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폐선)] * [[철도 노선 정보/대한민국]] {{{+1 馬山港第一埠頭線 }}} [목차] == 개요 == [[파일:attachment/마산항제1부두선/4.gif]] [[경전선]] [[마산역]]에서 [[마산항]]을 잇는 총연장 8.6km의 철도노선. 흔히 '''임항선'''이라고 하면 대개 이 노선을 가리킨다. [[1905년]] 마산선의 일부로 개통된 이후, [[1977년]]에 경전선 마산시내 구간 정비사업이 끝나기 전까지는 '''임항선이 경전선 본선이었다.''' 지금은 경전선이 옛 [[마산]]시 외곽을 통과하지만, 1977년까지는 [[스위치백]] 비스무리한 형태로 운행되었는데, 열차가 마산시내를 통과해 옛 마산역에 도착하면, 기관차 방향을 전환하여 마산시내를 빠져나가는 형태로 운행하는 식이었고, 덕분에 운행시간이 상당했다. 게다가 마산선은 부림시장, 경남선은 성호초등학교 뒤쪽이라는 옛 마산의 도심지역을 그대로 관통했기 때문에 교통, 소음, 매연[* 이 당시는 증기기관차가 운행 중에 있었는데다 하필 [[철도의 구배|상구배]] 구간이라 출력을 풀파워로 올려서 이 구간을 지나간 후 구마산역 혹은 북마산역에 진입하여 다시 제동을 거는 구조였다. 당연히 매연이 쩔어주게 나오는데 그걸 도심 한가운데에서 풀풀 날리고 있었다는 소리.][* 증기기관차에 대한 이해가 있는 사람이라면 알겠지만 현대의 디젤전기기관차나 전기동차 등과는 달리 증기기관차는 애초에 급발진/급제동이 힘들며 특히 상구배를 올라가다가 출력이 딸리면 내려갔다가 다시 올라오거나 아니면 '''승객이 내려서 기차를 밀어야'''하는 수가 생긴다. 이 문제는 디젤화가 되기 전까지 철도청을 괴롭힌 난제였으며, 특히 경원선의 경우 의정부역부터 신고산 고개 넘어갈 때까지 계속 상구배라서 전곡, 연천 등에서 기관사가 이악물고 보일러에 불을 때려넣는 등의 노하우가 필요했다고 한다.] 등의 문제가 따라왔다. [[마산역]] 문서의 역사 부분 참조. [[파일:attachment/마산항제1부두선/19.gif]] 바로 아래 사진이 바로 옛 마산역 구내에 해당하는 부분. 터돋움으로 높게 지은 새 아파트가 바로 옛 마산역사 부지이며, 경작지 때문에 안 보이지만 우측으로도 선로가 하나 더 있다. 나머지 선로는 해안도로 확장과 함께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파일:attachment/마산항제1부두선/84.jpg]] 결국 [[대한민국 철도청]]이 마산 시내 구간 이설을 결정하고, 1977년 현 마산역 자리에 통합역사를 새로 지으면서 [[3.15대로|구마산~옛 마산역 구간 주변 철로]]를 완전히 걷어내고 [[마산항]] ~ 교원 구간은 그대로 남겨둔채 함안제2가도교를 통해 [[마산역|마산]] ~ [[중리역|중리]] 구간을 연결하는 것으로 정비를 마친다. 이걸로 경전선이 대략 '''10km''' 짧아졌다. [[파일:attachment/마산항제1부두선/a3.jpg]] 옛 마산역과 마산항(제1부두) 사이 분기기. 이 또한 [[해안대로]]를 대각선으로 가로지르기에 화물열차가 여길 통과할 때 대략 [[서빙고역]] 미군기지에 화물열차가 드나들 때 [[http://cfile5.uf.tistory.com/original/18125F264C8241C608D263|같은 사태]]가 벌어진다. 이후 화물열차가 자주 다녔으나[* 특히 현대로템의 수출행 갑종회송 루트로 자주 쓰였다.] 마산시의 급속한 도시화[* 9km 남짓한 구간에 [[건널목]]만 9개. 거기에 대놓고 선로 위에서 시장이 열린다.]와 철도교통의 쇠락이 맞물려 거의 좀비 상태. 그러나 열차가 간간이 다니긴 했다. 특히 1990년대 중반 인근 교방초등학교 어린이의 사상사고로 인해[* 이 때문에 마산시 근방의 초등학교에서는 신체가 절단된 피해 어린이를 돕기 위해 모금이 벌어지기도 했다.] 폐선 요구가 점차 높아지게 되었고 결국 [[http://www.mltm.go.kr/USR/BORD0201/m_69/DTL.jsp?mode=view&idx=156894|2012년 1월 26일]]부로 [[폐선]]. 옛 [[진해선]] 철로(용원-상남 구간)처럼 [[창원시]]에서 공원화했으며 [[해안대로]] 구간은 시범 구간으로 선정되어 폐선 고시 이전에 이미 공원화 되었다. 해안대로 구간은 임항선 선로 양 옆으로 보도를 깔아서 선로를 보존시켜 두었으며 철도교는 보행자용 통로를 따로 마련했고 나머지 구간은 그냥 선로 위에 흙을 뿌렸다. 조성 구간은 경전선 접속부를 제외한 전 구간인 석전사거리부터 마산항까지이며 나머지 경전선 접속부에 해당하는 마산역 ~ 석전사거리 구간은 한동안 끊어진 채 흉물로 방치되어오다가 2013년 8월 말부터 구 경전선 구간과 함께 철거 마무리 작업[* 2012년 3월 신선 이전 당시에는 양측의 토성만 제거했었고 교각은 방치해둔 상태였다.]이 실시되어 2013년 9월 12일 새벽 5시에 마지막 작업인 [[북성로(창원)|북성로]] 선상 교각이 모두 걷히는 것을 끝으로 철거작업이 완료되었다. 그나저나 [[국가철도공단|한국철도시설공단]]에서 창원시에게 철도부지 임대료를 내거나 매입하라는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82&aid=0000336892|통보]]를 했다. 원래라면 2012년까지는 무상임대하기로 했으나 법 개정으로 어렵다고. * 사실 교원역이라고 하면 마산사람 중 99%는 못 알아듣는다. 삼역통합 이전에 이 곳에 있던 역 이름은 교원역이 아니라 '''북마산역'''이었기 때문. 그래서 북마산역, 구마산역 하면 50대 이상 분들은 어렴풋이 기억하지만 교원역은 알아듣는 사람이 한 명도 없다. ~~알아들으면 철덕이다~~ * 마산항제1부두선 [[http://firewdip.tistory.com/category/?page=9|출사기.]] 2014년 상반기에는 회원동의 시장통 일부 구간에만 철로가 남아있고 나머지 구간은 모두 산책길로 탈바꿈했다. 이로서 옛 경전선의 흔적은 거의 다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전부가 아니라 거의라고 하는 건 상술하다시피 회원동 교방시장은 철로 위에 좌판을 덕지덕지 깔아놔서 철로를 걷어내지도 못하기 때문에... 산책로는 선로를 걷지 않고 그 위에 우레탄을 입혀 보행용 레인으로 만들어놓았고, 3.15 의거탑 근처 철교는 선로 위에 보행용 철판을 깔아서 선로가 보존되어 있다. 또한 옛 마산항 구간에도 2개 선로가 보존되어 있고 그 옆은 공원으로 꾸며놓았다. 위 사진에 나온 분기기 포인트도 그대로 보존~~이라고 쓰고 방치라고 읽는다~~되어 있는 중. 옛 마산지역 시내구간을 관통하는 구간인지라 동네 주민의 산책이나 운동 코스로 활용되고 있다. == 마산항 제1부두선 역 목록 == |||||||| 일러두기 (여객·화물취급) || ||K ||KTX 필수정차역 ||k ||KTX 선택정차역 || ||S ||새마을호 필수정차역 ||s ||새마을호 선택정차역 || ||M ||무궁화호·누리로 필수정차역 ||m ||무궁화호·누리로 선택정차역 || ||C ||통근열차 정차역 ||B ||바다열차 정차역 || ||B ||화물취급역 ||─ ||여객·화물 미취급역 || |||||||| 일러두기 (역 등급) || ||⊙ ||그룹대표역 ||○ ||보통역 || ||● ||배치간이역 ||◑ ||무배치간이역 || ||◎ ||임시승강장 ||◇ ||을종승차권발매소 || ||‡ ||신호장 ||† ||신호소 || ※ 폐역은 현재 선로상에서 폐지된 것만 기재하며, 키로수와 영업현황은 기재하지 않음. || ㎞ |||| 역명 || 여객 || 화물 || 등급 || 분기선 || 소재지 || ||0.0 ||[[마산역|마 산]] ||馬 山 ||MSK ||─ ||⊙ ||경전선 ||<|4><#c0c0c0>경남 창원시 || ||{{{#c0c0c0 3.2}}} ||[[교원역|{{{#c0c0c0 교 원}}}]] ||{{{#c0c0c0 校 原}}} || || || || || || ||[[신마산역|{{{#c0c0c0 신마산}}}]] ||{{{#c0c0c0 新馬山}}} || || || || || ||8.6 ||[[마산항역|{{{#c0c0c0 마산항}}}]] ||馬山港 ||─ ||B ||○ || || [[분류:경전선(폐지된 구간)]][[분류:대한민국의 폐지된 철도 노선]][[분류:1905년 개업한 철도 노선]][[분류:2012년 폐지된 철도 노선]][[분류:마산항제1부두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