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세가 게임즈에서 만든 공식 라이선스 비디오 게임, rd1=Beijing 2008 - The Official Video Game of the Olympic Games)] [include(틀:마리오 스포츠 시리즈)] [include(틀:소닉 더 헤지혹 시리즈)] [[파일:마리오와 소닉 베이징 올림픽.jpg]] [목차] == 개요 == || [youtube(sLUCrjk-lOQ)] || || Wii판 [[한국닌텐도]]의 공식 소개 영상. 나레이터는 [[신성호(성우)|신성호]]. || || [youtube(ny2GX-pn7RM)] || || 닌텐도 DS판 [[한국닌텐도]]의 공식 소개 영상. 나레이터는 [[신성호(성우)|신성호]]. || 세가가 개발한 스포츠 게임 소프트웨어로, [[마리오와 소닉 올림픽 시리즈]]의 첫작이다. 배경 대회는 [[2008 베이징 올림픽]]. [[Wii]]판은 [[2007년]] [[11월 20일]], [[닌텐도 DS]]판은 [[2008년]] [[1월 17일]]에 발매 되었다. 한글판은 2008년 5월 29일에 Wii, 6월 26일에 닌텐도 DS로 발매되었다.[* 이후 한글판은 하계 올림픽 게임 한정으로 6월 하순에 발매하고 있다. 런던 올림픽은 [[2012년]] [[6월 21일]]([[Wii]], [[3DS]] 동시 발매), 리우 올림픽은 [[2016년]] [[6월 23일]](3DS만 발매)] 이 게임만 유일하게 앞면 사진에 메인 주인공인 마리오와 소닉만 있다. == 캐릭터 == === 플레이어블 캐릭터 === Wii판 한정으로 Mii가 플레이어블 캐릭터로 나온다. ||<-2><|2> {{{+1 '''선수'''}}} ||<-2> {{{+1 '''담당 성우'''}}} ||<|2> {{{+1 '''타입'''}}} || ||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 ||<|20> '''{{{#white 마리오 시리즈}}}''' || [[마리오(마리오 시리즈)|마리오]] ||<-2> [[찰스 마티네이]] || 밸런스 || || [[루이지(마리오 시리즈)|루이지]] ||<-2> 찰스 마티네이 || 밸런스 || || [[피치공주|피치]] ||<-2> 서멘사 '샘' 캘리 || 테크닉 || || [[데이지 공주|데이지]] ||<-2> 디애나 머스터드 || 스피드 || || [[요시(마리오 시리즈)|요시]] ||<-2> 토타카 카즈미 || 스피드 || || [[와리오]] ||<-2> 찰스 마티네이 || 파워 || || [[와루이지]] ||<-2> 찰스 마티네이 || 테크닉 || || [[쿠파]] ||<-2> 스콧 번스 || 파워 || ||<-2><|2> {{{+1 '''선수'''}}} ||<-2> {{{+1 '''담당 성우'''}}} ||<|2> {{{+1 '''타입'''}}} || ||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 ||<|20> '''{{{#fff 소닉 시리즈}}}''' || [[소닉 더 헤지혹]] || [[카네마루 준이치]] || [[제이슨 그리피스]] || 스피드 || || [[마일즈 테일즈 프로워]] || [[히로하시 료]] || 에이미 팰런트 || 테크닉 || || [[너클즈 디 에키드나]] || [[칸나 노부토시]] || [[댄 그린]] || 파워 || || [[에이미 로즈]] || [[카와타 타에코]] || [[리사 오티즈]] || 밸런스 || || [[섀도우 더 헤지혹]] || [[유사 코지]] || [[제이슨 그리피스]] || 스피드 || || [[블레이즈 더 캣]] || [[타카모리 나오]] || 벨라 허드슨 || 밸런스 || || [[벡터 더 크로커다일]] || [[미야케 켄타]] || 제임스 카터 캐스카트 || 파워 || || [[닥터 에그맨]] || [[오오츠카 치카오]] || 마이크 폴록 || 테크닉 || === 논플레이어블 캐릭터 === ||<-2><|2> {{{+1 '''선수'''}}} ||<-2> {{{+1 '''담당 성우'''}}} ||<|2> {{{+1 '''타입'''}}} ||<|2> {{{+1 '''포지션'''}}} || ||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 ||<|20> '''{{{#fff 마리오 시리즈}}}''' || [[키노피오]] ||<-2> 서멘사 '샘' 캘리 || 없음 || 서포터 || || [[헤이호]] ||<-2> 네이트 빌도프 || 없음 || 서포터 || || [[김수한무]] ||<-2> 덱스 멘리 || 없음 || 서포터 || ||<-2><|2> {{{+1 '''선수'''}}} ||<-2> {{{+1 '''담당 성우'''}}} ||<|2> {{{+1 '''타입'''}}} ||<|2> {{{+1 '''포지션'''}}} || ||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 ||<|20> '''{{{#fff 소닉 시리즈}}}''' || [[빅 더 캣]] || [[나가사코 타카시]] || 존 세인트 존 || 없음 || 서포터 || || [[에스피오 더 카멜레온]] || [[마스다 유우키]] || 데이비드 윌스 || 없음 || 서포터 || || [[챠미 비]] || [[텟포즈카 요코]] || 에이미 번덤 || 없음 || 서포터 || == 경기 목록 == * 육상 * 100m: 말 그대로 100m를 달리는 속도를 겨룬다. 스타트 라인에서 파워를 충전하여 '''Go!'''라는 신호가 나오면 Wii 리모컨을 아래로 내려 스타트를 잘 활용해야 한다. 그 다음 Wii 리모컨과 눈차크를 교대로 흔들어 달린다. DS는 터치펜으로 좌우로 문지르다가 오른쪽으로 슬라이드하여 막판 스퍼트를 발동시킨다. * 400m: 말 그대로 400m를 달리는 속도를 겨룬다. 100m와 마찬가지로 스타트 라인에서 파워를 충전하여 '''Go!'''라는 신호가 나오면 Wii 리모컨을 아래로 내려 스타트를 잘 활용해야 한다. 그 다음 Wii 리모컨과 눈차크를 교대로 흔들어 달린다. 게임 도중 남아있는 하트 게이지를 보고 체력안배를 적절히 하여 달려야 한다. DS는 터치펜으로 체력안배를 하며 좌우로 문지르다가 오른쪽으로 슬라이드하여 막판 스퍼트를 발동시킨다. * 110m 허들 (Wii 한정): 100m와 같은 방식으로 게임이 진행되지만, 허들 장애물이 추가됨과 동시에 10m를 더 달린다. * 400m 허들: 400m와 같은 방식으로 게임이 진행되지만, 허들 장애물이 추가된다. * 멀리뛰기: 멀리 뛴 거리를 겨룬다. Wii 리모컨과 눈차크를 교대로 흔들어 위로 들어올려 점프한다. DS는 터치펜을 문지른 다음 적정 각도로 슬라이드하여 점프한다. 발구름판을 지나면 파울이 되므로 주의하자. * 세단뛰기: 멀리뛰기와 마찬가지로 세 차례 멀리 뛴 거리를 겨룬다. 조작 방식은 멀리뛰기와 동일하지만, 홉, 스텝, 점프 이 세 과정이 있다. * 장대높이뛰기 (Wii 한정) * 창던지기 * 해머던지기 * 높이뛰기 (Wii 한정) * 수영 * 100m 자유형: Wii에서는 흔들면서 버튼을 누르며 숨쉬는 거지만 DS에서는 캐릭터 마다 패턴이 다르다. 상하 화살표-자유형(마리오, 루이지, 피치, 데이지, 섀도우), 좌우 화살표-개헤엄(소닉, 테일즈, 요시), 원형-평영(쿠파, 와리오, 닥터 에그맨, 에이미), 반원형-접영(와루이지, 너클즈, 블레이즈)[* 에뮬레이터 한정으로 1위하는게 다소 어렵다.], 누운 8자(벡터)가 있다.[* 이 때문에 벡터로 1위하기 유독 어렵다...] * 4x100m 계영 (Wii 한정) * 10m 플랫폼다이빙 (DS 한정) * 탁구: 단식 탁구 * 양궁: 과녁을 겨냥해서 득점을 겨룬다. A 버튼과 B 버튼을 누른 후 Wii 리모컨을 당겨서 화살을 세팅한다. 2개의 조준 커서 중 하나는 Wii 리모컨으로 포인트를 조준하고 다른 하나는 눈차크를 기울여서 두 개가 겹칠 때 버튼에 손을 떼 화살을 쏜다. DS는 아래로 슬라이드 한 다음 바람의 방향과 세기를 계산한 후 터치펜을 뗀다. * 사격: 스키트 * 체조: 트램펄린, 도마 * 펜싱: --에뻬-- 에페 * 조정: 싱글 스컬 (Wii만) * 사이클: 개인추발 (DS만) * 드림 경기 * 드림 레이스[* 맵은 --당연히-- 다르다.] * 드림 다이빙 (Wii만) * 드림 펜싱 * 드림 탁구 * 드림 농구 (DS만) * 드림 복싱 (DS만) * 드림 사격 (DS만) * 드림 카누 (DS만) * 드림 멀리뛰기 (DS만) == 평가 == ||<-3> '''[[메타크리틱|[[파일:메타크리틱 로고.svg|width=100]]]]''' || || {{{#fff '''플랫폼'''}}} || {{{#fff '''메타스코어'''}}} || {{{#fff '''유저 평점'''}}} || || {{{#!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 0px -10px;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3; font-size: 0.75em" [[닌텐도 DS|{{{#white NDS}}}]]}}}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점수입력, platform=ds, code=mario-sonic-at-the-olympic-games, y=, score=70)]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점수입력, platform=ds, code=mario-sonic-at-the-olympic-games/user-reviews, y=, score=7.2)] || || {{{#!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 0px -10px;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808080; font-size: 0.75em" [[Wii|{{{#fff Wii}}}]]}}}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점수입력, platform=wii, code=mario-sonic-at-the-olympic-games, y=, score=67)]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점수입력, platform=wii, code=mario-sonic-at-the-olympic-games/user-reviews, g=, score=7.6)] || == 둘러보기 == ||<-3> '''[[마리오와 소닉 올림픽 시리즈]]''' || || '''베이징 올림픽''' || → || [[마리오와 소닉 밴쿠버 동계 올림픽|밴쿠버 동계 올림픽]] || [include(틀:마리오 시리즈)] [[분류:마리오와 소닉 올림픽 시리즈]][[분류:2007년 Wii 게임]][[분류:2008년 닌텐도 DS 게임]][[분류:2008 베이징 올림픽]][[분류:닌텐도 Wi-Fi 커넥션 지원 게임/닌텐도 DS]][[분류:닌텐도 Wi-Fi 커넥션 지원 게임/Wii]][[분류:게임 템플릿 미반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