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현대전/일본 함선)] ||
[[파일:EDc404HUwAAPuzl.jpg|width=100%]] || || [[파일:ETe5NXPWoAANlDk.jpg|width=100%]] || || {{{#white '''まや型護衛艦'''}}} || [목차] [clearfix] == 개요 == [[해상자위대]]의 [[이지스 시스템|이지스]] [[구축함]]. 2017년부터 건조를 시작해 총 2척이 건조되어 [[하타카제급 구축함|하타카제급]] 방공 구축함을 대체했다. 세간에는 아타고급 개량형 등으로 알려져있으며, 일본 측에서는 아타고 '''플러스'''급으로도 불리기도 했다. 레이더는 기존 [[아타고급 구축함|아타고급]]이나 [[대한민국 해군]]의 [[세종대왕급 구축함|세종대왕급]]과 동일한 [[AN/SPY-1]](V)를 사용할 예정이지만, AN/SQQ-89(V)15 소나 시스템 및 AN/SPQ-9B 레이더를 탑재하고, Baseline 9.C2와 BMD 5.1, CEC 등 최신 전투체계를 적용하고 있기 때문에 미국 이외의 국가들이 운용하는 이지스함 중에서 미 해군의 [[알레이 버크급 구축함|알레이 버크급]] 플라이트 IIA Restart 최후기형에 가장 근접하는 성능을 발휘할 것으로 보인다. 기존 아타고급 건조사인 [[미쓰비시 그룹|미쓰비시]] 중공업이 아닌 [[IHI|재팬 마린 유나이티드]](JMU) 요코하마(이소고) 조선소가 2척을 모두 수주 받았으며, 1번함 가격은 1,680억엔, 2번함은 1,734억엔이다. == 제원 == ||||||||<:> '''{{{#FFFFFF {{{+1 마야급 호위함}}}[br]まや型護衛艦}}}''' || ||||<:> '''이전급''' ||<:> [[아타고급 구축함]] || ||||<:> '''다음급''' ||<:> 이지스 시스템 탑재 호위함[* [[이지스 시스템 탑재함]]과 다른 신형 호위함] [* https://news.yahoo.co.jp/expert/articles/d83a75e1780933bd57613fdc504d3fe04e6d74c9] || ||||<:> '''건조 업체''' ||<:> [[IHI|재팬 마린 유나이티드]] (JMU)[br] 요코하마 조선소 || ||||<:> '''건조''' ||<:> 2척 || ||||<:> '''전장''' ||<:> 169.9m || ||||<:> '''전폭''' ||<:> 22.2m || ||||<:> '''전고''' ||<:> 13m || ||||<:> '''흘수선''' ||<:> 6.4m || ||||<:> '''기준배수량''' ||<:> 8,200t || ||||<:> '''만재배수량''' ||<:> 10,250t || ||<|4> '''동력''' ||<:> '''방식''' ||<:> COGLAG[* COmbined Gas-eLectric And Gas turbine, 저속에선 가스터빈 발전기와 모터를 이용한 전기 추진, 고속에서 추가 동력을 제공하는 가스터빈을 조합한 추진 방식.] || ||<:> '''기관''' ||<:> [[GE]]-[[IHI]] LM2500-IEC[* Integrated Electronic Controls] 하이브리드 가스터빈엔진 × 2기 || ||<:> '''추진''' ||<:> 가변 피치 프로펠러 2축 || ||<:> '''출력''' ||<:> 69,000마력 || ||||<:> '''최대속력''' ||<:> 30노트 || ||||<:> '''승조원''' ||<:> 300명 || ||<|3> '''레이더''' ||<:> '''주 레이더''' ||<:> [[AN/SPY-1|AN/SPY-1D(V)]] || ||<:> '''사격 통제 레이더''' ||<:> [[AN/SPG-62]] || ||<:> '''저공/수상 수색 레이더''' ||<:> AN/SPQ-9B || ||<|3> '''소나''' ||<:> '''시스템''' ||<:> AN/SQQ-89(V)15 || ||<:> '''선저''' ||<:> AN/SQS-53C || ||<:> '''예인''' ||<:> AN/SQR-20 MFTA || ||<|2> '''기만체계''' || '''디코이''' ||<:> Mk.137 6연장 채프 발사기 × 4기 || ||<:> '''ESM''' ||<:> NOLQ-2C || ||||<:> '''전투정보시스템''' ||<:> '''Baseline J7 이지스 전투 체계'''[br](베이스라인 9.C2 + BMD 5.1[* [[https://news.lockheedmartin.com/2017-02-06-Next-Generation-Aegis-Ballistic-Missile-Defense-System-Successfully-Engages-Medium-Range-Ballistic-Missile-Target|This test builds upon joint research investments by the United States and Japan. Lockheed Martin is also developing an Aegis Baseline 9.C2 (BMD 5.1) variant computer program, referred to as J7, for deployment on Japan’s Aegis destroyers.]]]) || ||||<:> '''통신/데이터링크''' ||<:> 링크 11·16·22, PAA(Planar Array Antenna)[* CEC][br] AN/USC-42 위성 통신 시스템, MOF 시스템 || ||||<:> '''항공시스템''' ||<:> RAST[* Recovery, Assist, Secure and Traverse] [br] SLAS[* Ship Landing Assist System] || ||<|8> '''무장''' || '''함포''' ||<:> [[Mk.45 5인치 함포|Mk.45 Mod.4 62 구경장 함포]] × 1문 || ||<:> '''VLS''' ||<:> Mk.41 VLS × 96셀 (64/32) || ||<:> '''대잠체계''' ||<:> 68식 324mm 3연장 어뢰 발사기 × 2기 || ||<:> '''근접방어체계''' ||<:> [[팰렁스|Mk.15 팰렁스 Block.1B]] × 2문 || ||<:> '''함대공 미사일''' ||<:> [[SM-2|SM-2 Block IIIB]] [br] [[SM-6]] || ||<:> '''탄도탄 요격 미사일''' ||<:> [[SM-3|SM-3 Block 2A]] || ||<:> '''함대함/대잠 미사일''' ||<:> [[12식 지대함 유도탄|17식 함대함 미사일]] [br] [[대잠 미사일|07식 VL-ASROC]] || ||<:> '''함대지 미사일''' ||<:> [[토마호크 미사일]] || ||||<:> '''탑재항공기''' ||<:> [[SH-60|SH-60 씨호크]] × 1기 || == 특징 == 마야급은 선체 길이가 [[아타고급 구축함]] 대비 5m 더 길어졌고, 기준 배수량은 8,200톤으로 500톤 가량 증가했다. 또 다른 차이점은 추진방식이 COGLAG라는 점이다. 기존 아타고급은 [[COGAG]] (COmbined Gas turbine And Gas turbine)으로 추진했는데, 이는 순항속도나 고속에서나 둘다 똑같이 가스터빈 엔진을 돌리는 추진체계[* 물론 그렇다고 저속이나 고속이나 똑같은 엔진을 돌리는 건 아니고, 저속용과 고속용 엔진을 따로 탑재한다.]이고, 27DDG의 COGLAG 방식은 순항속도에서는 가스터빈을 돌려 발전된 전기로 전기모터를 돌려 추진하고, 고속에서는 가스터빈이 직접 추진하는 가스터빈-전기복합추진체계(Combined Gas turbine-eLectric And Gas turbine)이다. 전기복합추진은 순항운행중 수중방사소음을 현저히 낮추어 [[잠수함]]이 함정을 탐지할 확률을 현저히 줄여줄 뿐만 아니라, 자함의 소음이[* 특히 대잠전에서 치명적인 중저음의 감소] 준 만큼 [[소나#s-1|함수소나]]의 효율은 극대화 되고, 대어뢰기만책등의 효율 또한 상승한다. 이 추진체계는 이미 [[아키즈키급 구축함|아키즈키급]]의 개량형인 [[아사히급 구축함|아사히급]]에도 적용되었다. 현재 [[대한민국 해군]] 함정 중에는 2016년 진수되어 2018년에 취역할 [[대구급 호위함]]이 CODLOG(COmbined Disel-eLectric Or Gas turbine) 체계를 탑재하고 있다. [[파일:war-20180810-004956-001-resize.jpg]] 또한 CEC(Cooperative Engagement Capability), 즉 합동교전능력도 부여됐는데, 이는 [[항공자위대]]가 도입 중인 [[E-2|E-2D 조기경보기]]와 관련이 깊다. 현재 [[미국 해군]]은 CEC를 통해 [[알레이 버크급 구축함]] 존 폴 존스(John Paul Jones)함에서 발사한 [[SM-6]] 함대공 미사일을 E-2D 조기경보기가 관제해 360km 거리의 표적 드론을 요격하는 테스트를 성공적으로 마쳤다. 즉, CEC의 부여는 함대방공능력을 초수평선(超水平線)까지 확대시킬수 있게 된다. 일본은 2018년 방위예산안에 SM-6 도입을 위한 비용을 편성해 마야급에 NIFC-CA FTS 능력을 부여할 것을 결정했다. 더불어 E-2D는 탄도미사일 추적이 가능하기 때문에 더 효과적인 탄도미사일 방어가 가능하다. 소나 시스템으로는 알레이버크 플라이트 2A에 탑재되는 최신 바이스태틱 소나 시스템인 AN/SQQ-89A(V)15가 채택되어 MFTA(Multi-Function Towed Array Sonar)와 AN/SQS-53C 선저 소나를 통합 운용, 장거리 정밀 대잠탐지 능력이 확충되었다. 추가로 AN/SPQ-9B 대수상레이더가 탑재되는데, 이는 이지스 레이더의 저공 탐색 능력을 보완하는 X밴드 레이더로써 [[AN/SPY-6(V) AMDR|알레이 버크급 플라이트 III]]에 장착될 계획이 있다. 호주의 [[호바트급 구축함|호바트급]] 또한 이 레이더를 장착했다. 무장은 기존 [[90식 함대함 미사일]]이 아닌 [[12식 지대함 유도탄|12식 지대함 미사일]]을 개조한 신형 17식 함대함미사일과 미국과 일본이 공동개발한 신형 탄도탄 요격 미사일인 [[SM-3]] Block 2A를 탑재하게 된다. 또한 2015년 발간한 방위백서에 따르면 가까운 미래에 [[레이저]] 방어 시스템을 적용할 것으로 보인다. [[http://www.navyrecognition.com/index.php?option=com_content&task=view&id=2925|출처]] 이외에도 헬기 구속 및 이송 시스템(Recovery, Assist, Secure and Traverse : RAST)[* 높은 파고 등으로 인해 함선의 자세가 불안정한 환경에서 헬기를 고정 시켜 안전한 이륙 혹은 착함을 지원하는 동시에 자동으로 격납고에서 내보내거나 이송시켜 주는 장치. 해상자위대가 [[무라사메급 구축함|무라사메급]]부터 건조되는 모든 호위함에 필수적으로 탑재시키고 있는 반면, 대한민국 해군에는 가장 최신함인 [[대구급 호위함|대구급]]을 비롯해 이러한 장치가 도입된 함선이 전무하며, 아직도 헬리 패드의 철망에 작살을 쏘아 착륙하는 구세대적인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자세한 내용은 [[함정 착함 장치]] 문서 참조.]과 미쓰비시 중공업이 독자 개발한 [[GPS]] 기반 [[https://www.youtube.com/watch?v=ZAjyBUnO9QY|착함 지원 시스템]](Ship Landing Assist System : SLAS) 등으로 이루어진 회전익 항공기 지원 시스템이 설치된다. === 일본제 하부 시스템 탑재 === [[파일:external/img.bemil.chosun.com/20150723234018.jpg|width=650]] [[파일:youtu.be-BXSL6B5EwWQ.png|width=650]] [[미쓰비시 그룹|미쓰비시]] 중공업과 [[후지쯔]], [[NEC]] 등이 자체적으로 개발한 전술 상황 표시 응용 소프트웨어와 콘솔 및 공통 디스플레이 시스템, 소나 송수신파 소자(트랜스듀서) 등이 탑재될 예정인데[* [[http://www.dsca.mil/major-arms-sales/japan-ddg-guided-missile-destroyer-7-and-8-aegis-combat-system-acs-underwater|Japanese industry has requested participation with U.S. industry as sub-contractors under the FMS case on a limited basis to provide selected components and software. Japanese industry sourced items are: 1) TR-343 Equivalent Replacement Sonar Transducers for SQS-53C sonar by NEC, 2) Partial AEGIS Display System application software by MHI, and 3) Partial AEGIS Display System Hardware and Common Display System hardware by Fujitsu. The Japan sourced products will be subject to product qualification, export control or other requirements for use in FMS-provided systems. The U.S. Navy retains the option to use U.S. Navy Programs of Record to source products or services as required to meet program requirements. There are no known offset agreements in connection with this potential sale.]]], NEC가 개발한 TR-343J 소나 트랜스듀서는 미국제보다 동등이상의 성능을 지니고 있고[[https://ssl.bsk-z.or.jp/kenkyucenter/pdf/nec20191220.pdf|#]], 후지쯔가 개발한 응용 소프트웨어의 경우 이지스의 센서 데이터를 융합하여 주변 지형과 표적들을 3차원 그래픽에 실시간으로 시현해 기존 2차원 그래픽보다 더 이해하기 쉽도록 만든 것이다.[* 현재 함상용 전투 정보 시스템 소프트웨어 중 3차원으로 주변을 시현하는 것은 미국, 유럽, 러시아 모두 존재하지 않는다. 가장 최신함인 [[줌왈트급 구축함]]의 레이더 스크린 역시 2차원 방식이다.[[http://i.imgur.com/oQwA6yN.jpg|#]]] 이들 일본제 하부 시스템은 미국이 사용중인 장비보다 우수하고 값싸며 모든 이지스함에 사용할 수 있다고 한다.[[http://www.janes.com/article/53199/japan-agrees-to-aegis-tech-transfer-re-export|#]] 이 중 테이블식 공통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모가미급 호위함]], 개장되는 [[이즈모급 다용도 운용모함|이즈모급]] 등에도 적용될 예정이다. == 기타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twRjyZSfBvU)]}}} || ||<:>'''마야급 2척이 참여한 JFTM-07 Stella Nioh 요격 능력 인증 시험''' || == 동형함 목록 == ||<-9><:> {{{#FFFFFF '''일본 해상자위대'''}}} || ||<:> || '''함번''' || '''함명''' || '''기공일''' || '''진수일''' || '''취역일''' || '''건조사''' || '''소속''' ||<:> '''상태''' || ||<:> 1 || DDG-179 ||JS [[마야|마야 (まや)]][* [[타카오급 중순양함]] 3번함의 함명을 계승받았다.] || [[2017년]] [[4월 17일]] || [[2018년]] [[7월 30일]] || [[2020년]] [[3월 19일]] ||<|2> [[IHI|재팬 마린 유나이티드]] || [[호위대군|제1호위대군 제1호위대]] || 현역 || ||<:> 2 || DDG-180 ||JS [[하구로|하구로 (はぐろ)]][* [[묘코급 중순양함]] 4번함의 함명을 계승받았다.] || [[2018년]] [[1월 23일]] || [[2019년]] [[7월 17일]] || [[2021년]] [[3월 19일]] || [[호위대군|제4호위대군 제8호위대]] || 현역 || == 대중매체에서 == [[파일:20231031_223517.jpg|width=100%]] 게임 [[모던 워쉽]]에서 에픽티어 구축함으로 등장한다. 대잠전과 근접전에 약하지만 매우 강력한 방공, 높은 화력, 그리고 뛰어난 함체 성능을 가지고있어서 좋은 평가를 받고있다. == 관련 문서 == * [[해상 병기/현대전]] * [[해군력]] * [[아타고급 구축함]] [[분류:구축함]][[분류:해상 병기/현대전]][[분류:자위대/군함]][[분류:2018년 공개]][[분류:2020년 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