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러시아 관련 문서)] ||<-2><#ffffff>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excava.ru/mariinskii-opera-house.jpg|width=100%]]}}} || ||<-2> '''{{{+2 마린스키 극장}}}[br]Мариинский театрa / Mariinsky Theater''' || ||<-2> [[http://www.mariinsky.ru/en/|공식 홈페이지]] || || 설립일 ||<#ffffff> 1860년 || || 개관일 ||<#ffffff> 1860년 10월 2일 || || 주소 ||<#ffffff>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 테아트랄나야광장 1번지 || [목차] [clearfix] == 개요 ==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에 있는 [[크고 아름다운]] 극장. == 역사 == 황제 [[알렉산드르 2세]](Alexander II)의 비인 마리아 알렉산드로브나(Maria Alexandrovna)의 이름을 따서 '마린스키'라는 이름이 붙었다. 1860년 10월 2일 미하일 글린카(Mikhail Glinka)의 [[오페라]] 《차르에게 바친 목숨 A Life for the Tsar》을 공연하면서 개관했다. 건물 내부 장식은 모두 A. 골로빈(A.Golovin)의 작품이며 [[크리스털]]과 도금으로 장식된 하늘색 객석과 안락한 박스, 커튼 등이 유명하다. 극장의 시초는 1840년대에 [[볼쇼이 극장]] 바로 맞은편 [[회전목마]] [[광장]]에 파리식으로 세운 극장 겸 서커스 공연장 건물이다. 이 건물은 당시 러시아의 대표적인 건축가이자 상트페테르부르그 볼쇼이극장의 지휘자 겸 작곡가·교육자였던 K.카보스의 아들 A.카보스(A. Kavos)가 구상하였는데 공간 구성이 특이하고 가스등을 갖춘 러시아 최초의 극장이었다. 그러나 개관 후 10년 만에 불이 나 [[석재]]로 된 벽만 남았다. 그 뒤 알렉산드르 2세의 재건축 지시에 따라 A.카보스가 [[건축]]을 맡아 [[뮤지컬]] 공연용으로 건축한 것이 바로 현재의 극장이다. 옛 소련 시절에는 '키로프 국립 오페라 및 발레 아카데미 극장'이라는 이름으로 불리다가 [[1991년]] [[소련]]이 해체되면서 다시 옛 이름을 되찾았다. == 상세 == [[모스크바]]의 [[볼쇼이 극장]]과 함께 러시아 예술의 정수로 평가받는다. 좌석은 5층으로 되어 있으며 좌석수는 1,774개라고 한다. 도보 10분 이내의 지하철역은 없다. 넵스키 프로스펙트 역 부근에서 택시 이용시 약 10분 정도 소요된다. 세계적으로 유명한 '''[[마린스키 발레단]]'''[* 한국인 [[발레리노]] [[김기민(1992)|김기민]]이 수석 무용수로 있다.]도 여기 소속이다.[* 제정 러시아 당시에는 황립 러시아 발레단, 소련 시기에는 소비에트 발레단, 키로프 발레단이 정식 명칭이었다.] 마린스키 발레단의 유명세에 비하면 관람요금은 의외로 저렴한 편이다.[* 유명한 공연이라도 R석에 준하는 좌석이 20만원이 넘지 않는 경우가 많다.] 알렉산드르 골로빈의 화려한 커튼이 있는 것으로도 유명한 1극장에서 열리는 공연이 대체적으로 신축한 건물에서의 것보다 격이나 전통이 있는 편이라고. 한국과 가까운 도시 [[블라디보스토크]]에 극동지부도 있는데, 블라디보스토크 [[금각교]] 근처에 위치하고 있다. 2012년 [[APEC]] 회의 당시 블라디보스토크의 인프라를 대대적으로 확충하는 공사를 시내 전역에서 벌였는데 그 일환으로 건립된 오페라 극장에 생긴 것. 완공된지 몇 년 되지 않은 극장이라 시설이 좋다. [[1988년]] 유리 테미르카노프의 은퇴 이후, 세계적으로 유명한 지휘자인 [[발레리 게르기예프]]가 음악 감독으로 재직 중이다. 그리고 그의 부임과 함께 마린스키 발레의 침체기가 시작되었다. 마린스키 발레단 산하의 바가노바 아카데미에서 갓 졸업하고 마린스키에 입단하지 못한 어린 무용수들이[* 그중 올가 스미르노바는 순식간에 볼쇼이의 수석 무용수가 되면서 세계적으로도 유명해졌다. 그 외에도 크세니아 지간쉬나, 알료나 코발료바, 엘레오노라 세버나드, 빅토르 레베데프, 그리고 오래동안 마린스키의 군무만 하다가 볼쇼이로 옮기고 수석 무용수가 된 율리아 스테파노바, 졸업하고 마린스키에서 떠났다가 다시 돌아와서 솔로이스트가 된 크리스티나 샤프란 등등 해가 지날수록 리스트가 늘어나는 중.] 죄다 이웃인 미하일로프스키 발레단이나 모스크바에 있는 라이벌 발레단인 볼쇼이 발레로 유출되어 대성하는 패턴이 몇 년째 반복되면서 팬들의 성토가 이어지고 있다.[* 특히 빅토르 레베데프가 미하일로프스키로 넘어간건 수석 발레리노가 부족한 마린스키에겐 매우 큰 손실로 여겨진다.] == 관련 문서 == * [[마린스키 발레단]] [[분류:러시아의 문화]][[분류:러시아의 랜드마크]][[분류:1860년 설립]][[분류:상트페테르부르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