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F60> '''{{{#FFF {{{+1 마멋}}}(마못)[br]Marmot}}}''' || ||<-2>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024px-Alpine_Marmot.jpg|width=100%]] || ||<#F93> '''학명''' || ''' ''Marmota'' '''[br]Blumenbach, 1779 || ||<-2><#F96> '''분류''' || || [[생물 분류 단계#계|{{{#000 '''계'''}}}]] ||[[동물|동물계]]^^Animalia^^|| || [[생물 분류 단계#문|{{{#000 '''문'''}}}]] ||[[척삭동물|척삭동물문]]^^Chordata^^|| || [[생물 분류 단계#강|{{{#000 '''강'''}}}]] ||[[포유류|포유강]]^^Mammalia^^|| || [[생물 분류 단계#목|{{{#000 '''목'''}}}]] ||[[설치류|설치목]]^^Rodentia^^|| || [[생물 분류 단계#과|{{{#000 '''과'''}}}]] ||다람쥐과^^Sciuridae^^|| || [[생물 분류 단계#속|{{{#000 '''속'''}}}]] ||'''마멋속^^''Marmota''^^'''|| ||<-2><#f96> [[생물 분류 단계#종|{{{#000 '''종'''}}}]] || ||<-2><#fff> 본문 참조 || [[파일:external/cdn2.arkive.org/Alpine-marmot-vocalising.jpg|width=500]] 사진은 알프스마멋(Alpine marmot, ''Marmota marmota'') [목차] [clearfix] == 개요 == [[설치류|설치목]] 다람쥐과의 [[포유류]]로 이들 마멋류를 총칭하는 말로 쓰인다. == 상세 == 몸길이 30~60cm, 꼬리길이 10~25cm,[* 주로 나오는 사진들은 꼬리가 잘 안 보이는데 [[https://static01.nyt.com/images/2018/01/23/science/23TB-MARMOT/23TB-MARMOT-jumbo-v2.jpg|엄연히 꼬리가 있으며 꽤 길다]].] 몸무게는 3~7.5kg인데 설치류 중에선 큰 편이다.[* 체급으로 치면 덜 자란 고양이나 소형견과 좀 엇비슷하다.] 식성은 초식에 치우친 잡식으로 풀과 채소, 곡물을 주로 먹지만 [[곤충]]이나 [[달팽이]] 등 동물성 먹이도 간혹 섭취한다. 과자도 잘 먹는다. 대개 무리를 짓지만 [[우드척]]처럼 단독생활을 선호하는 종도 있다. 설치류답게 발에 [[육구#s-1|육구]] 비슷한 조직이 존재한다. 땅굴을 파고 그 안에서 생활한다. 굴은 은신처인 동시에 천적으로부터 도망가기 위한 수단으로 굉장히 길고 복잡하게 짓는다. 경우에 따라서는 수십 미터 길이로 지어지기도 한다. [[겨울]]에는 이 안에서 [[겨울잠|동면]]을 한다. 이때의 심박수는 5 bpm이다. 서식지는 북반구의 [[아시아]], [[유럽]], [[북아메리카]]에 걸쳐 광범위하게 퍼져 있다. 유라시아의 '''보박'''(Bobak marmot, ''Marmota bobak''), 유럽의 '''알프스마멋''', 북미의 '''[[우드척]]'''(Woodchuck ''Marmota monax'')이 대표적인 아종이며 연구도 가장 활발하다. 천적은 [[눈표범]], [[늑대]], [[여우]], [[티베트모래여우]], [[곰]], 대형[[맹금류]], [[인간]][* 몽골인에게 중요한 단백질 공급원으로서 고기가 군내도 없고 맛이 좋다고 한다.[[https://youtu.be/tQMWXiybtqA]]] 이다. == 종류 == * '''마멋아속'''(''Marmota'') * 고산마멋(''Marmota marmota'') * 삼림스텝마멋(''Marmota kastschenkoi'') * 알타이마멋(''Marmota baibacina'')[* 회색마멋이라고도 불린다.] * 보박(''Marmota bobak'')[* 만주마멋이라고도 불린다.] * 알래스카마멋(''Marmota broweri'') * 검은머리마멋(''Marmota camtschatica'') * 긴꼬리마멋(''Marmota caudata'')[* 황금마멋, 또는 붉은마멋이라고도 불린다.] * 히말라야마멋(''Marmota himalayana'')[* 티베트눈돼지라고도 불린다.] * 멘즈비어마멋 (''Marmota menzbieri'') * [[우드척]](''Marmota monax'')[* 북미마멋, 또는 그라운드혹이라고도 불린다.] * 타르바간마멋(''Marmota sibirica'')[* 몽골마멋 또는 시베리아마멋, 타르박이라고도 불린다.] * '''페트로마멋아속'''(''Petromarmota'') * 흰등마멋(''Marmota caligata'') * 노란배마멋 (''Marmota flaviventris'')[* 애완동물계 마멋. 이 종은 주로 미국에서 애완동물로 길러진다.] * 올림픽마멋(''Marmota olympus'')[* 애완동물계 마멋. 주로 유럽에서 기르며 그중에서도 그리스, 터키 쪽에서 주로 기른다.] * 밴쿠버섬마멋(''Marmota vancouverensis'') * '''멸종된 종''' * †마르모타 아리조나이(''Marmota arizonae'') * †마르모타 미노르(''Marmota minor'') * †--마르모타 로부스타(''Marmota robusta'')--[* 히말라야마멋과 동일종으로 여겨진다.] * †마르모타 베스투스(''Marmota vestus'') == 기타 == [youtube(syNumVb2kUs)] 서양권 밈으로 유명한 동물. 말하는 동물들 영상에서 [[https://www.youtube.com/watch?v=XgvR3y5JCXg|앨런 스티브 등을 외치는 동물]]은 [[프레리독]]이 아니고 이 동물이다. 최근에 발굴된 울음소리 또한 밈이 되고있는데, 주로 고음부분에서 동물관악기화된다. 예를 들면 [[https://www.youtube.com/watch?v=IauzPDhoxqs|이런]] [[https://www.youtube.com/watch?v=g2NFfPkEWlQ|식.]] 울음소리를 사람 비명소리로 바꾼 [[https://youtu.be/iUXAHc-ABoY|영상]]이 올라온 뒤로 한국 유튜버들 사이에서 주로 빡치는 상황에 삽입한다.[* [[장동민]]이 화났을 때 지르는 목소리와 비슷하다고 알려져있다.] 참고로 이 영상은 screaming marmot(소리지르는 마멋)이라고 유투브에 검색하면 패러디 영상이 수두룩한데, 위의 원본이 사람들에게 관심을 받은 뒤 유투버 tooludchannel(현재는 lucernafilms)가 약간의 편집 후 비명을 넣은 것을 시작으로 인기를 끌었다. [[기니피그]]를 '[[모르모트]]'라고 잘못 부르기도 하는데, 그 '모르모트'의 어원이 이 마멋이다. 네덜란드에서 마멋과 기니피그를 혼동해서 모두 '마르모트'라고 부른 것을, 네덜란드와 교류하던 일본에서 그대로 받아들인 것. 2019년 초 마멋을 자양식으로 식용하는 [[몽골]]에서 마멋의 생간을 먹은 사람이 '''[[흑사병]]'''으로 사망하자 인근에 있던 한국인을 포함한 관광객 여러명도 [[http://news1.kr/articles/?3615437|격리돼 항생제를 투여받는 사건]]이 있었는데 추가 발병자가 없어 격리조치가 풀렸다. 2020년 7월 내몽고 자치구에서도 마멋을 먹은 목축업 종사자가 흑사병 확진을 받았다. [[https://n.news.naver.com/article/437/0000242093|#]] 뛸 때 [[https://www.irishtimes.com/polopoly_fs/1.4055208.1571401236!/image/image.jpg_gen/derivatives/landscape_620/image.jpg|두 발로 서는 짤]]이 있다. 그 외에 사람에게 [[http://www.thetimes.co.uk/imageserver/image/methode%2Ftimes%2Fprod%2Fweb%2Fbin%2F337068c8-aa9c-11e7-b9a3-2cac9d6c85bd.jpg?crop=1350%2C759%2C107%2C73&resize=685|간식을]] [[http://livedoor.blogimg.jp/plmh/imgs/3/0/30e05e0f.jpg|받아먹기도]] 하고, [[https://i.pinimg.com/originals/64/d1/ea/64d1eac7cb609f8d80e237303c649766.jpg|사람의 물건에 호기심을 보이는 모습]]도 포착된다. 이를 노려서 마멋을 마구 만지는 [[https://youtu.be/FJijDnzMS-Y|영상들]]도 꽤 있다(...). 몽골에서는 마멋이 호기심이 많다는 점을 사냥에 이용한다. 사냥꾼이 하얀 옷에 깃털 달린 모자를 쓰고 말 꼬리털로 만들 먼지털이 같은 채를 돌리면서 돌아다니면 호기심을 참지 못하고 굴 밖으로 나온다. 이 때 총으로...[[ https://youtube.com/watch?v=tQMWXiybtqA&feature=share|#]] [[프레리독]]과 생긴 것은 물론, 두 발로 잘 선다는 점이 비슷하다. 그러나 마멋은 프레리독보다 몸집이 크다. 목욕을 무척이나 좋아한다.[[https://youtu.be/eAOzj9f9wX4|#]] 미국인들은 북미 대륙의 마멋 일종을 Groundhog라고 부르는데, 성촉절인 2월 2일에 이들이 겨울잠에서 깨어나는 날이라고 기념하는 [[http://photo.chosun.com/site/data/html_dir/2017/02/03/2017020302406.html|Groundhog Day]] 가 있으며, 이를 소재로 한 [[루프물]] 영화 [[사랑의 블랙홀]]이 있다. [[드림웍스]]의 애니메이션 [[가디언즈(영화)|가디언즈]]에서 [[부활절]] [[토끼]]가 새로운 가디언즈 멤버로 그라운드 호그만 아니었으면 하면서 라이벌 의식을 드러내는 장면도 있다. [[에르히 메르겡]]이 타르바간이 되었다고 한다. [[포켓몬스터]]의 포켓몬인 [[빠르모트]]는 마멋을 모티브로 한 포켓몬이다. 2023년, 태국에서 출발한 비행기에서 마멋 등의 동물이 돌아다녀서 논란이 됐다. 누군가에 의해 몰래 반입된 것으로 추정된다.[[https://www.news1.kr/articles/?5192882|#]] [[분류:마멋속]][[분류:애완동물/포유강]][[분류:인터넷 밈/동물]][[분류:인터넷 밈/합성물]][[분류:인터넷 밈/다국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