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의 일반 마법 카드. == 설명 == [[파일:card100259133_1.jpg]] || 한글판 명칭 ||'''마법 제거'''|| || 일어판 명칭 ||'''[ruby(魔法除去, ruby=まほうじょきょ)]'''|| || 영어판 명칭 ||'''De-Spell'''|| ||<-2> 일반 마법 || ||<-2>①: 필드의 앞면 표시의 마법 카드 또는 세트되어 있는 마법 / 함정 카드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마법 카드를 파괴한다. (그 카드가 필드에 세트되어 있을 경우, 그 카드를 넘겨서 확인하고, 마법 카드라면 파괴한다. 함정 카드일 경우에는 원래대로 되돌린다.)|| [[스타터 덱]] 유희편부터 등장한 초고대 카드. 얼마 안 되어서 나온 [[싸이크론]]의 완전 하위호환. 사실 필드 위에 마법 카드가 엎어져있다면, 대개 뻥카 아니면 체인 가능한 속공 마법 카드인지라 이 카드의 실용적인 용도는 지속 마법에 대한 파괴 정도. 찍은 카드가 함정이면 그저 확인에 그친다. 사실 좀 느릴지언정 뭐든지 확실한 파괴가 가능한 [[더스트 토네이도]], 그나마 이 카드가 유의미하게 쓰일 수 있는 지속 마법 파괴라면 [[트위스터(유희왕)]] 선에서 이 카드의 가치는 정리된다. 잘 쓰이지 않는 카드지만 후자의 용도라면 [[마법 효과의 화살]]이 이 카드의 거의 완전한 상위호환이기도 하다. 싸클이 제한이던 시절부터 이미 이 카드가 쓰이는 일은 없었다고 봐도 무방하다. 본래 이 카드도 처음 나올 당시에는 나름대로 많이 쓰였다. 왜냐하면 이 무렵 [[필카]] 취급받던 최강의 락 카드 '''[[빛의 봉인검]]을 박살낼 수 있는 몇 안되는 카드'''였기 때문. 물론 싸클 등이 나오면서 그대로 역사 속으로 퇴장했다. [[유희왕 듀얼링크스]]에서도 은근히 자주 쓰였던 카드인데, [[앤틱 기어]] 덱에서 [[기어 타운]]을 부수려고 채용했다. 듀얼링크스에서는 쓸만한 마함 제거 카드가 죄다 SR 이상이었기 때문. 이 카드와 효과가 같은 리버스 몬스터는 [[푸른 첩자]]가 있다. 물론 이 카드도 실용성은 없다. 원작의 [[마법 해제]]를 베이스로 한 카드지만, [[유희왕 듀얼몬스터즈]]에서는 [[마자키 안즈]] vs [[쿠자크 마이]]의 듀얼 및 [[카이바 세토]] vs [[어둠의 유우기]] 2차전 듀얼 중 나오는 것으로도 등장했다. == 관련 카드 == === OCG화 된 카드 === ==== [[푸른 첩자]] ==== ==== [[함정 해제]] ==== === [[유희왕/OCG화되지 않은 카드|OCG화 되지 않은 카드]] === ==== [[마법 해제]] ==== 마법 제거의 원조격이 되는 마법 카드. [[분류:유희왕/OCG/일반 마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