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희왕]]의 몬스터 카드. [목차] == 설명 == === 원작 === [[파일:GiltiatheDKnight-JP-Manga-DM-NC.png]][* 원작 14권의 114 페이지.] || 한글판 명칭 ||<-4>'''마법 기사 길티어'''|| || 일어판 명칭 ||<-4>'''[ruby(魔導騎士, ruby=まどうきし)]ギルティア'''|| || 영어판 명칭 ||<-4>'''Giltia the D. Knight'''|| ||<-5> 일반 몬스터 || || 레벨 || 속성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6[* [[유희왕 듀얼몬스터즈]]에서는 5.] || 빛 || 전사족 || 1850 || 1500 || 원작 [[듀얼리스트 킹덤]] 편부터 [[죠노우치 카츠야]]가 사용한 몬스터. [[듀얼리스트 킹덤]] 준결승인 [[밴디트 키스]]와의 대결에서 꺼내지만 [[기계족]]은 마법 공격을 무시한다는 원작 룰에 따라 힘도 못 쓰고 당했다. [[배틀 시티(유희왕)|배틀 시티 편]]에선 죠노우치가 엑스퍼트 룰에 의한 제물 소환을 모른 채 필드 위에 그냥 꺼냈다가 무효로 사라졌다.[* 문제는 이전에 [[레어 헌터]]와의 듀얼에선 멀쩡히 제물 소환으로 [[붉은 눈의 흑룡]]을 소환하는 장면이 나온다.] 또한 원작에서는 이후 [[카지키 료타]]와의 듀얼에서도 소환했지만 깜빡하고 덱에서 빼놓지 않았던 하가의 [[기생충 파라사이드]]가 또 필드에 튀어나오는 바람에 곤충 몬스터가 되어버리다 료타의 [[격류장]]에 쓸려나가는 굴욕을 당하기도 했다. 이렇듯 소환되고 나서 공격에 성공한 적이 한 번도 존재하지 않는다. 하지만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오리지널 에피소드인 유우기와 죠노우치와의 결승 듀얼에선 죠노우치가 제일 먼저 소환하여 [[엘프 검사]]를 쓰러뜨리도 했으며, [[유희왕 R]]에서는 제대로 소환되어 [[키타모리 레이코]]의 퍼핏 룩을 파괴하기도 하고 [[철의 기사 기어프리드]]와 융합하여 [[강철의 마도 기사-길티기어프리드]]가 되어 피니시를 날리는 등 활약했다. 공격명은 '소울 웨이브'나 '소울 스피어(ソウル・スピア)'.[* 이름만 들어보면 전자는 마법 공격, 후자는 창술 같아 보이지만 후자로 공격했을때 마법 공격을 한 적이 있고, 전자로 공격했을때는 창술로 공격한 적이 있다.]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1화에서는 [[카이바 세토]]가 [[푸른 눈의 백룡]]과 이 카드 전부와 교환해 달라고 했던 카드들 중 하나로도 등장하는데, 여기서는 OCG를 따라가서 융합 몬스터였다. 캐럭터즈 가이드북 진리의 복음에 의하면 성지내의 소울 스피어를 이용해 적을 한순간에 때려눕힌다고 한다. === [[유희왕 듀얼몬스터즈(게임)|유희왕 듀얼몬스터즈]] === [[파일:GiltiatheDKnight-DM2-JP-VG.png]] || 한글판 명칭 ||<-4>'''마법 기사 길티어''' (비공식 번역명)|| || 일어판 명칭 ||<-4>'''[ruby(魔導騎士, ruby=まどうきし)]ギルティア'''|| || 영어판 명칭 ||<-4>'''Giltia the D. Knight'''|| ||<-5> 일반 몬스터 || || 레벨 || 속성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5[*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4 최강결투자전기]]에서는 6.] || 백마족 || 전사족 || 1850 || 1500 || ||<-5>혼을 꿰뚫는다고 전해지는 창을 가졌으며, 마법 공격을 걸어온다.|| ||<-5>마법 공격 소울 스피어는 적을 한 순간에 쓰러뜨린다고 전해지고 있다.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8 파멸의 대사신]]),,||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II 암계결투기]]에서부터 등장. ===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OCG]] === [[파일:external/vignette2.wikia.nocookie.net/GiltiatheDKnight-TP05-JP-C.jpg|width=400]] || 한글판 명칭 ||<-4>'''마법 기사 길티어'''|| || 일어판 명칭 ||<-4>'''[ruby(魔導騎士, ruby=まどうきし)]ギルティア'''|| || 영어판 명칭 ||<-4>'''Giltia the D. Knight'''|| ||<-5> [[융합 소환|융합]] 몬스터 || || 레벨 || 속성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5 ||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속성#빛|빛]] || [[전사족]] || 1850 || 1500 || ||<-5>"명계의 수호자" + "왕좌의 수호자"|| [[화염의 검사]]와 마찬가지로 융합 몬스터로 나왔다. 정규 융합으로 소환하기에는 등장 당시부터 성능이 영 형편없는 카드다. 그 대신 당시 나왔던 융합몹들과 비슷하게 [[인스턴트 퓨전]]으로 필드 위에 쉽게 나오는 것이 가능하며 주로 이런 식으로 소환되어 쓰이게 된다. 빛 속성이기에 [[어니스트(유희왕)|어니스트]]의 서포트를 받을 수 있고, 빛 속성 레벨 5 융합 몬스터 중 가장 공격력이 높은 카드다. 다만 어차피 인스턴트 퓨전의 공격 불가 디메리트 때문에 이 카드가 전투에 쓰이는 일은 없고 거의 [[싱크로 소환]]이나 [[엑시즈 소환]]의 소재로 소비 될 뿐. 이 점을 고려해서 어차피 공격에 안 쓸 거라면 공격력은 좀 낮아도 마법사족이라 [[아캐나이트 매지션]]의 소환에 쓸 수도 있는 [[음악의 제왕]]을 선택해버리는 경우도 많다. 대신 전사족 통일덱에서는 당연히 이쪽을 더 유용하게 쓸 수 있으며, 특히 빛 속성 전사족이기 때문에 [[라이트레이 기어프리드]]의 사용에 도움을 줄 수 있다. 그래도 '''이 카드의 팬이라 이 카드를 어떻게든 활용하고 싶다'''는 사람이 있다면 위에 언급한 인스턴트 퓨전은 포기하고 [[융합 주술봉인 생물]]-빛을 활용해보자. 일단 융합 소재들은 공격력이 낮은 일반 몬스터라 리쿠르터를 쓰든, [[예상외]]를 쓰던 필드에 모으기는 쉽고, [[엘리멘틀 히어로 플리즈마]]를 쓰는 방법도 있다. 융합 주술봉인 생물로 이걸 잡아먹으면 필드에 내놓기는 쉽다. 부족한 공격력은 상술하듯 빛속성이라 어니스트에 대응되며, 융합 몬스터라 결투융합-배틀 퓨전에도 대응하며, 전사족이라 전사족 최강의 장착 카드인 [[최강의 방패]]를 장착하는 것도 가능.[* 레벨 6이하인 융합 몬스터이므로 퓨전 웨폰도 장착가능한데, 퓨전 웨폰로 올릴 수 있는 공격력이 최강의 방패로 올릴 수 있는 수치(길티어의 수비력은 1500이기 때문)와 동일하기에 융합 소재들도 써먹을 수 있는 최강의 방패가 훨씬 좋다.] 써먹으려고 노력하면 일단 써먹을 수는 있는 셈. 원래 일본판 이름은 "마도기사 길티어"로 [[마도(유희왕)|마도]]라는 이름이 붙어 있지만, 레벨도 5고 마법사족이 아닌 전사족이라 그쪽과는 영 인연이 없다. 같은 마도기사인 [[마법 기사 디펜더]]는 마법사족이고 그 외에도 [[마법 검사 네오]], [[초마도검사 블랙 파라딘]] 등 검사 + 마법사 기믹을 가진 녀석들은 대부분 마법사족으로 분류되는데 왜 이 카드만은 전사족이냐면 사용자가 [[죠노우치 카츠야]]이기 때문인 듯. == 관련 카드 == === 융합 소재 몬스터 === ==== [[명계의 수호자]] ==== ==== [[왕좌의 수호자]] ==== === 기타 관련 카드 === ==== [[강철의 마도 기사-길티기어프리드]] ==== 원작에서 마법 기사 길티어를 융합 소재로 한 융합 몬스터. ==== [[마법 기사 길티어-소울 스피어]] ==== [[분류:유희왕/OCG/전사족]][[분류:유희왕/OCG/융합 소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