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메르세데스-마이바흐|[[파일:메르세데스-마이바흐 로고.svg|width=25%]]]] ||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external/car-pictures.cars.com/?IMG=USC20MYC011A0101.png|width=100%]]}}} || || {{{#fff '''62'''}}} || [목차] '''Maybach 62''' == 개요 == [[독일]]의 자동차 제조사인 [[다임러 AG|다임러크라이슬러]] 산하의 과거 고급 브랜드였던 [[메르세데스-마이바흐|마이바흐]](Maybach-Manufaktur)에서 [[2002년]]부터 [[2012년]]까지 생산한 고급 세단이다. 코드명은 V240이었다. == 상세 == === 1세대(V240, 2002~2013) === [[1997년]] 도쿄 모터쇼 때 등장했던 컨셉트카를 기반으로 하였으며, 차량의 이름은 전장이 약 6.2m(6,165mm) 였기 때문이라고 한다. 차량의 플랫폼은 [[1991년]]부터 [[2000년]]까지 생산된 [[메르세데스-벤츠 S클래스]] W140형과 공유하였다. [[2002년]]에 [[BMW]] 산하의 고급 브랜드인 [[롤스로이스]]에서 생산하는 [[롤스로이스 팬텀|팬텀]]과 경쟁할 목적으로 만들어졌다. 생산은 [[독일]] 진델핑엔 공장에서 이루어졌다. 차량의 출시는 [[2002년]] 6월 26일에 [[영국]] [[사우스햄튼]]에서 [[미국]] [[뉴욕]]으로 가는 [[RMS 퀸 엘리자베스 2]] 유람선에 유리 케이스에 밀봉한 후 7월 2일에 도착한 후에는 소방선과 모터보트들의 환영을 받은 후 헬기로 배에서 선착장 위로 들어올린 후 [[월 스트리트]]에 위치한 리젠트 호텔까지 운전해서 갔다는 이야기가 있다. 57과 62는 사실상 같은 차종이긴 하지만, 62는 57에 비해 쇼퍼 드리븐 속성이 강한 편이다. [[마이바흐 57]]에 있었던 표준 기능 외에도 옵션 사양으로 18방향 전자식 뒷좌석 시트[* 기존에 탑재된 14방향 시트를 대체하였다.], 측면 전자식 선셰이드, 통풍 후면 시트, 무선 헤드폰, 파워 선루프를 대체하는 전자식 파노라믹 스마트 선루프, 스티어링 휠에 탑재된 내비게이션 제어 장치 등이 추가로 존재하였다. 3대 명차라는 이름답게 판매시 고객 한 사람마다 전담 담당자가 배정되어 오너의 주문과 성향에 맞게 차량을 인도받을 수 있도록 시스템이 구축되었다. 통계적으론 마이바흐 차량 1대당 210개의 가죽조각과 100여개의 원목장식이 들어간다고 하며, 옵션이 매우 다양하여 경우의 수를 따지면 약 200만가지 조합이 나온다고 한다. 즉, 완전히 똑같은 마이바흐는 단 1대도 없는 셈이다. 5.5L V12 [[메르세데스-벤츠 M285 엔진|M285]] 트윈 터보 엔진이 기본으로 탑재되었으며, 550마력의 최고 출력과 91.8kg.m의 토크를 냈다.[* 62 S 사양의 파워는 612마력, 제펠린 사양은 630마력의 파워를 냈다.] 62 사양의 [[제로백]]은 5.4초, 62 S 사양은 5.2초, 랜덜렛 사양은 5.2초가 소요되었다고 한다. [[2008년]] 기준 차량의 가격은 달러 가치 환산 시, 62 사양은 4억 9417만원[* [[미국]] 기준 원가는 431,055달러], 62 S 사양은 5억 6,472만원[* [[미국]] 기준 원가는 492,062달러]였으며, 랜덜럿 사양은 1,350,000달러[* 원화가치 약 15억 4,765만원]였다. 대한민국의 출시 가격은 62은 72,000만원 62 S는 78,000만 원, 한정판인 체펠린은 (전세계 100대 중 국내 3대 배정되었고 57은 국내 미출시) 80,000만원 부터 시작했다. 한 때 럭셔리 브랜드 현황 지수에서 57 및 62 덕분에 [[2008년]] 기준 [[롤스로이스]] 및 [[벤틀리]]보다 더 높은 점수를 얻었으나, 계속된 재정적 타격으로 인해 수익성이 높은 [[롤스로이스]]의 차량들의 1/5 수준으로 판매되는 굴욕을 맛봤다. 또한 초기 판매량을 연 2,000대로 잡았으며 이 중 절반 이상이 [[미국]] 시장에서 판매될 것이라고 생각했지만 매년 100대가량밖에 못 팔았고 심지어 [[2007년]]에는 미국에 있던 71개 딜러점 중 29개가량을 철수해야 했을 정도로 좋지 않았다. ==== 62 ==== [[파일:마이바흐 62 V240.png|width=700]] 일반 사양인 62에는 완전히 뒤로 젖혀지는 뒷좌석, 마이바흐 4구역 실내 온도 조절 장치, 색조 창문, 적외선 반사 적층 유리, 에어매틱(AirMATIC) 이중 제어 에어 서스펜션, 후면 루프 라이너, 디스플레이 기기[* 속도, 시간 및 외부 온도 등이 표시되었다.], 좌우 접이식 후면 테이블, 21스피커[[BOSE]] 서라운드 사운드 시스템, 그리고 냉장고 칸 등이 적용되었다. 이외에도 COMAND라는 운전석 관리 및 네비게이션 시스템이 있었는데, DVD 내비게이션, 뒷좌석 CD 체인저, DVD 플레이어, TV 튜너, 리모컨과 헤드폰 2세트 및 후면 LCD TV 화면 2개, 자동으로 닫히는 문 등이 적용되었다. 옵션으로 11,670달러[* 원화가치 약 1,327만원]짜리 파노라마 유리 선루프와 1,780달러[* 원화가치 약 202만원]로 뒷좌석 탑승자가 차 밖의 사람들과 대화할 수 있는 확성기와 마이크 시스템인 외부 통신 시스템도 적용되었다. 운전자와 뒷좌석 탑승자 사이의 접히는 전자투명 파티션 화면은 23,780달러[* 원화가치 약 2,703만원], 가장 비싼 보호장치였던 B4 패키지는 151,810달러[* 원화가치 약 1억 7,256만원]가 들었다. ==== 62S ==== [[파일:마이바흐 62S 김정은.png|width=700]] [[김정은]]의 차량 [[2006년]] 11월 오토 차이나에서 최초로 공개되었으며, 57 S 사양과 같은 612마력의 [[메르세데스-AMG]]제 V12 트윈터보 엔진이 탑재되었다. 하지만 서스펜션 부분은 변경되지 않았다고 한다. [[2019년]] [[베트남]] [[하노이 북미정상회담]] 당시 S600 풀만 가드와 함께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탔던 차량이기도 하다. ==== 62 제플린 ==== || [[파일:Maybach_62_Zeppelin_1.jpg|width=400]] || [[파일:Maybach_62_Zeppelin_2.jpg|width=400]] || ||<-2> '''2009년형 마이바흐 62 제플린'''[* 위의 62 세단과 모습 차이가 있다.][* 여담이지만 일반 마이바흐를 제플린의 외형으로 바꿔주는 파츠 조합도 있다] || || [[파일:Maybach_62_Zeppelin_Interior.jpg|width=100%]] || [[파일:Maybach_Zeppelin_logo.jpg|width=100%]] || || '''62 제플린 뒷좌석''' || '''제플린 특별 엠블럼''' || 2009년 [[제네바]] 국제 모터쇼를 기점으로 100대 한정 생산된 모델. 이름은 과거에 생산한 마이바흐 DS7과 마이바흐 DS8에 붙던 제플린[* '제플린'은 영어식으로 발음한 것이고, 원래 독일에서는 '체펠린'이라고 읽는다.] 모델에서 가져왔으며, 62S를 베이스로 하였다. 스트롬볼리 블랙 스티칭이 들어간 캘리포니아 베이지색 특수 가죽, 피아노 블랙 래커 마감, 회색 '제플린' 샴페인 잔, 20인치 크롬 휠, 어두운 붉은색 계통의 테일램프 등 내부 및 외부에 특별함이 더해진것은 물론이고 [[스위스]]의 향수 제조 업체인 지보단(Givaudan)과 공동으로 개발한 Perfume Atomizer이란 자동 방향 장치(옵션사항)를 세계 최초로 자동차에 적용했다. 차량 가격은 8억 원대였으며, 향수 옵션의 경우 약 600만 원의 고가를 자랑했다. 또한 위에 보이는 삼각형 M자 형태의 '제플린'이라 써진 특별 앰블럼이 적용되기도 했다. [[파워트레인]]으로는 630마력의 6.0L 트윈 터보 V12 엔진이 탑재되어 일반 62S 사양보다 18마력 정도 더 강한 출력을 냈다. 국내에는 총 3대가 2010년에 정식으로 수입되어 판매되었다. === 62S 랜덜렛 === ||[[파일:external/www.cardotcom.com/landaulet-03.jpg|width=100%]]||[[파일:external/www.cardotcom.com/landaulet-09.jpg|width=100%]]|| || 정면 || 후면 || 62S 랜덜렛은 뒷자리 지붕이 소프트탑인 사열차 모델로, 뒷자리 지붕만 열린다. 이 모델은 100만 달러가 넘는 기본 가격으로 당시 세계에서 가장 비싼 세단(?)이었다. [[1920년대]]와 [[1930년대]]에 유행했던 랜덜렛 스타일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것이며, 612마력의 바이터보 V12 엔진이 탑재되었다. [[2007년]] 11월 말 중동 국제 모터쇼에서 컨셉트카 사양이 공개되었으며, 한정 생산이 [[2008년]] 1월에 시작되어 총 8대가 만들어졌다고 한다. 국내에는 삼성그룹 이건희 회장이 소유했다. 앞좌석은 전동 칸막이 창문에 의해 뒷좌석 객실과 완전히 밀폐되고 분리되며 이 칸막이의 불투명도는 전자식 제어가 이루어졌다. 슬라이딩 소프트 루프를 통해 뒷좌석 승객들이 편안한 좌석에서 햇볕을 쬘 수 있었다. 운전석 및 조수석은 검은색 가죽으로 마감된 반면, 뒷좌석은 흰색에 피아노 흑백과 금박으로 된 검은색 화강암 장식이 적용되었다. == 단종 == [[2008년]]부터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로 일어난 세계 금융 위기로 인해 수익성이 적었던 [[마이바흐]] 브랜드를 [[다임러 AG]] 측에서 전 사업부에 대해 재검토를 하였고[* 여기에는 차세대 [[라곤다]]의 설계 및 디자인 등 개발을 위한 [[마이바흐]] 및 [[애스턴 마틴]] 간의 협의도 있었다.] 그 결과 [[2011년]] 11월 25일자로 [[2013년]]형을 끝으로 [[마이바흐 57]] 및 62를 단종시킬 계획이라고 선언했다.[* 그 이전에 판매된 차량은 3,000대 가량이었으며, 판매 차량의 손실액만 33만 유로(원화가치 약 4억 4,010만원)였다고 한다.] == 경쟁 차량 == * [[롤스로이스]] - [[롤스로이스 팬텀|팬텀]] == 기타 == * [[2009년]]에 [[2004년]]형 차량이 999,999km 이상의 주행거리를 달성했는데도 계속 서비스를 제공해 주었다는 이야기가 있다. * [[대한민국]]에서는 [[이건희]] [[삼성그룹]] 회장과 [[김승연]] [[한화그룹]] 회장 등 재벌 총수들이 타고 다니는 차로 널리 각인되어 있다. 연예인들 중에서는 [[양현석]], [[장동건]], [[배용준]], [[이승철]] 등이 마이바흐의 오너다. 프로듀서 [[용감한 형제]]도 마이바흐를 타고 다닌다. * 미디어에서는 62S 랜덜렛 모델이 [[트랜스포머 3]]의 [[시모어 시몬스]]가 부자가 된 후 타고 나온 차량으로 등장하기도 했다.[* 여담으로 촬영중 사고가 났다.] == 둘러보기 == [include(틀:메르세데스-마이바흐의 차량)] [include(틀:문서 가져옴,title=메르세데스-마이바흐,version=303)] [[분류:마이바흐/생산차량]][[분류:대형 세단]][[분류:2002년 출시]][[분류:2012년 단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