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오대십국시대 십국/왕조)]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B79400 0%, #F4CA16 20%, #F4CA16 80%, #B79400)" '''{{{#00009C 마초 초대 군주[br]{{{+1 武穆王 | 무목왕}}}}}}''' }}} || ||<:>'''[[시호|{{{#00009C 시호}}}]]'''||무목왕(武穆王) || ||<:>'''[[성씨|{{{#00009C 성}}}]]'''||마(馬) || ||<:>'''[[휘|{{{#00009C 휘}}}]]'''||은(殷) || ||<:>'''[[자(이름)|{{{#00009C 자}}}]]'''||패도(覇圖) || ||<:>'''{{{#00009C 생몰년도}}}'''||852년 ~ 930년 || ||<:>'''{{{#00009C 재위기간}}}'''||907년 ~ 930년 || [목차] [clearfix] == 개요 == [[오대십국시대]] [[초(오대십국시대)|초나라]]의 초대 국왕. 시호는 무목왕(武穆王). 자는 패도(覇圖). == 생애 == 마은은 852년에 허주(許州) 언릉(鄢陵)에서 태어났다. 그는 하남의 군웅이었던 [[진종권]]의 부장 손유를 따라 회남 일대를 전전하다가, 892년에 손유가 죽자 그의 부장이었던 유건봉과 함께 894년에 호남 일대에 세력을 확장했다. 896년에 유건봉이 부하들에게 살해당한 이후, 마은은 부하들에 의해 호남 절도사로 추대되었다. 마은은 호남 절도사가 된 이후 광서 지방으로 세력을 뻗쳐 당 조정에 의해 무안군 절도사에 임명되었다. 마은에게는 아우 마종(馬賨)이 있었는데, 마은이 손유를 따라 회남에 있을 때 손유가 양행밀에게 패배하여 전사하고, [[양행밀]]이 손유의 잔병들을 수습하여 '흑운도'를 편성하였다. 마종은 이때 양행밀을 따라 흑운도의 지휘사로 있다가, 양행밀이 그를 다시 형 마은에게 돌려보냈다. 907년에 [[주전충]]이 [[후량]]을 건국하자, 마은은 후량에 조공을 바치고, 시중 겸 중서령에 임명되었으며, 초왕(楚王)에 책봉되었다. 그후 후량이 멸망하고 [[후당]]이 들어서자 마은은 사신을 보내 후당에 조공을 바치며 역시 초왕의 작위를 받았다가 930년에 세상을 떠났다. 이후 무목왕(武穆王)으로 추시되었다. == 가계 == * 증조부: 마균(馬筠) * 조부: 마정(馬正) * 부친: 마원풍(馬元豐) * '''마은''' * 장남: 마희진(馬希振) * 차남: [[마희성]] * 사남: [[마희범]] * 마희왕(馬希旺) * 마희호(馬希杲) * 마희첨(馬希瞻) * [[마희숭]] * 마희능(馬希能) * 마희관(馬希貫) * 마희은(馬希隱) * 마희준(馬希濬) * 마희랑(馬希朗) * 마희지(馬希知) * [[마희광]] * [[마희악]] 《[[십국춘추]]》에서는 [[마희광]]이 35남, [[마희범]]이 4남, [[마희성]]이 차남으로, 마은에게 최소 35명 이상의 아들이 있었다고 기록한다. 상술한 아들들은 《십국춘추》와 《[[신오대사]]》를 참고하여 기술한 것으로, 아들들 사이의 순서나 이름, 혹은 다른 아들들이 있었는지에 대해서는 확인이 불가능하다. 여담으로 마은 사후에는 아들들 사이에서 후계자 분쟁이 벌어져, 이것이 초나라의 쇠퇴를 불러오는 원인이 되었다. == 둘러보기 == [include(틀:구오대사)] [include(틀:신오대사)] [[분류:오대십국시대/인물]][[분류:852년 출생]][[분류:930년 사망]][[분류:허난성 출신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