게르가 부상으로 장기 결장하면서 수비 라인의 위험성이 커졌고, 그 구멍을 채우기 위해 슈크르텔을 영입하는 것을 실행하였다. 이적 후 UEFA 챔피언스 리그 16강전 인터밀란 원정 경기에서 UEFA 챔피언스 리그에 데뷔하였다. 2008-09 시즌에는 주전으로 자리잡아가던 2008년 10월에 상대 수비수와 경합 후 착지 과정에서 후방 십자인대를 다쳐 부상으로 아웃됐고 이후 회복과 재활, 복귀에 온전한 실력을 보여주지 못했다. 2009-10 시즌 개막전 토트넘 핫스퍼 FC 전에서 [[제이미 캐러거]]와 중앙 수비진을 구축하였는데 미스가 보이며 안정성에 의문을 표하는 사람도 있었지만, 준수한 수비력을 보였다. 그러나 이번에도 부상이 발목을 잡았고, 리그 19경기, 모든 대회 29경기에 출전에 그친다. 2010-11 시즌에 감독으로 [[케니 달글리시]]가 부임한 뒤 안정된 수비를 보이기 시작하였다. 여기에 고질병이었던 잦은 부상 문제를 이겨냈고 아게르 또는 캐러거와의 호흡 면에서도 물이 오른 모습을 보였다. 그렇게 리그 전경기 38경기에 출전하며 2골을 넣었고, 주전으로 자리 매김하였다. 2011-12 시즌에는 안정된 수비력 외에도 칼링컵 결승전에서 동점골을 넣는 등 공격에서도 활약하였다. '''11-12시즌 리버풀 올해의 선수상을 수상하기도.''' 2012-13 시즌 초반에는 기량이 하락한 게 아니냐는 소리를 들을 정도로 좋지 않았다. 은퇴 직전이던 제이미 캐러거가 주전으로 대신 뛸 정도였으니... 최후방부터 빌드업을 중시하는 로저스 감독의 축구 하에서 스크르텔은 적응에 상당한 어려움을 겪었고, 게다가 시즌 중에 [[브렌던 로저스]] 감독과 불화설이 나기도 했다. 그렇게 2013년 여름 이적설도 있었지만 일단 리버풀에 남았다. 그리고 2013-14 시즌, 시즌이 진행될수록 간혹 예능을 하지만 전체적으로 볼 때에는 2012-13 시즌보다 안정된 수비능력을 보여준다. ~~대신 투레가 그의 예능을 물려받은 듯.~~ 공격에서도 뛰어난 모습을 보이며 무려 리그에서만 '''7골'''을 넣으며 팀의 득점원(!)으로 활약했다. ~~슭트라이커~~ 수비력은 덤.~~토레스보다 잘넣는다!~~ 하지만 37라운드 경기에서 팀은 막판 16분 정도 남겨두고 3-0에서 3-3으로 크리스탈 팰리스에게 비겨버렸고 슈크르텔도 이 경기에서 그다지 좋은 모습을 보여주지 않았다. 이 경기를 통해 리버풀의 자력 우승 가능성이 날아가버렸고 카메라에 펑펑 우는 수아레스와 완전히 멘붕해서 고개를 숙이고 있는 슈크르텔이 수 초동안 클로즈업 되었다.[* 이 때 정말 심하게 멘붕했었는지 몇몇 팰리스 선수들이 슈크르텔에게 위로를 전하고 리버풀 선수들 몇 명도 슈크르텔에게 말을 걸었지만 슈크르텔은 반응 없이 넋이 나간 표정으로 계속 고개를 숙이고 있었다..] 2014-15 시즌에는 그 자신이 벽으로 각성하여 리버풀 부동의 주전 센터백 자리를 꿰차는 데 성공했지만 심심하면 실수를 범하는 로브렌과 불안정한 사코를 떠받치는 역할에 고생이 이만저만이 아니었다. 이 시즌 12월의 아스날전에서는 [[올리비에 지루|지루]]의 스터드에 머리를 밟혔음에도 불구하고 붕대 투혼을 보여주면서 96분에 극장 헤딩골을 기록하여 팀을 구해내기도 했다. 다행히 15-16부터는 사코가 국대사코모드가 되고 루카스가 현재 루카신모드로 EPL태클개수 1위를 기록하는 기염을 토해내면서 슈크르텔의 부담이 줄어들고 있다. 그리고 11월 말을 기점으로 부상을 당한 사코대신 센터백 듀오로 출전중인 [[데얀 로브렌]]까지 매경기 각성중이다. 그러나 왓포드와의 경기에서 6주 부상이 결정되었으며 잘 하던 로브렌 마저 1달 부상 확정이 되어 센터백이 [[콜로 투레]]와 [[마마두 사코]](...) 밖에 없는 [[충공깽|매우 무서운 상황]]이 전개 되었'''으나''', 로브렌이 예상보다 빨리 회복하였고 사코와 로브렌의 괜찮은 파트너십을 이루면서 좋은 모습을 보이고 있다. 다가오는 15-16 여름 이적시장 분데스리가에서 손 꼽히는 센터백인 [[조엘 마티프]]의 합류가 확정되며 팀의 베테랑인 슈크르텔이지만 합류하는 마티프, 각성한 로브렌, 폼이 다시 올라오는 중인 사코와 함께 주전경쟁에 불이 붙을 것으로 보인다. 그런데... 그런데 부상복귀 이후 첫 경기인 [[사우스햄튼 F.C.|소튼]]과의 경기에서 눈이 썩는 경기력을 선보였다. 애초에 로브렌과의 갑작스러운 교체로 몸상태가 풀로 올라온 상태는 아니었겠지만, 패스성공률 67%, 태클 성공 0회, 경고 1회, PK 허용까지.. ~~없느니만 못한 경기력~~ 영 아닌 폼을 자랑하며 소튼전 충격과 치욕의 역전패의 주역으로 떠오르게 되었다. ~~사실상 이 경기 하나로 이적이 확정됐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A매치 기간에는 슬로바키아 국가대표로 나섰지만 또 다시 페널티킥을 허용했으며 주전들의 휴식으로 오랜만에 리그 선발로 나선 스토크전에서는 슈크르텔이 범한 파울이 프리킥으로 이어졌고 이를 보얀이 헤딩슛으로 마무리하며 동점골의 빌미를 제공했다. 그나마 팀이 대승을 해서 묻혔지만 파이터형 수비수로서 기량이 하락하긴 한 모양. 그래도 리그 36라운드 왓포드와의 경기에서 좋은 모습을 보이며 팀의 승리에 일조했다. === [[페네르바흐체 SK]] === 시즌이 끝난 2016년 여름, 터키 베식타스와 진하게 연결되고 있다. 리버풀과의 이별이 눈 앞으로 다가온 듯 하다. 팀의 암흑기에 고생 왕창하고 이제 클롭이 와 빛을 보기 시작하는데 나이로 인한 기량 하락으로 팀을 떠나야 한다는 사실에 많은 팬들이 안타까워 하고 있다. 하지만 6월 말에는 당초 예상과 달리 [[페네르바흐체 SK]]의 이적이 확실히 되고 있다. 그 과정에서 본인의 인스타그램 계정에 클롭을 욕하는 글이 올라와 논란이 되었다. 이후에 그것은 친구가 한 장난이었고 자신의 의견과는 다른 이야기라고 해명했다. 그리고 이적 오피셜이 떴다. 또 하나의 준레전드급 선수가 떠난 빈 자리는 제법 허전할 듯하다. 3시즌간 페네르흐바체에서 주전 센터백으로 활약했다. 2019년 8월 10일, [[아탈란타 BC]]로 FA 이적이 오피셜로 떴다. 그러나 9월 1일, 이탈리아 언론 '투토 메르카테'와 '라 가제타 델레 스포르트' 등에 따르면 아탈란타 입단 3주만에 상호계약 해지 오피셜이 떴다. 이유는 가스페리니 감독의 훈련을 못따라가는 몸상태 때문이라고. === [[이스탄불 바샥셰히르 FK]] === 2019년 9월 2일, 이스탄불로 이적했다. 그는 2019-20 시즌 20경기에 나서 3골을 기록하며 팀의 창단 이후 [[터키 쉬페르리그|쉬페르리그]] 첫 우승을 거머쥐는데 기여했다. 2021년 1월, 슈크르텔은 12월에 입은 아킬레스건 파열 부상으로 인해 계약기간이 6개월이 남았음에도 팀과 상호합의 하에 계약을 조기해지했다. === [[FC 스파르타크 트르나바]]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13082021_skrtel_spartak_2803676.jpg|width=100%]]}}} || 2021년 8월, 그는 스파르타크 트르나바에 입단하면서 17년만에 자국으로 복귀했다. 2022년 5월 18일, 현역 은퇴를 발표하며 리버풀의 후방을 든든히 지켜줬던 수비수는 역사 속으로 사라지게 되었다. == 국가대표 경력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krtel-1200x900.jpg|width=100%]]}}} || 슬로바키아 청소년 팀부터 발탁되기 시작하여, 2004년 A대표팀에도 부름을 받았다. 슈크르텔은 2010년 슬로바키아 대표팀에 선발되어 분리 독립 후 처음 대표팀 선수로 나서게 되었다. === [[2010 FIFA 월드컵 남아프리카 공화국]] === [[2010년 남아공 월드컵]]때 등번호는 3번. 1무 1패의 절체절명의 상황[* 가장 만만하다 여겨졌던 뉴질랜드를 상대로 이길 뻔했으나 '''후반 추가시간에 동점골을 허용해''' 1대 1 무승부. 그리고 파라과이전에서는 아예 '''0대 2'''로 져버려 조 최하위로 굴러떨어졌다. 그 때 남아있던 경기가 '''디펜딩 챔피언'''인 이탈리아와의 경기였던 것.] 에서 치른 이탈리아전에서 그 '''[[콸리아렐라]]의 슈팅을 골라인 위에서 무릎으로 막아내는''' 명장면[* 사실은 골라인을 넘어갔으나 [[VAR(축구)|VAR]]은 커녕 [[골라인 판독기]]도 없었던 탓에 그래도 득점이 인정이 되지 않았다. 단, 이와는 별개로 상대팀의 강력한 슈팅을 '''육탄 방어'''로 저지했다는 점에서 이 장면은 의미가 있었다.]을 연출한 끝에 팀의 3대 2 승리와 '''분리독립 후 사상 첫 월드컵 조별리그 통과'''[* 이는 똑같이 분리독립한 '''[[체코]]'''도 이뤄내지 못한 업적이다.]를 이뤄냈다. === [[UEFA 유로 2016]] === [[UEFA 유로 2016]]에선 주장으로서 슬로바키아의 16강행에 기여했다. ~~다만 본인은 더티 플레이한다고 욕 좀 먹었다.~~ 골 넣 는수비수 치고는 국제대회 골이 없었는데 본인도 골을 넣고 싶었는지 [[웨일스 축구 국가대표팀|웨일스]]전때 상대팀 골대까지 달려가서 헤딩슛을 시도했지만 아쉽게 골로 연결하지는 못했다. [[잉글랜드 축구 국가대표팀|잉글랜드]]전에서는 거의 골이나 마찬가지였던 슛을 막아내는 등 철벽수비를 보이며 실점을 허용하지 않았다. === 이후 === 2018년 10월 13일, 홈에서 열린 [[체코 축구 국가대표팀|체코]]와의 경기에 출전하며 A매치 100경기를 달성했고 [[센추리 클럽]] 가입자가 되었다. 2019년 2월 22일, 슈크르텔은 34세의 나이로 대표팀 수비수인 [[토마시 후보찬]]과 공격수 아담 네메크와 함께 국가대표팀 은퇴를 발표했다. 그리고 이 셋은 10월 13일 [[파라과이 축구 국가대표팀|파라과이]]와의 친선 경기를 통해 고별 경기를 가졌다.[* 다만 후보찬은 대표팀이 [[UEFA 유로 2020]]에 진출하게 되면서 복귀했고 본선에 주전으로 참가했다.] 이 경기에서 그는 주장 완장을 차고 선발로 나섰으며 30분 후에 그를 우상으로 여긴 [[데니스 바브로]]와 교체되었다. == 플레이 스타일 == 강력한 피지컬과 거친 태클로 상대 공격수를 몰아 붙이는 전형적인 파이터형 센터백. 제공권을 따내는데도 능했는데, 특히 세트피스 상황에서 그의 머리는 리버풀의 주요한 공격 무기 중 하나였다. 또한 스피드도 준수했다. 다만 경기마다 기복이 있어, 거친 수비만큼 큼지막한 잔실수들을 간혹 저질렀고 또한 자책골을 자주 넣기까지 했다. 그리고 잔부상도 꽤 있었다. == 기록 == === 대회 기록 === * [[FC 제니트 상트페테르부르크]] (2004~2008) * [[러시아 프리미어 리그]]: 2007 * [[리버풀 FC]] (2008~2016) * [[풋볼 리그 컵]]: 2011-12 * [[이스탄불 바샥셰히르 FK]] (2019~2021) * [[쉬페르리그]]: 2019-20 * [[FC 스파르타크 트르나바]] (2021~2022) * 슬로바키아컵: 2021-22 === 개인 수상 === * [[리버풀 FC]] 올해의 선수: 2011-12 * [[노스웨스트 풋볼 어워즈|프리미어 리그 북서부 올해의 선수]]: 2012[[https://www.mancity.com/news/club-news/club-news/archive/2012/november/nwfa-winners|#]] * 슬로바키아 올해의 축구선수: 2007, 2008, 2011, 2012 == 여담 == [[파일:external/i64.tinypic.com/2r7rk2v.jpg]] * EPL 역대 자책골 2위에 달성하는 영광(?)을 얻었다. ~~리버풀 킬러 슈크르텔.~~ ~~캐러거도 있다. 콥들은 웁니다.~~ --[[리차드 던|1위는]]...-- * [[루이스 수아레스]]가 리버풀에 처음 정착했을 때 [[다니엘 아게르]]와 함께 수아레스가 초반에 경계했던 선수였다고 한다. 슈크르텔에게 훈련을 살살 하자고 했다가 실수로 알까기 기술을 쓰는 바람에 그 뒤로 슈크르텔이 제대로 상대해줬다고 한다. 이때 슈크르텔의 반응은 ''' “살살 하자며? 진짜로 해보자 이거지?” ''' * 일명 '''아게르텔''' 조합으로 환상적인 호흡을 보였던 [[다니엘 아게르]]와는 동갑내기이면서 실제로도 꽤 친하게 지냈다. 특히 똑같이 문신 덕후라는 점 때문에 더욱 친해진 듯. 슈크르텔의 문신도 아게르가 해주었다고 한다. * 자국 후배 [[밀란 슈크리니아르]]가 등번호 37번을 다는 이유가 바로 슈크르텔 때문이라고 한다. * 탈모로 알고 있던 사람들이 많았지만 리버풀을 떠난 후 머리를 길러 패션 대머리였음을 증명했다. === 징크스 === 슈크르텔이 선제골을 넣으면 팀은 역전패를 당한다는 징크스가 있었다. 2010-11 시즌 토트넘 원정에서부터 시작된 징크스 때문에 콥들은 슈크르텔이 선제골을 넣으면 좋아하기는커녕 겁부터 났는데, 2013-14 시즌부터 이러한 징크스를 깨는 경기들이 나오면서 어느 정도 극복한 모습이다. [[분류:1984년 출생]][[분류:슬로바키아의 축구선수]][[분류:FC 제니트 상트페테르부르크/은퇴, 이적]][[분류:리버풀 FC/은퇴, 이적]][[분류:페네르바흐체 SK/은퇴, 이적]][[분류:아탈란타 BC/은퇴, 이적]][[분류:이스탄불 바샥셰히르 FK/은퇴, 이적]][[분류:FC 스파르타크 트르나바/은퇴, 이적]][[분류:슬로바키아의 FIFA 월드컵 참가 선수]][[분류:2010 FIFA 월드컵 남아프리카공화국 참가 선수]][[분류:슬로바키아의 UEFA 유러피언 챔피언십 참가 선수]][[분류:UEFA 유로 2016 참가 선수]][[분류:FIFA 센추리 클럽 가입 선수]][[분류:트렌친 주 출신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