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마법선생 네기마!)] [목차] == 개요 == 일본의 만화 [[마법선생 네기마!]]를 원작으로 하는 애니메이션 시리즈. TV 애니메이션의 경우 2개의 시리즈가 각기 다른 제작사에서 제작되어 편의상 [[XEBEC]]의 2005년작을 1기, [[샤프트(기업)|샤프트]]의 2006년작을 2기, [[J.C.STAFF]]의 2017년작을 3기로 구분한다. 2기 이후의 OVA나 극장판도 샤프트에서 제작하였다. 전성기의 인기에 비해 애니화 복은 안좋은 것을 넘어 처참한 수준이다. 그나마 멀쩡한 애니화가 후속작인 유큐 홀더의 애니화일 지경. == TVA 1기: 마법선생 네기마! == ||<-2>
{{{#373a3c,#dddddd '''{{{+1 마법선생 네기마!}}}''' (2005)[br]魔法先生ネギま!}}}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attachment/Magical_Teacher_Negima_Anime.jpg|width=100%]]}}} || ||<-2> {{{#373a3c,#dddddd {{{#!wiki style="margin: 0px -11px" {{{#!folding 작품 정보 ▼ ||
'''{{{#373a3c,#dddddd 원작}}}''' ||[[아카마츠 켄]] || || '''{{{#373a3c,#dddddd 감독}}}''' ||미야자키 나기사(宮崎なぎさ) ,,(1~13화),, || || '''{{{#373a3c,#dddddd 애니메이션 디렉터}}}''' ||[[하바라 노부요시]] ,,(14~26화),,[* 18화부터는 '치프 디렉터'로 표기된다.] || || '''{{{#373a3c,#dddddd 시리즈 구성}}}''' ||[[오코우치 이치로]] || || '''{{{#373a3c,#dddddd 구성 협력}}}''' ||[[니시키오리 히로시]] || || '''{{{#373a3c,#dddddd 캐릭터 디자인}}}''' ||카토 하츠에(加藤はつえ) || || '''{{{#373a3c,#dddddd 미술 감독}}}''' ||운노 요시미(海野よしみ) || || '''{{{#373a3c,#dddddd 색채 설계}}}''' ||코바야시 미요코(こばやしみよこ) || || '''{{{#373a3c,#dddddd 촬영 감독}}}''' ||히로세 카츠노리(広瀬勝利) || || '''{{{#373a3c,#dddddd 편집}}}''' ||나가사카 토모키(長坂智樹) || || '''{{{#373a3c,#dddddd 음향 감독}}}''' ||[[츠루오카 요타]] || || '''{{{#373a3c,#dddddd 음악}}}''' ||미츠무네 신키치(光宗信吉) || || '''{{{#373a3c,#dddddd 애니메이션 제작}}}''' ||[[XEBEC|[[파일:XEBEC 로고.svg|width=80]]]] || || '''{{{#373a3c,#dddddd 제작}}}''' ||관동마법협회(関東魔法協会) || || '''{{{#373a3c,#dddddd 방영 기간}}}''' ||[[애니메이션/2005년 1월|2005. 01. 06.]] ~ 2005. 06. 30. || || '''{{{#373a3c,#dddddd 방송국}}}'''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TV 도쿄]] / (목) 01:00[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XTM]] / 매일 08:00(2회 연속방송) || || '''{{{#373a3c,#dddddd 편당 러닝타임}}}''' ||24분 || || '''{{{#373a3c,#dddddd 화수}}}''' ||26화 || || '''{{{#373a3c,#dddddd 국내 심의 등급}}}''' ||[[대한민국의 텔레비전 등급 제도#관련 규정|[[파일:12세 이상 시청가 아이콘.svg|width=20]] {{{#ffffff 12세 이상 시청가}}}]] || || '''{{{#373a3c,#dddddd 관련 사이트}}}''' ||[[http://king-cr.jp/special/negima/index.html|[[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 }}}}}}}}} || [[애니메이션/2005년 1월|2005년 1월]]부터 6월까지 [[TV 애니메이션]]으로 방영되었다. 제작은 [[XEBEC]]. XEBEC에서 [[러브히나]]로 한탕 크게 해 먹은 적이 있기에 네기마로 다시 크게 벌고 여기서 번 돈으로 [[우주의 스텔비아]] 2기와 [[기동전함 나데시코]] 2기를 만든다는 소문까지 돌 정도였는데…'''현실은 시궁창. 작화가 너무 후져서 묻혔다.''' 오히려 스텔비아 2기와 나데시코 2기 제작이 전부 중단되는 등 제작사 측에서 온갖 욕을 들어먹게 된 계기가 된 작품이었다. 감독은 [[다카포]]의 애니메이션을 담당한 미야자기 나기사였으나 13화 이후로 하차하여, 애니메이션 중반부는 불안정하다. 특히 17화는 '''나쁜 의미로 전설.''' [[리즈시절]]의 [[일본 애니메이션 갤러리]]의 [[간지]]짤에 들어가려다 17화 전체가 [[작붕]] 투성이라 못 들어간 전설이 있다. 마지막에는 오리지널 스토리로 가는 등 전체로 보자면 그렇게 나쁜 것만은 아니지만, 기존에 비해 시청자들이 작화에 대해 엄격해진 [[2005년]] 기준에선 너무나도 눈에 거슬린다는 평이 대부분. 애초에 오프닝에서 작붕이 나왔다는 점에서 이미 운명이 정해진 셈.[* 심지어는 원작자인 [[아카마츠 켄]]마저도 홈페이지에 '''"이건 좀…"''' 뉘앙스의 식의 반응을 보였을 정도다.] 얼마나 성대하게 망했던지 타이밍이 딱 들어맞게 프로젝트가 폐기된 나데시코 2기나 스텔비아 2기가 네기마 애니화의 실패로 인한 적자로 망했다는 설이 유력하게 부각될 정도였다.[* 스텔비아 2기의 경우는 [[다이도우지 카렌|설정집과 홍보용 포스터까지 나온 상황이었고]], 나데시코 2기의 경우는 애초에 [[극장판]]인 [[기동전함 나데시코 -The Prince of Darkness-]]와 거의 동시에 프로젝트가 진행되고 있었다. 일단 XEBEC 측에서는 루머라면서 전면 부인하고 있지만, 시기가 시기인데다 이후 [[투 러브 트러블]]과 [[카노콘]]으로 한숨 돌린 다음에도 재발동 계획이 없는 걸 보면 [[극장판 기동전사 건담 SEED]]처럼 '''불미스런 일에 엮여 사실상 재개가 불가능해진 [[흑역사]]'''이지 않겠느냐는 추측이 공공연하게 나돌고 있다.] 에피소드들 자체도 이상한 연출과 싸구려 작화로 인해 전개가 지지부진하단 평들도 많았다. 특히나 당시의 팬들은 "도대체 수학여행 언제 가느냐."란 여론과 반발이 매우 심했다. 결국 애니는 나름의 오리지널 엔딩으로 끝을 맺었다. 의외로 26편중 제대로 된게 반도 안된다지만 오리지널 에피소드인 사요의 개인 에피소드 19화는 원작과도 녹아들면서 원작에는 드물었던 잔잔한 여운이 있는 감동적인 에피소드로 팬들에게 "하면 이렇게 할 수 있잖아."란 인식을 주기도 했다. 이렇게 작화가 나쁘다 보니 비싼 성우진 때문 아니냐는 이야기가 나오기도 했다. 전체적인 제작비에서 성우들에게 들어가는 돈이 많아서 다른 곳에 들어갈 돈이 적어진 거 아니냐는 설. 허나 캐스팅 된 성우들 중 '비싼' 성우들은 등장 횟수가 적은 편이며[* 일본 성우들의 회당 출연료는 전체 대사량과 해당 성우의 랭크에 비례한다. 쉽게 이야기해서 발언횟수와 유명세를 적당히 곱한다는 이야기.] 주연급 학생들의 성우는 '비교적 싼' 성우들이 많았다.[* 실제로 네기마가 데뷔작인 유명 성우들이 꽤 있다.] 정확한 액수는 공개되지 않았지만, 대략 견적을 뽑아 본 [[2ch]]의 [[잉여]]력 충만한 사람들의 말에 따르면 출연료가 작화를 좌지우지할 정도는 아니었다는 모양. 다만 원작 자체도 책보다 관련 상품으로 승부하는 작품이기도 하고 해서 음반과 영상 매체 판매에서는 호조를 기록, 이름값은 했다. 결국 최후의 승자는 아카마츠 켄과 스타차일드 뿐인 듯. TVA 오프닝 테마인 '해피 메테리얼'의 경우 오리콘 차트 3위까지 올라간 경력이 있다. 다만 이 과정에서 2ch를 통해 세를 모은 덕후들이 조직적으로 대량구매하는 일(사실상 매상 조작)이 있어 구설에 오르기도 했다. 워낙 작화가 안 좋아서 [[아다치 신고]]가 담당한 에피소드만 작화가 정상이라 여러가지 의미로 주목을 받았고 구세주라 불리기도 했다. 하지만 다른 사람이 맡으면 귀신같이 작붕. 국내에서는 [[XTM]]에서 겨울방학 특집이라는 타이틀을 달고 2007년 1월 자막 방영했다. === 주제가 === * 오프닝 : [[ハッピー☆マテリアル]](해피☆머티어리얼) 24화를 제외한 모든 화에 쓰였다. 월마다 노래부르는 성우가 달라진다. 영상은 1화 오프닝. 2020년에 사토 리나 와 칸다 아케미가 불렸다.[[https://youtu.be/jnj2zAZ0z-c|#]] 후속작인 [[UQ HOLDER!#s-5.1.2]]에서도 그대로 OP로 사용된다. [youtube(lm0P_i1sQfE)] [youtube(ah82x_AKgdE)] * 1쿨 엔딩 : 輝く君へ(빛나는 너에게) [youtube(n5F9dMLKGRg)] === 회차 목록 === * 전화 각본: [[오코우치 이치로]] ||
'''회차''' || '''제목''' || '''콘티''' || '''연출''' || '''작화감독''' || '''방영일''' || || {{{-2 제1화}}} || {{{-2 Ⅰ時間目[br]1시간 째[br]Asinus in cathedra}}} || {{{-2 미야자키 나기사[br](宮崎なぎさ)}}} || {{{-2 나카츠 타마키[br](中津 環)}}} || {{{-2 [[모토하시 히데유키]]}}} || {{{-2 日: 2005.01.06.[br]韓: 2007.01.08.}}} || || {{{-2 제2화}}} || {{{-2 Ⅱ時間目[br]2시간 째[br]Omne initium est difficile}}} || {{{-2 [[이와사키 요시아키]]}}} || {{{-2 이시쿠라 케이이치[br](石倉敬一)}}} || {{{-2 콘 후미코[br](昆 富美子)}}} || {{{-2 日: 2005.01.13.[br]韓: 2007.01.08.}}} || || {{{-2 제3화}}} || {{{-2 Ⅲ時間目[br]3시간 째[br]Amantes, amentes}}} ||<-2> {{{-2 엔도 테츠야[br](えんどうてつや)}}} || {{{-2 야마모토 사와코[br](山本佐和子)}}} || {{{-2 日: 2005.01.20.[br]韓: 2007.01.09.}}} || || {{{-2 제4화}}} || {{{-2 Ⅳ時間目[br]4시간 째[br]Nullus est instar domus}}} || {{{-2 [[이와모토 야스오]]}}} || {{{-2 칸바라 토시아키[br](神原敏昭)}}} || {{{-2 쿠보 사토시[br](窪 敏)}}} || {{{-2 日: 2005.01.27.[br]韓: 2007.01.09.}}} || || {{{-2 제5화}}} || {{{-2 Ⅴ時間目[br]5시간 째[br]Fama volat}}} || {{{-2 [[사쿠라이 히로아키]]}}} || {{{-2 야마모토 타카시[br](山本天志)}}} || {{{-2 이베 유키코[br](伊部由紀子)}}} || {{{-2 日: 2005.02.03.[br]韓: 2007.01.10.}}} || || {{{-2 제6화}}} || {{{-2 Ⅵ時間目[br]6시간 째[br]A fronte praecipitium a tergo lupi}}} || {{{-2 나카츠 타마키}}} || {{{-2 마츠모토 요시히사[br](まつもとよしひさ)}}} || {{{-2 콘 후미코}}} || {{{-2 日: 2005.02.10.[br]韓: 2007.01.10.}}} || || {{{-2 제7화}}} || {{{-2 Ⅶ時間目[br]7시간 째[br]Fallaces sunt rerum species}}} ||<-2> {{{-2 엔도 테츠야}}} || {{{-2 모토하시 히데유키}}} || {{{-2 日: 2005.02.17.[br]韓: 2007.01.11.}}} || || {{{-2 제8화}}} || {{{-2 Ⅷ時間目[br]8시간 째[br]Omnes una manet nox}}} || {{{-2 이와모토 야스오}}} || {{{-2 [[하바라 노부요시]]}}} || {{{-2 [[핫토리 켄지]][br]카토 마사유키[br](加藤雅之)[br]콘 후미코}}} || {{{-2 日: 2005.02.24.[br]韓: 2007.01.11.}}} || || {{{-2 제9화}}} || {{{-2 Ⅸ時間目[br]9시간 째[br]Te capiam, cunicule sceleste!}}} ||<-2> {{{-2 에노모토 아키히로[br](榎本明広)}}} || {{{-2 [[타카하시 아키라]]}}} || {{{-2 日: 2005.03.03.[br]韓: 2007.01.12.}}} || || {{{-2 제10화}}} || {{{-2 Ⅹ時間目[br]10시간 째[br]Ubi concordia, ibi victoria}}} || {{{-2 미야자키 나기사}}} || {{{-2 草野星}}} || {{{-2 야마모토 사와코}}} || {{{-2 日: 2005.03.10.[br]韓: 2007.01.12.}}} || || {{{-2 제11화}}} || {{{-2 XI時間目[br]11시간 째[br]Cum tacent clamant}}} || {{{-2 엔도 테츠야}}} || {{{-2 우라타 야스노리[br](浦田保則)}}} || {{{-2 市谷志克}}} || {{{-2 日: 2005.03.17.[br]韓: 2007.01.13.}}} || || {{{-2 제12화}}} || {{{-2 XII時間目[br]12시간 째[br]Aut disce aut discede}}} || {{{-2 코사카 하루메[br](小坂春女)}}} || {{{-2 야마모토 타카시}}} || {{{-2 이베 유키코}}} || {{{-2 日: 2005.03.24.[br]韓: 2007.01.13.}}} || || {{{-2 제13화}}} || {{{-2 XIII時間目[br]13시간 째[br]Tamdiu discendum est, quamdiu vivas}}} ||<-2> {{{-2 마츠모토 요시히사}}} || {{{-2 [[타카미 아키오]]}}} || {{{-2 日: 2005.03.31.[br]韓: 2007.01.14.}}} || || {{{-2 제14화}}} || {{{-2 XIV時間目[br]14시간 째[br]Amicitiae nostrae memoriam spero sempiternam fore}}} ||<-2> {{{-2 나카츠 타마키}}} || {{{-2 코가 마코토[br](古田 誠)[br]모토하시 히데유키}}} || {{{-2 日: 2005.04.07.[br]韓: 2007.01.14.}}} || || {{{-2 제15화}}} || {{{-2 XV時間目[br]15시간 째[br]Amicus certus in re incerta cernitur}}} || {{{-2 엔도 테츠야}}} || {{{-2 우라타 야스노리}}} || {{{-2 [[아다치 신고]]}}} || {{{-2 日: 2005.04.14.[br]韓: 2007.01.15.}}} || || {{{-2 제16화}}} || {{{-2 XVI時間目[br]16시간 째[br]Amor tussisque non celantur}}} ||<-2> {{{-2 엔도 테츠야}}} || {{{-2 야마모토 사와코}}} || {{{-2 日: 2005.04.21.[br]韓: 2007.01.15.}}} || || {{{-2 제17화}}} || {{{-2 XVII時間目[br]17시간 째[br]Nihil difficile amanti}}} ||<-2> {{{-2 에노모토 아키히로}}} || {{{-2 타카하시 아키라}}} || {{{-2 日: 2005.04.28.[br]韓: 2007.01.16.}}} || || {{{-2 제18화}}} || {{{-2 XVIII時間目[br]18시간 째[br]Amor ordinem nescit}}} || {{{-2 코사카 하루메}}} || {{{-2 우라타 야스노리}}} || {{{-2 카토 하츠에[br](加藤はつえ)}}} || {{{-2 日: 2005.05.05.[br]韓: 2007.01.16.}}} || || {{{-2 제19화}}} || {{{-2 XIX時間目[br]19시간 째[br]Verba volant, scripta manent}}} || {{{-2 이와모토 야스오}}} || {{{-2 손승희[br](孫承希)}}} || {{{-2 타카미 아키오}}} || {{{-2 日: 2005.05.12.[br]韓: 2007.01.17.}}} || || {{{-2 제20화}}} || {{{-2 XX時間目[br]20시간 째[br]Nisi credideritis, non intelligetis}}} || {{{-2 마츠모토 요시히사}}} || {{{-2 쿠리하라 히바리[br](栗原ひばり)}}} || {{{-2 카토 마사유키[br]타케야 쿄코[br](竹谷今日子)}}} || {{{-2 日: 2005.05.19.[br]韓: 2007.01.17.}}} || || {{{-2 제21화}}} || {{{-2 XXI時間目[br]21시간 째[br]Nil desperandum!}}} || {{{-2 야마모토 고[* 야마모토 타카시(山本天志)의 필명.][br](山本 郷)}}} || {{{-2 야마모토 타카시}}} || {{{-2 이베 유키코}}} || {{{-2 日: 2005.05.26.[br]韓: 2007.01.18.}}} || || {{{-2 제22화}}} || {{{-2 XXII時間目[br]22시간 째[br]Difficile est tristi fingere mente jocum}}} || {{{-2 코사카 하루메}}} || {{{-2 우라타 야스노리}}} || {{{-2 아다치 신고}}} || {{{-2 日: 2005.06.02.[br]韓: 2007.01.18.}}} || || {{{-2 제23화}}} || {{{-2 XXIII時間目[br]23시간 째[br]Memento mori}}} || {{{-2 하바라 노부요시}}} || {{{-2 손승희}}} || {{{-2 야마모토 사와코}}} || {{{-2 日: 2005.06.09.[br]韓: 2007.01.19.}}} || || {{{-2 제24화}}} || {{{-2 XXIV時間目[br]24시간 째[br]Et arma et verba vulnerant}}} ||<-2> {{{-2 엔도 테츠야}}} || {{{-2 타카미 아키오}}} || {{{-2 日: 2005.06.16.[br]韓: 2007.01.19.}}} || || {{{-2 제25화}}} || {{{-2 XXV時間目[br]25시간 째[br]Mors certa, hora incerta}}} ||<-2> {{{-2 에노모토 아키히로}}} || {{{-2 타카하시 아키라}}} || {{{-2 日: 2005.06.23.[br]韓: 2007.01.20.}}} || || {{{-2 제26화}}} || {{{-2 XXVI時間目[br]26시간 째[br]Non mihi, non tibi, sed nobis}}} ||<-2> {{{-2 하바라 노부요시}}} || {{{-2 카토 하츠에[br]아다치 신고}}} || {{{-2 日: 2005.06.30.[br]韓: 2007.01.20.}}} || == TVA 2기: [[네기마!?|네기마!?]]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네기마!?)] [[2006년]] 방영. 제작사가 [[샤프트(기업)|샤프트]]로 변경되었고 내용도 1기에서 이어지는 것이 아니라 원작의 설정을 바탕으로 한 오리지널 전개를 표방하였다. == OVA == [[샤프트]]에서 《마법선생 네기마 ~하얀 날개 ALA ALBA~》라는 이름의 [[OVA]]를 제작하였다. 샤프트에서 제작하긴 했지만, [[네기마!?]]의 후속작의 느낌이 아니라 원작에서 19권(정확히 말하자면 [[차오 린센]]과의 결전 이후)의 이야기를 OVA로 만들었다. 원작과 비슷한 작화[* 캐릭터 디자인이 [[아카마츠 켄]]인 건 아니다.]를 지니고 있다. == OAD == 마찬가지로 샤프트의 작품이며 OVA때보다 더더욱 원작과 작화가 비슷해졌다. 현재 마법세계편 스토리의 중간 중간의 스토리가 이것으로 나왔으며, 작화나 퀄리티가 좋기에 OAD작화로 TVA판을 다시 만들라는 의견도 있다. == 극장판 == [[2011년]] [[8월 27일]] 개봉. [[하야테처럼!/애니메이션|하야테처럼!]]의 극장판과 동시 상영되었다. 완전한 세계와의 최종전의 이야기로 만들어질 모양, 더불어 335교시 마지막에 언급 된 애기에 따르면 ||여기부터의 '네기마!'는 본편과 영화로 스토리가 분기! (8월) 27일(토)에 공개되는 '''극장판, 마법선생 네기마! ANIME FINAL'''에서는 아카마츠 선생의 '''엔딩B막'''을 가지고 만들어진 스토리를 즐길 수 있다!!|| 라고 한다. 본편을 본다고 극장판을 안 보려는 사람들에게 아카마츠 선생의 '''극장판을 꼭 보라는 메세지'''라고 할 수 있을지도 모르겠다. PV 2탄으로 나온 예고편에 의하면 네기는 드디어 '''본계약자''' 한명을 정해야 한다는데, 극장판은 일종의 '''멀티 엔딩'''으로서 본편과 극장판이 분기되는 멀티 엔딩이라고 하니 본편에서는 어찌 될지 알 수 없다. 원래는 원작 스토리인 마법세계전을 애니화시켰던 모양인데. 다시 제작했다는 것이 사실인 듯 보인다. 만화판을 보다가 내용을 보게 될 경우 만화판이 확실히 좋다는 생각이 들 것이다. 하렘엔딩. 여담이지만 페이트는 마법세계 최종결전 이후 소멸했다는 설정이라 등장을 안 한다. 이시다 아키라의 대사가 고작 딱 2개밖에 안 된다는건 도대체…… 가장 중요한 설정오류는 다름아닌 '''위대한 대마법사(마기스텔 마기)'''. 마기스텔 마기(Magistel Magi)는 단순한 칭호에 지나지 않는데, 작중에서는 '''그렇지, 마기스텔 마기의 마력이라면!'''이라는 대사가 나온다. 마기스텔 마기가 되면 마력이 증폭된다는 듣도 보도 못한 발상. 게다가 마기스텔 마기가 되기 위해서는 2가지 방법(1. 메갈로메센브리아 원로원에서 인정받는다, 2. 모든 사람들에게 인정받는 훌륭한 마법사가 된다)이 있는데, 여기서는 '''본계약을 하면''' 된다는 터무니없는 설정오류가 발생했다. == TVA 3기: [[유큐 홀더! 마법선생 네기마! 2]]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유큐 홀더! 마법선생 네기마! 2)]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마법선생 네기마!, version=325)] [[분류:마법선생 네기마!]][[분류:일본 애니메이션/목록]][[분류:2005년 1분기 일본 애니메이션]][[분류:2005년 2분기 일본 애니메이션]][[분류:일본 만화 원작 애니메이션]][[분류:아라카와 나루히사]][[분류:러브 코미디 애니메이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