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전투]][[분류:2022년 전투]][[분류:2023년 전투]] [include(틀: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2> {{{#fff {{{+1 '''마린카 전투'''}}}[br]'''Битва при Маринке'''[br]'''Battle of marinka'''}}} || ||<-2> {{{#fff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fff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 ||<-2> [[2022년]] [[3월]] ~ [[2023년]] [[12월]]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Mar'inka, 너비=100%)]}}} || ||<-2> 우크라이나 [[도네츠크주]] [[마린카]] || ||<-2> '''{{{#fff 교전국}}}''' || || [include(틀:국기, 국명=우크라이나, 크기=23)] || [include(틀:국기, 국명=러시아, 크기=23)][br][include(틀:국기, 국명=도네츠크 인민공화국, 크기=23)][*A 2022년 9월 러시아 영토로 편입됨] || ||<-2> '''{{{#fff 병력}}}''' || ||[[우크라이나 육군]][br]{{{-2 제54기계화여단}}}[br][[우크라이나 공수군]][br]{{{-2 제79공중강습여단}}} [br][[우크라이나 해병대]][br]{{{-2 제35해군보병여단}}} [[우크라이나 국가근위대]] [[아조프 연대]] ---- '''총 인원 불명''' ||[[러시아 육군]][br]{{{-2 제42근위차량화소총사단}}} [[제78특수차량화연대]][br][[제150차량화소총사단|{{{-2 제150차량화소총사단}}}]][br][[도네츠크 인민 민병대|{{{-2 도네츠크 인민 민병대}}}]] [[스파르타 대대]] [[제110근위차량화소총여단]] 제5차량화소총여단 '오플롯' OBTF '카스카드' 아흐마트 특수부대 [[루시치 그룹]] ---- '''총 인원 불명''' || ||<-2> '''{{{#fff 지휘관}}}''' || ||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width=23]] [br] 미상 || [[파일:러시아 국기.svg|width=23]] [[압티 알라우디노프]][br][[파일:러시아 국기.svg|width=23]] [[아르툠 조가]] || ||<-2> '''{{{#fff 피해규모}}}''' || ||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width=23]] [br] 미상 || [[파일:러시아 국기.svg|width=23]] [br] 미상 || ||<-2> '''{{{#fff 결과}}}''' || ||<-2> '''러시아군의 승리''' || [목차] [clearfix] == 개요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파괴된마린카.jpg|width=100%]]}}} || || '''{{{#ffffff 폭격에 파괴된 시내}}}''' || 우크라이나 [[도네츠크주]] 또는 러시아 [[도네츠크 인민공화국]]의 도시 [[마린카]]에서 벌어졌던 전투. 양측의 대규모 공습으로 나무는 물론 건물이 모조리 파괴되었고 [[바흐무트 전투]]에 못지않게 수많은 군인들과 민간인들이 이 전투에 목숨을 잃었다. == 전쟁 동향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마린카 전투 동향.jpg|width=100%]] }}} || *러시아의 블로거 리바르(rybar)가 제작한 마린카 전투의 동향을 나타낸 지도.[* rybar는 친러 성향을 드러내는 것을 강조하는 강경 친러이기 때문에 우크라이나 측이 주장하는 부분과 다를 수도 있다.] *2023년 3월 기준 마린카는 동서로 러시아가 70%, 우크라이나가 30% 가량 통제하고 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12.03. 기준 마린카 전선 지도.jpg|width=100%]] }}} || || '''12.03. 기준 마린카 전선 지도''' || *러시아군은 계속된 공세로 마린카 시의 주요 지역(약 97%)을 점령했다.우크라이나군은 마린카 시의 북서쪽에 있는 저수지의 북쪽 일부 거리(약 3%)만을 유지하고 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마린카 점령.jpg|width=100%]] }}} || *12월 25일 러시아군이 마린카 외곽에 잔존한 우크라이나 군을 밀어내고 공식적으로 마린카의 점령을 선언했다. *12월 26일 러시아군이 마린카 밖으로 진격을 계속하여 헤오르히이브카 전투가 시작되었다. * 우크라이나가 처음엔 부인했지만 결국 군을 철수하면서 마린카 전투는 러시아의 승리로 끝났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4411018?sid=104|#]] * [[발레리 잘루즈니]] 우크라이나 군 총사령관은 결국 동부 요충지 마린카에서 철수를 시인했다.[[https://v.daum.net/v/20231227175004721|#]] == 관련 자료 == * [[https://amp.seoul.co.kr/nownews/20230306601013|생명체가 하나도 없다…러 군 공격에 ‘멸망’한 도시 마린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