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마법사의 여명기)] ||<-2>
{{{#d50080 '''{{{+1 마{{{#010101 법}}}사}}}의 {{{+1 여{{{#010101 명}}}기}}}''' (2022)[br]魔{{{#010101 法}}}使い黎{{{#010101 明}}}期[br]The {{{#010101 Dawn}}} of the {{{#010101 Witch}}}}}}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마법사의여명기_애니키비주얼2.jpg|width=100%]]}}} || ||<-2> {{{#ffffff,#dddddd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작품 정보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
'''{{{#ffffff,#dddddd 장르}}}''' ||[[판타지]] || || '''{{{#ffffff,#dddddd 원작}}}''' ||코바시리 카케루(虎走かける) || || '''{{{#ffffff,#dddddd 캐릭터 원안}}}''' ||이와사키 타카시(いわさきたかし) || || '''{{{#ffffff,#dddddd 감독}}}''' ||<|2>[[쿠와바라 사토시]] || || '''{{{#ffffff,#dddddd 시리즈 구성}}}''' || || '''{{{#ffffff,#dddddd 문예}}}''' ||코바시리 카케루[br]모리타 마유미(森田眞由美) || || '''{{{#ffffff,#dddddd 캐릭터 디자인}}}''' ||<|2>이와사키 레이나(岩崎令奈) || || '''{{{#ffffff,#dddddd 총 작화감독}}}''' || || '''{{{#ffffff,#dddddd 미술 설정}}}''' ||니시다 미노루(西田 稔) || || '''{{{#ffffff,#dddddd 미술 감독}}}''' ||사이토 마사미(斉藤雅己) || || '''{{{#ffffff,#dddddd 색채 설계}}}''' ||아부라야 유미(油谷ゆみ) || || '''{{{#ffffff,#dddddd 촬영 감수}}}''' ||[[타카하시 히로카타|T2studio]] || || '''{{{#ffffff,#dddddd 편집}}}''' ||우치다 아유무(内田 歩) || || '''{{{#ffffff,#dddddd 음향 감독}}}''' ||모토야마 사토시(本山 哲) || || '''{{{#ffffff,#dddddd 음향 제작}}}''' ||비트 그루브 프로모션 || || '''{{{#ffffff,#dddddd 음악}}}''' ||사이키 타츠히코(斎木達彦) || || '''{{{#ffffff,#dddddd 음악 제작}}}''' ||니치온(日音) || || '''{{{#ffffff,#dddddd 프로듀서}}}''' ||타나카 준이치로(田中潤一朗)^^[[TBS 테레비|TBS]]^^[br]후루카와 신(古川 慎)[br]후지노 마야(藤野麻耶)[br]오오와다 토모유키(大和田智之)[br]쿠로스 노부히코(黒須信彦)[br]카와구치 신지(川口真司)[br]나카메 타카아키(中目孝昭)[br]아이타니 아츠시(藍谷厚史) || || '''{{{#ffffff,#dddddd 애니메이션 프로듀서}}}''' ||오오사와 히로시(大澤宏志) || || '''{{{#ffffff,#dddddd 애니메이션 제작}}}''' ||[[데즈카 프로덕션]] || || '''{{{#ffffff,#dddddd 제작}}}''' ||'''{{{#d50080 마}}}{{{#010101 법}}}{{{#d50080 사}}}{{{-1 {{{#d50080 의}}}}}} {{{#d50080 여}}}{{{#010101 명}}}{{{#d50080 기}}}''' [[제작위원회]] || || '''{{{#ffffff,#dddddd 방영 기간}}}''' ||[[애니메이션/2022년 4월|2022. 04. 08.]] ~ 2022. 07. 01. || || '''{{{#ffffff,#dddddd 방송국}}}'''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TBS 테레비|TBS]] / (금) 01:58[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애니플러스]][br](월) 22:00^^LIVE^^[br](목) 00:30^^TV^^[* 1, 2화는 (목) 00:00 방영.] || || '''{{{#ffffff,#dddddd 스트리밍}}}''' ||[[애니플러스]] [[https://aniplustv.com/items/2642|▶]][br][[Laftel]] [[https://laftel.net/item/40801|▶]][br][[네이버 시리즈온]] [[https://serieson.naver.com/v2/broadcasting/496244|▶]] || || '''{{{#ffffff,#dddddd 편당 러닝타임}}}''' ||24분 || || '''{{{#ffffff,#dddddd 화수}}}''' ||12화 || || '''{{{#ffffff,#dddddd 시청 등급}}}'''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대한민국의 텔레비전 등급 제도#관련 규정|[[파일:15세 이상 시청가 아이콘.svg|width=20]] {{{#373a3c 15세 이상 시청가}}}]] {{{-2 {{{#373a3c (주제, 언어)}}}}}} || || '''{{{#ffffff,#dddddd 관련 사이트}}}''' ||[[https://www.tbs.co.jp/anime/reimeiki/|[[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reimeiki_pr)] || }}}}}}}}}}}} || [목차] [clearfix] == 개요 == 일본의 라이트 노벨 [[마법사의 여명기]]를 원작으로 하는 [[TV 애니메이션]]. 감독은 [[쿠와바라 사토시]], 방영 시기는 [[애니메이션/2022년 4월|2022년 4월]]. == 공개 정보 == === PV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9-tJZNd0stM, 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G9IE7xKZePM, width=100%)]}}} || ||<-2> '''PV 제1탄''' || '''PV 제2탄''' || ||<-2>{{{#!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EoKpsfSW4FU, 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u3883maqVtY, width=100%)]}}} || ||<-2> '''애니플러스 PV''' || '''애니플러스 PV 제2탄''' || === 키 비주얼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마법사의여명기_애니키비주얼1.jpg|width=100%]]}}} || || '''{{{#ffffff,#dddddd 키 비주얼 1탄}}}''' || == 줄거리 == >'나는 기억을 하지 못한다. 나는 대체 무엇인지.' > >마법 학교 학생 세빌은 입학하기 전의 기억이 없었다. >자신이 왜 여기 있는지도 모르는 채 보내는 학교생활은 어딘가 모르게 공허해서, >노력하는 방법도 알지 못한 채 성적은 항상 최하위였다. >그런 세빌에게 마법 학교의 학장인 알바스가 갑자기 위험한 특별 실습 이야기를 꺼냈다. > >'마녀사냥이 아직 시행되고 있는 지역에서, 마법의 유용성을 널리 알렸으면 해.' > >마녀와 교회의 전쟁이 종결된 후 수년. >세계는 아직 마녀와 마법을 완전히 받아들이지는 못했다. >때는 마법사의 여명기. > >이것은, 그 무엇도 아닌 소년이 마음속에 >상처를 간직한 동료들과 자신을 되찾는 이야기. >---- >[[https://aniplustv.com/|애니플러스]] == [[마법사의 여명기#등장인물|등장인물]]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마법사의 여명기, 앵커=등장인물)] == [[마법사의 여명기#설정|설정]]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마법사의 여명기, 앵커=설정)] == 주제가 == === OP === ||<-2>
'''{{{#d50080,#d50080 OP[br]dawn of infinity}}}'''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Zx70K2nUSrg, width=100%)]}}} || ||<-2> '''{{{#ffffff,#dddddd TV ver.}}}'''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NZ-MAzTU5zc, width=100%)]}}} || ||<-2> '''{{{#ffffff,#dddddd Full ver.}}}''' || || '''노래''' || [[fripSide]][* 난죠 요시노가 졸업 후 fripSide 3기의 첫 곡이다.] || || '''작사''' ||<|3> [[야기누마 사토시]] || || '''작곡''' || || '''편곡''' || ||<-2><^|1>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콘티''' ||<|2> [[세토 켄지(애니메이션 감독)|세토 켄지]] || || '''연출''' || || '''작화감독''' || 이와사키 레이나(岩崎令奈) || }}}}}}}}} || ||<-2> {{{#!folding 가사 ▼ ||
'''限りなく溢れる想いと''' || || 카기리나쿠 아후레루 오모이토 || || 한없이 넘치는 마음과 || || '''君と歩き出すこの場所から''' || || 키미토 아루키다스 코노 바쇼카라 || || 너와 걸어가는 이 장소에서 || || '''この瞳が導く明日を''' || || 코노 히토미가 미치비쿠 아스오 || || 이 눈동자가 이끄는 내일을 || || '''黎明の光が照らした''' || || 레이메이노 히카리가 테라시타 || || 여명의 빛이 비췄어 || || '''ひとりきり歩いてた''' || || 히토리키리 아루이테타 || || 혼자서 걸어온 || || '''あの日の記憶を探して''' || || 아노 히노 키오쿠오 사가시테 || || 그날의 기억을 찾아서 || || '''色の無いその景色を''' || || 이로노 나이 소노 케시키오 || || 빛을 잃은 그 경치를 || || '''彷徨う心を留めた光''' || || 사마요우 코코로오 토메타 히카리 || || 방황하는 마음을 세운 빛 || || '''いつからか気づいてた''' || || 이츠카라카 키즈이테타 || || 언제부턴가 깨달았어 || || '''ひとつの心は弱くて''' || || 히토츠노 코코로와 요와쿠테 || || 하나의 마음은 약하단걸 || || '''今はただ感じている''' || || 이마와 타다 칸지테이루 || || 지금은 그저 느끼고 있어 || || '''信じ合う強さを''' || || 신지아우 츠요사오 || || 서로를 믿는 강인함을 || || '''ここにいる僕を君が感じて''' || || 코코니 이루 보쿠오 키미가 칸지테 || || 여기 있는 나를 네가 느껴 || || '''それだけが全てだから''' || || 소레다케가 스베테다카라 || || 그것만이 전부니까 || || '''僕たちがそう共にあれば''' || || 보쿠타치가 소오 토모니 아레바 || || 우리가 그렇게 함께하면 || || '''誰も壊すことはできない''' || || 다레모 코와스 코토와 데키나이 || || 누구도 부수지 못해 || || '''果てしない力を纏って''' || || 하테시나이 치카라오 마톳테 || || 끝없는 힘을 받아들이고 || || '''繋ぎ合う奇跡が導いた''' || || 츠나기아우 키세키가 미치비이타 || || 서로 이어진 기적이 이끌었어 || || '''終わりの記憶も始まる光も''' || || 오와리노 키오쿠모 하지마루 히카리모 || || 끝의 기억도 시작되는 빛도 || || '''この心を燃やし続けて''' || || 코노 코코로오 모야시츠즈케테 || || 이 마음을 계속 불태워 || || '''ただひとつ貫く希望と''' || || 타다 히토츠 츠라누쿠 키보토 || || 단 하나의 꿰뚫는 희망과 || || '''僕らが解き放つその夢が''' || || 보쿠라가 토키하나츠 소노 유메가 || || 우리가 푸는 그 꿈이 || || '''夜明け前の世界を照らす''' || || 요아케 마에노 세카이오 테라스 || || 동트기 전의 세상을 비춰 || || '''黎明の絆に誓って''' || || 레이메이노 키즈나니 치캇테 || || 여명의 인연에 맹세코 || || '''穏やかなその風に''' || || 오다야카나 소노 카제니 || || 온화한 그 바람에 || || '''あの日の温もり感じて''' || || 아노 히노 누쿠모리 칸지테 || || 그날의 따스함을 느껴 || || '''立ち止まるその影には''' || || 타치토마루 소노 카게니와 || || 멈춰세운 그 그림자엔 || || '''いつかの僕が俯いている''' || || 이츠카노 보쿠가 우츠무이테이루 || || 어느 날의 내가 고개숙이고 있어 || || '''気づかずに近づいた''' || || 키즈카즈니 치카즈이타 || || 깨닫지 못한채 다가간 || || '''差し伸べられた優しさが''' || || 사시노베라레타 야사시사가 || || 손을 뻗어준 다정함이 || || '''僕たちを導いている''' || || 보쿠타치오 미치비이테이루 || || 우릴 이끌고 있어 || || '''次なる世界へと''' || || 츠기나루 세카이에토 || || 다음 세계로 || || '''結び合う心が描いて行く''' || || 무스비아우 코코로가 에가이테유쿠 || || 서로 엮인 마음이 그려가는 || || '''その痛みと喜びを''' || || 소노 이타미토 요로코비오 || || 그 아픔과 기쁨을 || || '''この胸に刻み生きていく''' || || 코노 무네니 키자미이키테이쿠 || || 이 가슴에 새기며 살아가 || || '''いつか辿り着くその日まで''' || || 이츠카 타도리츠쿠 소노 히마데 || || 언젠가 도달할 그날까지 || || '''どこまでも続くこの空に''' || || 도코마데모 츠즈쿠 코노 소라니 || || 어디까지나 이어지는 이 하늘에 || || '''遥かなる願いが羽ばたいた''' || || 하루카나루 네가이가 하바타이타 || || 아득한 염원이 날아올랐어 || || '''受け継いだ意志と重ねる想いは''' || || 우케츠이다 이시토 카사네루 오모이와 || || 이어받은 의지와 하나된 마음은 || || '''終わりなき未来へと向かう''' || || 오와리나키 미라이에토 무카우 || || 끝없는 미래로 향해 || || '''どれほどに遠く離れても''' || || 도레호도니 토오쿠 하나레테모 || || 아무리 멀리 떨어져도 || || '''僕らが築いたこの絆が''' || || 보쿠라가 키즈이타 코노 키즈나가 || || 우리가 새긴 이 인연이 || || '''一度きりの今を輝く''' || || 이치도키리노 이마오 카가야쿠 || || 한번뿐인 지금을 빛내 || || '''黎明の光になるから''' || || 레이메이노 히카리니 나루카라 || || 여명의 빛이 될테니까 || || '''限りなく溢れる想いと''' || || 카기리나쿠 아후레루 오모이토 || || 한없이 넘치는 마음과 || || '''僕は歩き出すこの場所から''' || || 보쿠와 아루키다스 코노 바쇼카라 || || 난 걸어가 이 장소에서 || || '''その瞳だけがこの心を今''' || || 소노 히토미다케가 코노 코코로오 이마 || || 그 눈동자만이 이 마음을 지금 || || '''熱く燃やす糧になるから''' || || 아츠쿠 모야스 카테니 나루카라 || || 뜨겁게 태우는 장작이 될테니까 || || '''どれほどに遠く離れても''' || || 도레호도니 토오쿠 하나레테모 || || 아무리 멀리 떨어져도 || || '''僕らが築いたこの絆が''' || || 보쿠라가 키즈이타 코노 키즈나가 || || 우리가 새긴 이 인연이 || || '''一度きりの今を輝く''' || || 이치도키리노 이마오 카가야쿠 || || 한번뿐인 지금을 빛내 || || '''黎明の光になるから''' || || 레이메이노 히카리니 나루카라 || || 여명의 빛이 될테니까 || || '''果てしない力を纏って''' || || 하테시나이 치카라오 마톳테 || || 끝없는 힘을 받아들이고 || || '''繋ぎ合う奇跡が導いた''' || || 츠나기아우 키세키가 미치비이타 || || 서로 이어진 기적이 이끌었어 || || '''終わりの記憶も始まる光も''' || || 오와리노 키오쿠모 하지마루 히카리모 || || 끝의 기억도 시작되는 빛도 || || '''この心を燃やし続けて''' || || 코노 코코로오 모야시츠즈케테 || || 이 마음을 계속 불태워 || || '''ただひとつ貫く希望と''' || || 타다 히토츠 츠라누쿠 키보토 || || 단 하나의 꿰뚫는 희망과 || || '''僕らが解き放つその夢が''' || || 보쿠라가 토키하나츠 소노 유메가 || || 우리가 푸는 그 꿈이 || || '''夜明け前の世界を照らす''' || || 요아케 마에노 세카이오 테라스 || || 동트기 전의 세상을 비춰 || || '''黎明の絆に誓って''' || || 레이메이노 키즈나니 치캇테 || || 여명의 인연에 맹세코 || || '''원어 가사 출처: ''' || }}} || === ED === ||<-2>
'''{{{#d50080,#d50080 ED[br]インプリンティング[br]각인}}}'''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H49DEQCLjuU, width=100%)]}}} || ||<-2> '''{{{#ffffff,#dddddd TV ver.}}}'''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mjHI9uYu3ZM, width=100%)]}}} || ||<-2> '''{{{#ffffff,#dddddd Full ver.}}}''' || || '''노래''' || ▽▲TRiNITY▲▽ || || '''작사''' || 코바시리 카케루(虎走かける)[* 원작자가 작사를 담당하였다.] || || '''작곡''' ||<|2> [[호리에 쇼타]] || || '''편곡''' || ||<-2><^|1>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콘티''' ||<|2> 치하라 와타루(芽原 渡) || || '''연출''' || || '''작화감독''' || 콘도 이즈미(近藤いずみ) || || '''총 작화감독''' || 이와사키 레이나(岩崎令奈) || }}}}}}}}} || ||<-2> {{{#!folding 가사 ▼ ||
'''(원어 가사)''' || || (원어 발음) || || (한국어 가사) || || '''(원어 가사)''' || || (원어 발음) || || (한국어 가사) || || '''원어 가사 출처: ''' || }}} || == 회차 목록 == ||
'''회차''' || '''제목'''[* 한국어 번역 제목은 정식 방영사인 [[애니플러스]] 방영판을 기준으로 한다.] || '''콘티''' || '''연출''' || '''작화감독''' || '''총작화감독''' || '''방영일''' || || {{{-2 제1화}}} || {{{-2 劣等生と杖の魔女[br]열등생과 지팡이의 마녀}}} ||<|7> {{{-2 [[쿠와바라 사토시]]}}} || {{{-2 우에마 유리[br](上間由梨)[br]하타 마사미[*A 액션][br](波多正美)}}} || {{{-2 송현주[br]황영식[br]홍유미[br]조원하[br]홍인수[br][[오자와 카즈노리]][*A]}}} ||<|2> {{{-2 이와사키 레이나[br](岩崎令奈)[br]우지이에 아키오[br](氏家章雄)[br]우쿨레레 젠지로[br](ウクレレ善似郎)[br]타카하시 나기사[br](たかはしなぎさ)[br]나가타 시오리[br](永田詩央里)[br]토키노 키노[br](時乃キノ)}}} || {{{-2 日: 2022.04.08.[br]韓^^LIVE^^: 2022.04.11.[br]韓^^TV^^: 2022.04.14.[br][[https://youtu.be/WZKaOIsO-ho|하이라이트]]}}} || || {{{-2 제2화}}} || {{{-2 裏切り者と呼ばないで[br]배신자라고 부르지 마}}} || {{{-2 마에조노 후미오[br](前園文夫)}}} || {{{-2 김봉덕[br]조은경[br]김현경[br]김준오[br]오자와 카즈노리[*A]}}} || {{{-2 日: 2022.04.15.[br]韓^^LIVE^^: 2022.04.18.[br]韓^^TV^^: 2022.04.21.[br][[https://youtu.be/XmnDgJvwBIk|하이라이트]]}}} || || {{{-2 제3화}}} || {{{-2 湯けむりの向こうがわ[br]수증기의 저 너머}}} || {{{-2 스즈키 마사히코[br](鈴木真彦)}}} || {{{-2 장영선[br]김봉덕[br]김진영[br]고유일[br]윤지혜[br]원은숙[br]조은경[br]비트[br](ビート)}}} || {{{-2 이와사키 레이나[br]우지이에 아키오[br]우쿨레레 젠지로[br]타카하시 나기사[br]카네코 슌타로[br](金子俊太朗)[br]나가타 시오리[br]토키노 키노}}} || {{{-2 日: 2022.04.22.[br]韓^^LIVE^^: 2022.04.25.[br]韓^^TV^^: 2022.04.28.[br][[https://youtu.be/UITS0voeQ8I|하이라이트]]}}} || || {{{-2 제4화}}} || {{{-2 僕は死ぬのは怖くない[br]난 죽는 건 무섭지 않아}}} || {{{-2 카와니시 타이지[br](川西泰二)}}} || {{{-2 윤정혜[br]김기남[br]한은미[br]김란영[br]박영희[br]김종범[br]비트[br]오자와 카즈노리[*A]}}} || {{{-2 이와사키 레이나[br]우지이에 아키오[br]우쿨레레 젠지로[br]타카하시 나기사[br]카네코 슌타로[br]나가타 시오리[br]토키노 키노[br]송현주[br]송진희}}} || {{{-2 日: 2022.04.29.[br]韓^^LIVE^^: 2022.05.02.[br]韓^^TV^^: 2022.05.05.[br][[https://youtu.be/j1b33VNNHE8|하이라이트]]}}} || || {{{-2 제5화}}} || {{{-2 ふさわしいかは自分で決める[br]적합한지는 스스로 정한다}}} || {{{-2 하타 마사미}}} || {{{-2 류취안[br](劉 泉)[br]조월[br](趙 越)[br]趙 瑩萍[br]孫 偉[br]高 璞玉[br]白 欣燁[br]羅 陽[br]房 博雅[br]비트}}} || {{{-2 이와사키 레이나[br]우지이에 아키오[br]우쿨레레 젠지로[br]타카하시 나기사[br]카네코 슌타로[br]나가타 시오리[br]토키노 키노[br]송진희[br]비트}}} || {{{-2 日: 2022.05.06.[br]韓^^LIVE^^: 2022.05.09.[br]韓^^TV^^: 2022.05.12.[br][[https://youtu.be/udi4rwqCCWU|하이라이트]]}}} || || {{{-2 제6화}}} || {{{-2 無知の知[br]무지의 지}}} || {{{-2 야마구치 이사무[br](山口 勇)}}} || {{{-2 송현주[br]박송화[br]한은미[br]김종범[br]김란영[br]홍유미[br]윤정혜[br]장길용[br]오자와 카즈노리[*A]}}} || {{{-2 이와사키 레이나[br]우지이에 아키오[br]우쿨레레 젠지로[br]타카하시 나기사[br]카네코 슌타로[br]나가타 시오리[br]비트[br]토키노 키노}}} || {{{-2 日: 2022.05.13.[br]韓^^LIVE^^: 2022.05.16.[br]韓^^TV^^: 2022.05.19.[br][[https://youtu.be/jXusHGuyPu0|하이라이트]]}}} || || {{{-2 제7화}}} || {{{-2 僕には何も救えない[br]난 아무것도 구할 수 없어}}} || {{{-2 칸자키 유지[br](神崎ユウジ)}}} || {{{-2 김봉덕[br]김진영[br]고유일[br]윤지혜[br]원은숙[br]김현경[br]오자와 카즈노리[*A]}}} || {{{-2 이와사키 레이나[br]우지이에 아키오[br]타카하시 나기사[br]카네코 슌타로[br]나가타 시오리[br]토키노 키노[br]비트}}} || {{{-2 日: 2022.05.27.[* 현지 골프 중계로 인한 1주 결방][br]韓^^LIVE^^: 2022.05.30.[br]韓^^TV^^: 2022.06.02.[br][[https://youtu.be/WiMj4WCGO_E|하이라이트]]}}} || || {{{-2 제8화}}} || {{{-2 それぞれの代償[br]각각의 대가}}} || {{{-2 한다 세이지[br](反田誠二)}}} || {{{-2 마에조노 후미오}}} || {{{-2 송현주[br]김란영[br]박영희[br]한은미[br]백연주[br]이승희[br]김성범[br]오자와 카즈노리[*A]}}} ||<|2> {{{-2 이와사키 레이나[br]우지이에 아키오[br]타카하시 나기사[br]카네코 슌타로[br]나가타 시오리[br]토키노 키노}}} || {{{-2 日: 2022.06.03.[br]韓^^LIVE^^: 2022.06.06.[br]韓^^TV^^: 2022.06.09.[br][[https://youtu.be/CC74hgFWs-8|하이라이트]]}}} || || {{{-2 제9화}}} || {{{-2 投げ込まれた石[br]던져진 돌}}} || {{{-2 치하라 와타루[br](芽原 渡)}}} || {{{-2 우에마 유리}}} || {{{-2 김봉덕[br]김진영[br]고유일[br]안영유[br]김현경[br]정연수[br]오자와 카즈노리[*A]}}} || {{{-2 日: 2022.06.10.[br]韓^^LIVE^^: 2022.06.13.[br]韓^^TV^^: 2022.06.16.}}} || || {{{-2 제10화}}} || {{{-2 おやつのじかん[br]간식 시간}}} || {{{-2 쿠와바라 사토시}}} || {{{-2 마에조노 후미오}}} || {{{-2 김란영[br]백연주[br]송현주[br]이재한[br]김은선[br]권희재[br]김보경[br]빅기덕[br]김유선[br]송진희}}} || {{{-2 이와사키 레이나[br]우지이에 아키오[br]타카하시 나기사[br]카네코 슌타로[br]나가타 시오리[br]토키노 키노[br]비트[br]송진희}}} || {{{-2 日: 2022.06.17.[br]韓^^LIVE^^: 2022.06.20.[br]韓^^TV^^: 2022.06.23.[br][[https://youtu.be/a26DpeH9SlU|하이라이트]]}}} || || {{{-2 제11화}}} || {{{-2 殺す決意[br]죽이겠다는 결의}}} || {{{-2 한다 세이지}}} || {{{-2 카와니시 타이지}}} || {{{-2 신성민[br]김봉덕[br]김현경[br]고유일[br]정진영}}} || {{{-2 이와사키 레이나[br]우지이에 아키오[br]타카하시 나기사[br]카네코 슌타로[br]나가타 시오리[br]토키노 키노[br]비트}}} || {{{-2 日: 2022.06.24.[br]韓^^LIVE^^: 2022.06.27.[br]韓^^TV^^: 2022.06.30.[br][[https://youtu.be/5PZrjTd81As|하이라이트]]}}} || || {{{-2 제12화}}} || {{{-2 冒険の幕開け[br]모험의 개막}}} || {{{-2 쿠와바라 사토시}}} || {{{-2 하타 마사미}}} || {{{-2 류취안[br]房 博雅[br]羅 陽[br]趙 瑩萍[br]조월[br]孫 偉[br]高 璞玉[br]陳 雲湄[br]송진희[br]김은선[br]이재한[br]서선영[br]윤정혜[br]박애리[br]권희재[br]黄 華[br]周 婧[br]오자와 카즈노리[*A]}}} || {{{-2 이와사키 레이나[br]우지이에 아키오[br]우쿨레레 젠지로[br]타카하시 나기사[br]카네코 슌타로[br]나가타 시오리[br]토키노 키노[br]송진희[br]비트}}} || {{{-2 日: 2022.07.01.[br]韓^^LIVE^^: 2022.07.04.[br]韓^^TV^^: 2022.07.07.[br][[https://youtu.be/h_KI52MyeLM|하이라이트]]}}} || == 평가 == === 방영 전 === [[쿠와바라 사토시]]가 감독을 맡고 [[데즈카 프로덕션]]이 제작하는 작품이어서 퀄리티에 대한 우려가 많았다. 특히 데즈카 프로덕션 특유의 뿌연 색감이 우려되었으나, 다행히도 촬영을 T2Studio가 맡게 되어 촬영 퀄리티는 양호하게 뽑힌 편이다. 허나 작화는 매수를 적게 쓴 것인지 움직임이 조금 딱딱하다는 의견이 있다. === 방영 후 === 스태프에 대한 우려와 달리 그럭저럭 양호한 퀄리티로 나왔다. 우려했던 작화는 거의 한국 측 하청사에 그로스로 맡겼음에도 [[쿠와바라 사토시]] 및 [[데즈카 프로덕션]]의 과거 작품들보다 낫다는 평가를 받고 있으며, 촬영도 [[타카하시 히로카타|T2Studio]]가 맡아 원작의 몽환적인 판타지 분위기를 살렸다. 액션도 이펙트 전문 애니메이터 [[오자와 카즈노리]]를 캐스팅하여 양호한 퀄리티로 뽑혀나와 볼 만하다는 반응이 많다. 다만 1화부터 총 작화감독이 6명이 투입되는 등 제작사 [[데즈카 프로덕션]]의 고질적인 현장 스케줄 문제가 발견되고 있어 우려의 반응도 공존했다. 종합적인 퀄리티는 쿠와바라 감독과 제작사 데즈카 프로덕션의 전작들보다는 많이 발전했지만 여전히 기복이 심해 고평가는 못하겠다는 반응이 많다. 스토리 면에서는 악평이 가득하다. [[제로에서 시작하는 마법의 서]]의 2~11권은 애니화되지 않았는데 그 이후의 이야기를 다루고 있기 때문에 내용이 이해가 되지 않는다는 반응이 많으며 이미 전작에서 굵직한 사건 및 갈등을 해결한 뒤의 이야기라 스토리가 다소 심심하다는 반응도 있다. 애니메이션 자체 스토리도 생략이 잦아 맥락 파악이 어렵다는 호소가 많다. 그리고 한국은 [[Laftel|라프텔]] 기준 3점 후반대를 기록 중, 중국 [[빌리빌리]]에서는 '''무려 2.3점이라는 엄청나게 낮은 기록을 갱신했다.'''[* 그 악평 범벅이었던 [[초인 고교생들은 이세계에서도 여유롭게 살아가나 봅니다!#애니메이션]]도 3점대를 기록했는데 이 기록을 깬 것이다.] == 기타 == * 2017년 2분기 일본 애니메이션에 방영되었던 전작 [[제로에서 시작하는 마법의 서/애니메이션|제로에서 시작하는 마법의 서]]가 있으나 약 4년전에 방영되었고 1기로 끝나면서 그 이후의 이야기는 애니로 나오지 않아 이부분에 있어서 과연 어떻게 나올지 기대와 우려가 되는 부분이다.[* [[알바 뛰는 마왕님!!]]처럼 오랜 기간 후에 애니 제작하거나 재조명되어 리부트하는 식으로 몇몇 작품들이 애니화되었으나 어디까지나 결정된 경우에만 해당되는 경우이고 현재로는 따로 기약없이 [[제로에서 시작하는 마법의 서]] (애니화는 1권 분량)에서 원작 2권~11권을 건너뛰고 [[마법사의 여명기]]순으로 시청자들이 보게 될 것이다.] 이후 전작의 등장인물이지만 애니화된 내용에선 등장하지 않았던 신부의 캐스팅이 공개되었다. 참고로 전작에 등장했던 인물들 중 용병의 성우를 비롯, 몇 캐릭터들의 캐스팅이 변경되어 있다[* 11화에서 전작의 캐릭터 몇 명이 나오는 것이 확인됨.]. [각주] [[분류:일본 애니메이션/목록]][[분류:2022년 2분기 일본 애니메이션]][[분류:라이트 노벨 원작 애니메이션]][[분류:데즈카 프로덕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