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유희왕/OCG/일반 마법]] [목차] == 개요 ==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의 일반 마법 카드. == 설명 == === 원작 === || [[파일:RevivalMagic-JP-Manga-DM.png|width=100%]] || [[파일:RevivalMagic-JP-Manga-DM-color.png|width=100%]] || || 구판 || 문고판 || || 한글판 명칭 ||'''마법 재생'''|| || 일어판 명칭 ||'''[ruby(魔法再生, ruby=まほうさいせい)]'''|| || 영어판 명칭 ||'''Revival Magic''' (원작 코믹스)[br]'''Spell Reproduction''' ([[유희왕 애니메이션 시리즈]])|| ||<-2> 일반 마법 || ||<-2>[ruby(묘지, ruby=세머터리)] 중에서 마법 카드를 1장 패에 넣는다.|| 원작 [[유희왕 듀얼몬스터즈/배틀 시티 본선 편|배틀 시티 본선 편]]에서는 [[카이바 세토]]와의 듀얼 중인 [[이시즈 이슈타르]]의 패에 있었던 것으로 나오며, 이시즈가 발동한 [[무덤으로의 동반]]에 의해 카이바가 이시즈의 패에서 지정하여 묘지로 보내졌다. 이후 [[현세와 명계의 역전]]에 의해 다시 덱으로 되돌아갔지만 사용되지는 않았다. [[유희왕 듀얼몬스터즈]]에서는 배틀 시티 이후 OCG판으로 적용되어 [[유희왕 듀얼몬스터즈/도마 편|도마 편]]에서는 [[쿠자크 마이]]가 [[죠노우치 카츠야]]와의 듀얼에서 사용. [[해피 레이디 -봉황의 진-]]을 회수해 죠노우치를 압박했다. [[유희왕 듀얼몬스터즈/KC 그랑프리 편|KC 그랑프리 편]]에서는 [[카이바 세토]]가 [[지크 로이드]]와의 듀얼에서 사용. [[차원 융합]]을 회수해 제외되어 있던 [[카오스 엠페러 드래곤 -종언-]], [[에머랄드 드래곤]], [[푸른 눈의 백룡]] 3장을 불러내 [[지크 로이드]]를 다굴했다. 원작과 애니 초기 등장시에는 발동 코스트가 없어 오히려 효과가 그대로였던 [[마법돌의 채굴]]의 상위 호환에 속하는 카드였다. 원작에서 마법 카드는 1턴에 1번밖에 발동/세트할 수 없었기 때문에 이 카드를 발동해 마법 카드를 회수해도 다음 자신의 턴이 아니면 쓸 수 없어 그저 그런 카드였지만, 그대로 OCG화되었다가는 너무나 사기적이라 이런 무거운 코스트가 생긴 것으로 보인다.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GX]]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GX/빛의 결사 편|빛의 결사 편]] 91화에서 [[타치바나 잇카쿠]]가 [[유우키 쥬다이]]와의 듀얼에서 사용하였다. [[태양의 서]]와 [[죽은 자의 환생]]을 코스트로 [[일격필살! 슬래시 드로우]]를 회수하는 데에 사용했다. 잇카쿠의 덱에는 상위 호환인 [[마법돌의 채굴]]도 있는데[* 슬래시 드로우의 효과로 덱을 묘지로 보내는 장면에서 확인 가능.] 굳이 이걸 채용한 이유는 슬래시 드로우의 효과로 마법돌의 채굴이 전부 갈려나갈 경우를 대비하기 위함인 듯하다. ===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 ===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73707889_1.jpg|width=100%]] || [[파일:external/images.wikia.com/SpellReproductionDCR-NA-C-1E.jpg|width=100%]] || || 내수판 || 수출판 || || 한글판 명칭 ||'''마법 재생'''|| || 일어판 명칭 ||'''[ruby(魔法再生, ruby=まほうさいせい)]'''|| || 영어판 명칭 ||'''Spell Reproduction'''|| ||<-2> 일반 마법 || ||<-2>패의 마법 카드를 2장 묘지로 보낸다. 자신의 묘지에서 마법 카드를 1장 선택하여, 패에 넣는다.|| [[마법돌의 채굴]]의 하위 호환인 카드이다. 마법돌의 채굴과는 달리 반드시 마법 카드를 코스트로 써야 하기에 4장째 이후의 마법돌의 채굴로 쓰지 않는 이상 채용 가치가 없다. 발동 조건이 패를 '버린다'가 아니라 '묘지로 보낸다.'로 쓸데없이 더 빡빡하기까지 하다. 어차피 몬스터도 아니고 마법을 버리는데 상관없지 않을까 싶을 수도 있지만, 텍스트가 저러면 [[매크로 코스모스]] 등으로 제외 환경이 조성되어 있으면 이 카드를 발동할 수 없게 되어버린다. 사실 나올 당시에는 마법돌의 채굴이 존재하지 않았기 때문에 딱히 하위 호환 취급 받을 일도 없고 멀쩡한 카드였으나, 갑자기 상위 호환이 등장해서 망해버린 경우에 해당된다. 그나마 마법돌의 채굴과는 달리 이쪽은 일반 판매 부스터 팩에서 나오는 카드였고 재록 팩에도 수록되는 등 좀더 오래 생산되긴 했지만, 마법돌의 채굴도 이후에 스트럭처 덱에서 2번이나 더 재판되는 바람에 별 의미가 없어지고 말았다. 마지에크 덱의 전성기 마법석 채굴이 제한이던 시절이 유일하게 이 카드가 사용되던 시기라고 보아도 무방. 해외 수출용 일러스트에서는 [[육각성]]이 [[육망성의 저주]]의 수출판 일러스트에 나와있는 문양으로 대체되었다. ||<-5> '''수록 팩 일람''' ||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국가''' || '''기타사항''' || || 闇魔界の脅威 || 305-030 || [[노멀]]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br]절판 || || [[하이 그레이드 팩|EXPERT EDITION Volume.1]] || EE1-JP245 || [[노멀]] || 일본 || 절판 || || [[암흑의 위협|Dark Crisis]] || DCR-083 || [[노멀]] || 미국 || 미국 최초 수록[br]절판 || || [[하이 그레이드 팩|Dark Revelation Volume 1]] || DR1-EN245 || [[노멀]] || 미국 || || || [[암흑의 위협|Dark Crisis]] || DCR-EN083 || [[노멀]] || 미국 || || || Legendary Collection 4: Joey's World Mega Pack || LCJW-EN101 || [[노멀]] || 미국 || || || Legendary Collection Kaiba Mega Pack || LCKC-EN045 || [[울트라 레어]] || 미국 || || || [[암흑의 위협]] || DCR-KR083 || [[노멀]] || 미국 || 한국 최초 수록 || || [[하이 그레이드 팩|하이 그레이드 팩 Vol.1]] || HGP1-KR245 || [[노멀]] || 한국 || || == 관련 카드 == === [[마법돌의 채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