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마리오 스포츠 시리즈)] [include(틀:소닉 더 헤지혹 시리즈)] ||<:> [[파일:external/ecx.images-amazon.com/71PU8CnwOIL._SL1131_.jpg|width=100%]] || ||<:> '''일본판''' 커버 아트. 북미판은 여기서 글자만 다르다. || [목차] == 개요 == || [youtube(sftunSeHKTg)] || || 닌텐도 공식 소개 영상(일본어) || [youtube(TWnmi0JL5h0)] [youtube(F0GROJ1F41E)] [[마리오와 소닉 올림픽 시리즈]]의 4번째 작품으로, [[마리오와 소닉 런던 올림픽|런던 올림픽]]의 후속작인 동시에 [[마리오와 소닉 밴쿠버 동계 올림픽|밴쿠버 동계 올림픽]]에 이은 두번째 동계 올림픽 타이틀이다. 배경 대회는 [[2014 소치 동계올림픽]]. 전작까지는 가정용과 휴대용 게임기로 총 두 버전이 발매된 반면, 소치 동계 올림픽은 이례적으로 '''[[Wii U]]로만''' 발매되었다. 이러한 케이스론 닌텐도 스위치로만 발매되는 [[마리오와 소닉 AT 2020 도쿄 올림픽]]이 있다.[* 사실 이 사례는 닌텐도 스위치가 하이브리드형이어서 휴대용과 거치용으로 둘다 플레이가 가능하기 때문에 굳이 다른 게임기를 발매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북미, 유럽, 호주에서는 2013년 11월, 일본에서는 2013년 12월에 발매되었으며 대한민국에서는 Wii U가 정식 발매되지 않았기 때문에 한국어판은 당연히 없다. 만약 계속 발매를 한다고 치면 다음 동계 올림픽은 평창 올림픽 게임이 될 것으로 보였다. 다만 판매량이 6만장까지 떨어지면서 평창 올림픽은 제작되지 않았다. 2017년 6월 [[E3 2017]]에서 [[유비소프트]]가 [[스팁]] 올림픽 DLC를 발표하였고, '''이 시점에서 마리오와 소닉 [[평창 동계올림픽]]은 소치 올림픽 판의 판매 부진과 좋지 않은 평가로 인하여 출시되지 않는 게 확정되었다.''' [[베이징 동계올림픽]]은 아예 관련 이야기조차 나오지 않은 걸로 봐서 동계 시리즈는 완전히 끝장났다 봐도 무방하다. == 출전 선수 == 밴쿠버 동계 올림픽, 런던 올림픽과 동일하다. === 마리오 팀 === * [[마리오(마리오 시리즈)|마리오]] * [[루이지(마리오 시리즈)|루이지]] * [[피치공주|피치]] * [[데이지 공주|데이지]] * [[요시(마리오 시리즈)|요시]] * [[와루이지]] * [[와리오]] * [[동키콩]] * [[쿠파주니어]] * [[쿠파]] === 소닉 팀 === * [[소닉 더 헤지혹]] * [[마일즈 테일즈 프로워]] * [[너클즈 디 에키드나]] * [[에이미 로즈]] * [[섀도우 더 헤지혹]] * [[블레이즈 더 캣]] * [[벡터 더 크로커다일]] * [[실버 더 헤지혹]] * [[메탈 소닉]] * [[닥터 에그맨]] == 경기 목록 == 정식 경기 16종, 드림 경기 8종으로 전작에 비해 수가 줄어들었다. === 올림픽 경기 === * 알파인스키 활강 * 스키점프 라지힐 * 모굴 * 스키 크로스 * 바이애슬론 * 스노보드: 평행대회전, 슬로프스타일, 스노보드 크로스 * 스피드스케이팅 500m * 쇼트트랙 1000m * 피겨스케이팅: 싱글, 페어 * 스켈레톤 * 봅슬레이 * 아이스하키 * 컬링 === 드림 경기 === 이전 작들과 달리, 드림 경기 내에서 아이템의 등장이 전무하여 올림픽 경기와의 차별성은 일부 종목의 다른 조작성과 스테이지 기믹 정도밖에 남지 않았다. 괄호 안의 내용은 북미판 경기 이름이다. * 윈터 스포츠 챔피언 레이스 (Winter Sports Champion Race) 첫 시작은 스키를 타고 상공의 헬리콥터에서 낙하하는 것으로 시작하며, 이후 ? 패널을 지날 때마다 스키/스케이트/스노보드/봅슬레이 중 하나로 현재 착용 중인 장비가 전환된다. 스키/스노보드 사용 중일 때는 눈길을, 스케이트/봅슬레이 사용 중일 때는 얼음길을 사용하는 것이 속도 향상에 도움이 된다. * 그루브 스노보드 (Groove Pipe Snowboard) 스테이지는 [[마리오 카트 더블 대시!!/코스|버섯 브리지]]. 대포, 그라인드 레일, 코인 등 스테이지 기믹을 제외하면 스노보드 크로스와 동일하게 조작한다. 2바퀴를 돌면 완주. * 뮤지컬 피겨스케이팅 (Figure Skating Spectacular) * 스트리트 아이스하키 (Snow Day Street Hockey) * 제트코스터 봅슬레이 (Roller Coaster Bobsleigh) * 홀인원 컬링 (Hole In One Curling) 스테이지는 [[스플래시 힐]]. 1명은 스톤에 탑승하고, 1명은 스톤을 밀어 먼저 목적지에 스톤을 도착시키면 승리한다. * 스노 메달 쟁탈 공굴리기 눈싸움 (Snowball Scrimmage) * 폭주 킬러 썰매 레이스 (Bullet Bill Sledge Race) 스테이지는 [[스위트 마운틴]]. 2명이 킬러가 끄는 썰매에 탑승하고 경주하는 종목. 스테이지 내의 파란 구슬을 모으면 에너지가 충전되며, 완충된 경우 잠시 동안 급가속할 수 있다. == 메들리 배틀 (Medley Mania) == 베이징 올림픽의 서킷 경기, 런던 올림픽의 메들리 매치를 계승한 시스템. 다수의 경기를 연속으로 진행하고 포인트의 합을 겨루는 모드이다. == 액션×앤서 투어 (Action & Answer Tour) == 올림픽 경기에 퀴즈의 요소를 섞은 모드로, 최대 4인까지 동시에 즐길 수 있다. 여러 올림픽 경기장을 돌면서 퀴즈와 보너스 게임이 섞인 이런저런 경기를 치르고, 최종적으로 포인트의 합이 가장 높은 1명이 승자가 된다. == 올스타 챌린지 모드 (Legends Showdown) == 플레이어 캐릭터 20명을 5개의 팀으로 나누고, 각 팀이 서로 다른 에어리어에서 다수의 경기를 진행하며 레전드 트로피를 노리는 모드. 각 에어리어에 배정된 팀들은 팀원의 고스트, Mii, 그리고 1명의 라이벌과 경쟁하게 된다. 플레이어는 각 에어리어를 차례차례 클리어해야 하며, 각 경기를 치를 때는 현재 조작하고 있는 팀의 구성원 중 1명을 골라야 한다. 5개의 에어리어를 모두 클리어하고 나면, 5개 팀이 전부 레전드 트로피가 있는 곳에 모인다. 이 때 ''''팀 에그맨 네가''''가 트로피 앞에 나타나며, 플레이어는 20명의 선수 중 1명을 골라 이들과의 최종보스전을 진행해야 한다. 종목은 드림 경기 중 하나인 '''윈터 스포츠 챔피언 레이스'''. === 팀 및 에어리어 구성 === || 에어리어 || 팀원 (플레이어블 캐릭터) || 라이벌 (보스) || || Area 1 || 동키콩, 요시, 소닉, 테일즈 || [[캐서린]] || || Area 2 || 와루이지, 와리오, 너클즈, 에이미 || [[마귀(마리오 시리즈)|마귀]] || || Area 3 || 데이지, 루이지, 섀도우, 벡터 || [[젯 더 호크]] || || Area 4 || 마리오, 피치, 실버, 블레이즈 || [[킹부끄]] || || Area 5 || 쿠파, 쿠파주니어, 닥터 에그맨, 메탈 소닉 || [[E-123 오메가]] || || Area 6[br](최종장) || Mii를 제외한 플레이어블 캐릭터 전원 (총 20명) || '''팀 에그맨 네가'''[br]([[닥터 에그맨 네가]], [[루즈 더 뱃]], [[좀비쿠파]]) || 참고로 라이벌들 대다수가 후속작에서는 '''플레이어블 캐릭터'''가 되었다.[* [[젯 더 호크]], [[E-123 오메가]](3DS), [[좀비쿠파]], [[닥터 에그맨 네가]](3DS), [[루즈 더 뱃]]] == 평가 == ||<-3>
'''[[메타크리틱|[[파일:메타크리틱 로고.svg|width=100]]]]''' || || {{{#fff '''플랫폼'''}}} || {{{#fff '''메타스코어'''}}} || {{{#ffffff '''유저 평점'''}}} || || {{{#!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 0px -10px;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808080; font-size: 0.75em" [[Wii U|{{{#0275d8 {{{#ffffff Wii}}} {{{#00c5ff,#00c4ff U}}}}}}]]}}}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점수입력, platform=wii-u, code=mario-sonic-at-the-sochi-2014-olympic-winter-games, y=, score=55)]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점수입력, platform=wii-u, code=mario-sonic-at-the-sochi-2014-olympic-winter-games/user-reviews, y=, score=6.5)] || [include(틀:평가/오픈크리틱, code=1074, title=mario-sonic-at-the-sochi-2014-olympic-winter-games, rating=weak, average=56, recommend=0)] >'''마리오와 소닉 시리즈는 Wii의 황금기를 통해 닌텐도를 정의했던 매력적이고, 한 입 크기이고, 모든 것을 망라한 엔터테인먼트의 완벽한 예시이다. 하지만 창의성의 부족과 Wii U 게임패드의 형편없는 구현은 6년 동안의 마리오와 소닉 4번째 작품이 확실히 실패했다는 것을 보증한다.''' >마틴 개스턴, [[게임스팟]] 5/10 리뷰 중 발췌[[https://www.gamespot.com/reviews/mario-sonic-at-the-sochi-2014-olympic-winter-games/1900-6415522/|원본]] Wii U로 발매된 첫 올림픽 시리즈이니만큼 그래픽 향상은 어느 정도 이루었다. 그러나 플레이 가능 종목 감소, 싱글 매치 이외의 컨텐츠 부실, 뒤떨어지는 조작성 등 전작에서 퇴보한 부분이 많아 악평을 받았다. 소치 동계올림픽 이후에도 마리오와 소닉 올림픽 시리즈는 괄목할 만 한 진보를 보여주지 못하고 매너리즘에 빠진 행보를 보여주면서, 제대로 된 성과를 내지 못하고 있다. == 둘러보기 == ||<-5>
<#fff000><:> '''[[마리오와 소닉 올림픽 시리즈]]''' || || [[마리오와 소닉 런던 올림픽|런던 올림픽]] || → || '''소치 동계 올림픽''' || → || [[마리오와 소닉 리우 올림픽|리우 올림픽]] || [include(틀:마리오 시리즈)] [[분류:마리오와 소닉 올림픽 시리즈]][[분류:2013년 Wii U 게임]][[분류:Wii U 전용 게임]][[분류:2014 소치 동계올림픽]][[분류:게임 템플릿 미반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