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대한민국의 걸그룹, rd1=마이비(아이돌))] [include(틀:대한민국의 교통카드)] [include(틀:부울경의 대중교통)] [[파일:external/www.mybi.co.kr/logo_mybi.png]] 마이비 CI [목차] == 개요 == [[http://www.mybi.co.kr/|마이비카드 홈페이지]] [[파일:attachment/MYbi/1.jpg]] '''디지털부산카드'''의 초도 발행분. [[부산타워]]가 들어가 있다. [[광안대교]]가 들어간 것을 많이 보았겠지만, 당시 [[광안대교]]는 공사 중이었다.[* 마이비는 2000년에 나왔고, [[광안대교]]는 2002년 말에 완공됐다.] 왼쪽의 자그마한 점은 [[오륙도]]. [[부산광역시]]를 거점으로 하는 [[대한민국]]의 [[교통카드/선불|선불교통카드]] 회사.[* [[부산광역시]]에서는 타사 교통카드라 하더라도 '''마이비'''라고 부르는 경우가 적지 않다. 마이비가 단종되어서 교통카드 법인명으로만 사용되고 있는데도, [[교통카드/선불|선불교통카드]]의 표준명사로 쓰이는 현상은 여전하다.] 2009년 [[롯데정보통신]]에 인수됐고, 롯데카드와 세트로 마이비와 [[한국스마트카드]]가 사용호환 협정을 맺기 전부터 경기권 이외의 지역[* 수도권 통합요금제 이전에는 [[경기도]] 일부 마을버스에서도 디지털경기카드라고 사용 가능했었다.]에서 사용이 가능했고, 현재는 [[티머니]]와 사용 호환 협정을 맺어 거의 대부분 지역에서 사용이 가능하다. 2002년 출시된 전북 신명이카드, 경북 신나리카드, 디지털전남예향카드, 디지털경남카드, 디지털울산카드, 2003년에 출시된 충북 으뜸e카드, 2004년에 출시된 광주 빛고을카드, 디지털충남카드도 마이비 시스템을 사용했다. [[삼원FA]]와 계약을 맺고 마이비 서비스 지역[* 경남/충북/전북/전남 등]에 카드 단말기를 설치했다. 부산에서 후불교통카드 사용이 안 되던 마이비 초창기 [[KB국민카드]]에서 마이비 신용카드를 내놨다. 이게 문제는 '''마그네틱은 신용 및 현금인출, IC칩은 선불(!) 마이비'''였다. 상당히 특이한 카드. 당연히 수도권 사용은 불가능. 소득공제 신청란에서 카드 고유 번호를 등록해 두면 연말정산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인터넷에서 충전이 가능하고 [[USB]]로도 활용이 가능한 인터넷마이비도 나왔었다. 한때 자신만의 디자인을 가진 카드를 만들 수 있었지만, [[2012년]] [[6월 8일]] 부로 종료. 다만, 자신이 나온 직접 촬영한 사진만 가능했다. 애니메이션, 게임 로고 등의 이미지는 사용 불가. [[저작권]] 문제 때문인 듯. 2012년부터 발행되는 마이비 카드는 캐시비와 동일한 규격을 사용한다. [[롯데 자이언츠]] 공식 사이트에 회원 가입을 하면 [[사직 야구장]] 흑백 배경에 자이언츠 로고가 찍혀 있는 [[롯데 자이언츠]] 마이비 카드를 받을 수 있었지만, [[이비카드]]의 티모아 기반으로 교체하면서 기존 마이비 대신 [[2012년]] [[3월 19일]]부터 [[캐시비]]로 발급했다. 현재는 [[롯데 자이언츠]] [[캐시비]] 교통카드도 단종되어 그냥 자이언츠 [[L.포인트]] 카드로 나온다. [[캐시비]]가 나오기 전에는 [[롯데 자이언츠]] 마이비카드가 [[L.포인트|롯데멤버스]] 기능이 달린 유일한 일반 마이비카드였다. 또한 자유석에 한해 [[사직 야구장]]의 마이비/[[캐시비]] 전용 입구에서 표를 구매할 필요 없이 바로 카드를 찍고 입장료를 내서 입장하는 스피드 게이트 서비스가 시행 중이었으나, 2015년 3월 28일부터 중단되었다. [[부산 아이파크]]에도 스피드 게이트가 있었으나 지정석 제도 시행으로 6월부터 전면 중단되었다. [[한국철도공사]] 관할의 철도역 구내나 일부 고속도로상의 휴게소에 설치되어 있는 [[교통카드]] 단말기가 달린 [[자판기]]에서도 마이비카드를 쓸 수 있다. [[한국철도공사|코레일]] 멤버십 카드도 한때 마이비카드를 내장하여 [[교통카드]]로 발행되기도 했었다. [[2009년]] 이후에는 삭제되어 발행되지 않았으며, 2014년 10월 25일에 [[한국철도공사]]에서 전국호환 [[교통카드/선불|선불교통카드]] 중 하나인 [[레일플러스]]를 출시했다. [[부산광역시]]를 거점으로 하면서 교통 외에 RF 유통업을 지원하다 보니, [[2004년]] 7월에 [[해운대구]]청과 함께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3&oid=008&aid=0000422811|여름 시즌의 바가지요금을 막고자 해수욕장 등지에서 전자화폐제를 시행한 적이 있다]]. 이 때 "서머비치카드"라는 손목시계형의 [[교통카드]]를 출시했으며, 일반적인 [[교통카드]] 이용도 가능했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82&aid=0000055969|하지만 모든 상인들에게 카드 단말기가 공급되지 않았고, 대놓고 카드를 거부하는 상인들도 있어서 100%의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 이후 [[캐시비]]로 전환되고 나서 [[캐시비]] 워치라는, 진짜 손목시계가 달린 [[교통카드]]가 [[2015년]]에 나왔다. 기업공개를 추진 중인 [[롯데정보통신]]이 상장하면 [[이비카드]], [[한페이|한페이시스]], 마이비를 완전히 합병할 예정이라는 이야기가 있다. 2019년에 [[롯데그룹]]에서 매물로 나와 [[MBK파트너스]]에 매각되었다. 2023년 [[이동의즐거움|로카모빌리티]]와 함께 [[롯데카드]]에서 매물로 나와 매각되었다. == 기존 마이비 카드의 사용 중단[* 기존 [[하나로카드]]도 동시에 중단된다.] == '''구형 [[MIFARE]] Classic 칩 탑재 마이비 카드(아래 목록의 대부분 카드)는 2014년 8월 18일부로 유통 결제를 이용할 수 없다.''' 마이비는 [[동물농장(게임)|서버가 아닌 카드의 암호화된 내부 메모리에 잔액을 저장하는데]] MIFARE Classic 자체에 존재하는 보안 취약점으로 인해 암호화 블럭의 키를 유추해 낼 수 있었고 그 결과 '''[[스타크래프트/치트키#s-2.1|잔액 조작]] 등의 해킹 행위가 쉽게 이루어질 수 있었다.''' 결국 2014년 5월 부로 [[미니스톱/한국|미니스톱]]에서 기존 마이비 카드의 충전 및 결제 서비스를 중지했고,[* 정확히는 2014년 12월 31일 충전 서비스 완전 중단] 7월 중순 들어서 [[GS25]]에서의 마이비 카드 결제가 중단되었으며, 일부 점포에서의 마이비 카드 충전 서비스가 종료되었다. 그 이후 [[8월 18일]]에는 ~~[[롯데그룹]]이 포기한 건지~~ [[세븐일레븐/한국|세븐일레븐]]에서의 유통결제 서비스가 종료되었다.[* [[캐시비]] 마크가 있는 마이비 [[교통카드]]는 [[캐시비]]에 준해서 사용이 가능하다. ~~말만 마이비지 실상은 [[캐시비]]니까~~] 한동안 부산·경남·광주 지역 [[맥도날드]]와 전국 [[롯데리아]]에서는 사용이 가능했으나 키오스크에서는 이용할 수 없으며, 롯데리아 키오스크는 교통카드 결제 목록에 [[티머니]]와 [[캐시비]]만 있다. 따라서 이곳도 이용이 불가능하게 되었다고 봐도 무방하다. 앞으로 기존 [[MIFARE]] Classic 규격 마이비 카드는 다음과 같은 곳에서만 충전할 수 있게 되었다. * [[경남은행]] [[현금 자동 입출금기|ATM]] * [[부산은행]] [[현금 자동 입출금기|ATM]] * [[부산 도시철도]] 각 역사의 교통카드 보충기 * [[광주 도시철도]] 각 역사의 교통카드 보충기 (2022년 6월부터 이용 불가) * [[한국철도공사]] 주요 8역[* [[서울역]], [[용산역]], [[영등포역]], [[부산역]], [[수원역]], [[천안아산역]], [[천안역]], [[마산역]].] * [[부산김해경전철]]의 교통카드 보충기 * [[부산광역시]], [[울산광역시]], [[김해시]], [[양산시]], [[창원시]]의 [[GS25]]와 [[세븐일레븐/한국|세븐일레븐]]. 거기다가 [[경남은행]]과 [[부산은행]] [[현금 자동 입출금기|ATM]]은 영업시간 외에는 충전을 안 해준다.(...) 2014년 12월에는 [[롯데ATM]]에서 기존 [[MIFARE]] Classic 규격 마이비카드 및 [[하나로카드]]의 충전이 전면 중단됐다. 대신 그 자리에는 [[한페이]]와 [[레일플러스]]가 추가됐다. 일부 지역에서는 마이비카드를 가져가면 [[캐시비]]로 무료로 교환해 주는 행사를 가끔 하고 있으며, [[광주광역시]]에서는 [[한페이]]로 무료로 교체해 준다. (행사 기간에만....) 한 마디로 [[서울특별시]]의 원조 [[교통카드]]인 [[U-PASS|유패스]]나 [[대전광역시]]의 구형 [[한꿈이카드]], [[대구광역시]]의 [[대경교통카드]]와 똑같은 운명을 맞이하게 됐다. 2016년 6월 1일부터 롯데마트, 롯데슈퍼, 롯데시네마, 롯데월드에서의 결제 서비스도 중단됐다. 2021년 12월 27일부터 2022년 4월 30일까지 [[캐시비]]로 무료 교체할 수 있게 하였으며, 마이비카드에 한하여 교체가 가능하다.[* 원래 2022년 3월 31일부로 이용 중단될 계획이었으나, 이용자가 많아서 그런지 5월 31일로 연기되었다.] 환불 방법은 광주 소재 편의점 (CU, GS25, 미니스톱, 이마트24) 또는 광주 도시철도 역 등에서 환불봉투가 비치되어 있으며, 봉투 내에 교통카드를 담아 우체통에 투입하면 수일 내에 우편으로 받아볼 수 있다. 아니면 직접 광주 교통카드 고객센터 (광주광역시 서구 상무중앙로 110, 15층) 에 방문하여 교체할 수 있다. --근데 이곳은 [[한페이]] 고객센터인데, [[캐시비]]로 교체해준다.-- 광주는 과거에 [[한페이]]로 무료 교체행사를 자주하였는데, 자사 교통카드가 아닌 캐시비로 교체해 주는 건 다소 의외다. 2022년 4월 1일부로, 광주 전남의 마이비카드의 사용이 완전히 중단되었다.[[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transit&no=458187|#]] 2022년 6월 1일부터 [[광주광역시 시내버스]], [[광주 도시철도 1호선]], 전남 농어촌버스(나주, 화순, 담양, 장성, 함평)에서도 이용이 불가능해졌다. == 특징 == === 신용카드 사이즈 카드 발급받기 === 단점이라면, 겉에 칩이 달린 신용카드 사이즈의 카드를 잘 팔지 않았다는 것이다. 대다수 판매점에 가 보면 휴대폰 고리로 사용할 수 있는 '''6,000원짜리 액세서리 카드'''만 팔고 있는 것을 볼 수 있으며, 아주 극소수로 미니카드형을 팔았다. 초창기에는 [[국민은행]], [[NH농협은행]] 등과 제휴로 신용카드 크기의 마이비카드도 팔았고 심지어 런칭 기념으로 학생용 마이비를 공짜로 뿌리는 행사도 했지만, 어느 순간 단종되어 버렸다. [[캐시비]]로 바뀐 이후에는 세븐일레븐 한정으로 [[캐시비]] 세븐 미니카드가 나왔다. [[광주광역시]]의 경우 [[한페이]]도 미니카드가 주로 유통 중이며, 일반 신용카드 크기의 카드는 [[하이패스]]형만 많이 보이고 [[하이패스]]형이 아닌 일반 카드형은 찾기 어렵다가 2016년에 가격을 2,500원으로 인하한 일반 카드형이 새로 나왔다. 혹시나 일반 카드 크기의 마이비카드를 받고 싶다면 앞에서 언급한 [[롯데 자이언츠]] 마이비카드나 마이디카드 외에는 은행으로 가야 했었다. 대부분 해당 지역에서만 발급해 주는 경우가 많았다. * ~~[[경남은행]] 디지털경남카드, 디지털울산카드: 현금카드 겸용 [[교통카드]]. 청소년에 한해 최초 발급비가 없다.~~[* 참고로 이들은 다른 마이비와 호환성이 떨어진다. 은행 [[현금 자동 입출금기|ATM]]에서만 충전 가능. 애초에 '''디지털'''마이비카드는 거래 방식이 특이하다. 결제는 다른 카드와 같지만 충전은 [[현금IC카드|IC카드]] 거래 방식이기 때문. 대신에 은행 계좌에서 [[교통카드]] 잔액로 바로 넘길 수 있다. 일요일 빼고는 수수료 없이 해 주며, 일요일은 안 해 준다.(...)][* [[경남은행]] 디지털경남카드는 마산창원 지역(진해제외)에서만 발급 가능, 디지털울산카드는 울산 지역에서만 가능했다.] 발급 중단 * ~~[[경남은행]] [[창원시]] 자전거사랑 포인트체크카드~~: [[경남은행]] [[체크카드]] 중 유일하게 선불 마이비[* 이 카드는 은행에서 다른 마이비와 비슷한 취급을 받는다. 현금 보충만 가능하며, 영업시간이 지나면 안 해 준다. 대신에 호환성은 만땅.]가 포함되어 있다. 창원 시민이 아니어도 발급된다. 그리고 발급비가 없다. 대신 발급은 창원 시내 지점 이외에서는 할 수 없고 우편 또는 지점 인편 수령을 해야 한다. 현재는 캐시비로 자재가 변경되었다. * ~~[[부산은행]] 디지털부산카드~~: 발급비 2,000원. 신용카드(로컬)/[[현금카드]] 겸용 [[교통카드]]. ~~[[현금카드]]형은 청소년에 한해 최초 발급비가 없고~~[* 청소년용 디지털 부산카드는 발급 중지], 신용카드형은 발급비 없이 기본 연 회비 2천원만 나온다. [[경남은행]] 마이비카드와 비슷하다.[* 디지털경남카드와 마찬가지로 충전할 수 있는 곳이 제한적이다. 대표적으로 [[부산 도시철도]] 역사 내 [[교통카드]] 충전기를 보면 '''디지털'''부산카드 전용으로 충전 투입구가 따로 있다. ~~ㄷㄷㄷ~~] * ~~[[전북은행]] J[[체크카드]]~~: 최초 발급시 발급비 1,000원이 있고 이후 분실 재발급시 3,000원을 받는다. * --[[롯데카드]] 마이비 선불교통 [[체크카드]]--: 은행이 아니라 [[롯데카드]] 홈페이지에서 신청해야 한다. [[체크카드]]인데도 [[비자카드]]의 [[비자카드#s-5|Visa Contactless Payments]]가 탑재되어 있어 금융덕들의 마음을 설레게 한 카드. 하지만 [[체크카드/해외사용|해외신판]]은 [[롯데카드]]의 특성상 죽었다 깨어나도 불가능하니 주의하자. 발급비는 따로 없다. 지금은 마이비 선불교통 [[체크카드]]를 포함하여 [[롯데카드]]에서 나온 충전식 선불[[교통카드]] 겸용 [[체크카드]]에는 구형 마이비가 달리지 않고 [[캐시비]]가 달려 나온다. (일부 은행의 경우에는 캐시비 대신 마이비가 장착되어 나온다. 캐시비 통합 이후에도 자재가 소진되지 않은 [[SC제일은행]], [[광주은행]] 등.) 이 [[체크카드]]를 기반으로 포인트플러스 오포인트 [[체크카드]], [[캐시비]] 롯데체크카드, [[LOHB'S|롭스]] [[캐시비]] 롯데체크카드, 포인트플러스 포텐 [[체크카드]](옵션), 위클리 체크카드(옵션/은련에는 미적용)에 [[캐시비]]를 장착할 수 있다.[* 하지만 그 중에서 포인트플러스 포텐 [[체크카드]]에 [[캐시비]]를 적용해도 롯데멤버스 포인트는 적립이 안 된다. 포인트플러스 계열은 [[롯데시네마]] 청구할인이 빠져 있으니 입맛대로 선택할 것. 그리고 [[캐시비]] 장착 체크카드도 지금은 [[LOHB'S|롭스]] 제휴형과 위클리 체크카드만 남아 있다. 그 중 위클리체크는 은련 선택시 캐시비를 적용할 수 없다.] 2015년 12월 20일부로 신규/추가/갱신 발급 중단. * ~~[[하나카드]] 체크 앤 마이비 카드~~: 발급비 없음. 성인용 체크앤마이비 체크카드 상품은 단종되었고 현재 청소년용만 정상 신규 및 재발급이 가능하였으나 현재는 완전히 단종된 듯. 현 시점에서는 지방자치단체 주도하여 지방은행이 발급을 대행하는 어르신교통카드, 복지교통카드, --국가유공자교통카드--[* [[https://www.mpva.go.kr/mpva/selectBbsNttView.do?key=76&bbsNo=15&nttNo=244577&searchCtgry=&searchCnd=SJ&searchKrwd=%ED%98%B8%ED%99%98&integrDeptCode=&pageIndex=1|국가유공자 복지교통카드 전국호환사업]]으로 인해 2023년 1월 발급 중단. [[https://www.mpva.go.kr/common/skin/doc.html?fn=_DATA_bbs_15_20230126052000573_cf4Vp7_OMDWDH_prbYlJZJ.pdf&rs=/DATA/preview/202302/|부산은행 마이비 국가유공자교통카드는 2023년 4월 이후로 무임 적용이 불가하여 신한교통복지카드를 발급해야 한다.]]] 발급 신청을 통해서 마이비 카드를 받는 방법이 유일하다. [[https://www.mpva.go.kr/common/skin/doc.html?fn=_DATA_bbs_15_20221220050718929_siNXD6_lfetNd_SrocKgIO.pdf&rs=/DATA/preview/202302/|국가유공자 교통카드 전국호환 사업 진행 도중 보건복지부와의 협업을 통해 추후 장애인 교통카드를 도입할 때 전국호환이 가능하도록 개발]]했다고 했기 때문에, 머지 않은 시기에 복지교통카드 또한 전국호환으로 도입되어 마이비 카드 규격의 복지교통카드가 최종적으로 발급이 중단될 것으로 보인다. === 지역별 특색 === 마이비는 지역별로 카드가 다르게 나와서 각 지역별로 특색이 있었다. ~~요즘은 닥치고 디지털부산카드로 대동단결이지만~~[* 악세서리 카드가 이런 경향이 강하다. 소매점에서 판매하면서 지역 정보를 입력하면 그만이기 때문.] * 신용카드 크기의 교통카드의 경우 지역마다 디자인이 다르다. * 빛고을카드([[광주광역시]] 교통카드)는 [[광주 도시철도]]에 대학생 요금이 따로 정해져 있어서 대학생용 카드를 발급한 적이 있다. 다만, 2016년 8월 1일 대학생 할인제도가 폐지되었으며, 다른 마이비카드와 다르게 [[서울특별시 시내버스]]와 [[수도권 전철]]에서는 오랫동안 이용이 불가능하였다가 2017년 기준으로 서울 및 수도권 전철에서도 이용이 가능하다.[* 정확한 호환시점은 확인이 어려우나 [[한페이]]가 수도권에서 호환될 때쯤 (2016년 1월) 빛고을카드도 함께 호환된 것으로 보인다.] 서울 호환 전에는 서울시메트로 9호선과 인천 & 경기도 시내버스에서만 이용이 가능했다. * 카드 종류를 구별해서 무료환승을 막아 버릴 수도 있는데, 부산-양산-김해 통합 환승제 도입 이전의 [[부산 도시철도|부산 지하철]]/[[부산광역시 시내버스|시내버스]]와 [[김해시 시내버스]]는 각각 디지털부산카드와 김해포유카드로만 무료환승이 가능했으며, 이에 대한 보복 조치로 창원시는 창원과 김해를 오가는 [[창원시 시내버스]]의 김해포유카드 무료환승을 막아 버렸다. 이 문제로 창원과 부산, 김해가 협의 중이기는 한데 언제쯤 성사될 지 알 수 없다. * 경남·부산·광주 쪽 [[맥도날드]]와 전국 [[롯데리아]]에서 사용할 수 있었다. === 청소년카드 정책 === 할인 카드를 인터넷에 등록하여 사용하는 [[티머니]]와 달리, 마이비는 대학생(빛고을카드 한정)·청소년용 카드를 충전소에서 구입할 때 졸업 연도를 등록해서 사용하는 방식이다. 이 방식 때문에 성인용에도 졸업연도를 입력하면 청소년 카드처럼 작동한다. 2010년에 고1 학생이 충전소에서 카드를 등록했다면, 2013년 3월부터 성인용 요금이 나간다. 타 시도에서 사용하던 청소년용 카드가 기간만료 된 경우, [[광주 도시철도]]에서 '만료된 카드'라면서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 당황하지 말고 역무소에 가져다주면 대학생용 혹은 일반용으로 변경해 준다. [[대경교통카드]]도 비슷한 일이 일어나긴 했지만, 그건 지하철에서 충전시 한정이었다. [[대경교통카드]]와 달리 처음으로 청소년 카드로 나온 경우 유효기간이 생일이 아니라 제조일로 따지기 때문에 [[캐시비]] 전환에 적극적인 부산에서는 마이비와 [[하나로카드]]의 유효기간을 확인하라는 안내문이 붙여져 있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부산은행]] 등에서 확인하고 조정하면 된다는 안내를 게시한 바가 있었다. == 단종(?) == 발급사인 마이비가 [[하나로카드]]를 인수했으나, 마이비가 [[2009년]] [[9월 28일]] '''[[롯데그룹]]'''에 인수되어 [[롯데그룹]]의 계열사였다. 그리고 [[롯데그룹]]은 1년 후 [[이비카드]]도 먹어 버렸다. [[이비카드]]와의 합병이 정식으로 승인되었으나 [[교통카드]] 정산 협약이 복잡하게 얽혀 있어서 실제로 합병하지는 않을 거라고 언급했다.[[http://www.dt.co.kr/contents.html?article_no=2010072602011457691001|#]] 일단 [[롯데그룹]]은 브랜드와 [[교통카드]] 베이스부터 통일하기로 결정하고, [[이비카드]]의 표준형 카드인 티모아 기반으로 통일 및 리뉴얼하여 3개사 통합 [[교통카드/선불|선불교통카드]] 브랜드인 [[캐시비]]를 2010년 12월에 런칭했다. [[2012년]] 4월, [[롯데그룹]]은 기존 [[MIFARE]] 마이비와 [[하나로카드]]를 단종시키고 티모아를 베이스로 [[L.포인트|롯데멤버스]]를 장착하여 리뉴얼한 [[캐시비]]로 통일해 버렸다! 옛 명성 때문인지 [[캐시비]]에 [[하나로카드]] 로고와 마이비 로고를 박아서 원래 [[캐시비]]보다 비싸게(...) 3,000원에 팔고 있다.(그런데 교환 행사도 했다.) 카드형 마이비가 일찌감치 단종된 탓에 마이비 지역에서 카드형 마이비카드를 달라 그러면 죄다 마이비 로고가 박힌 [[캐시비]]를 주는 것을 알 수 있다. [[부산 도시철도]]의 자판기에서는 [[하나로카드]] 로고가 박힌 [[캐시비]]를 2,000원에 팔고 있다. 일반형 카드 기준으로 4자리 번호들 중 1040번 다음으로 1210번/1310번(1310번은 주로 [[하나로카드]])으로 시작하면 똑같은 [[이비카드]]의 칩이 달려도 발행지는 수도권이 아닌 이외 지역에서 발행된 [[캐시비]] 카드며, 해당 카드에는 마이비 고객센터의 전화번호가 찍혀 나온다. 반면 수도권 지역 [[캐시비]] 발행분은 1040번 다음으로 0010번/1110번[* 1110번은 초기형 [[캐시비]] 카드에 달린 번호이며, 요즘에 발행되는 수도권 발행 [[캐시비]]는 거의 0010번으로 찍혀 나온다. 여담으로 이 부분은 발매사와 함께 권종을 나타내는 부분으로, 0010은 일반용, 0040은 청소년용, 0020은 어린이용이다.(마이비/하나로 발매분도 1210, 1240, 1220, 1310, 1340, 1320으로 동일). 2014년 현재 1110번은 주로 모바일 [[캐시비]]에 사용되고 있다. 물론 지역을 수도권으로 세팅해야 나온다.]으로 시작하는 것이며, 이 카드에는 [[이비카드]]의 고객센터 전화번호가 찍혀 나온다. [[2013년]] 발매분부터는 발행사와 상관없이 [[이비카드]]와 마이비 고객센터 번호가 모두 적혀 있으며, [[2014년]]에는 아예 [[부산광역시]]에 두 회사의 통합 콜센터를 차렸다. '''마이비 로고'''가 박힌 [[캐시비]]에는 문의전화가 [[캐시비]] 고객센터가 아닌 '''마이비 고객센터''' 전화번호가 적혀 있어 낚이기 쉽다. 낚이지 말자. [[이비카드]]와 [[캐시비]]는 사실상 같은 카드(티모아 이후)지만, 마이비와 [[캐시비]]는 '''전혀''' 다른 카드이니 조심해야 한다. [[2013년]] [[7월 19일]]부터 [[광주광역시]]에서 [[캐시비]]를 이용할 수 있게 됐다. [[2014년]]경에는 마이비 미니카드처럼 [[캐시비]] 세븐 미니카드가 나왔다. 미니카드형 [[캐시비]]는 [[세븐일레븐/한국|세븐일레븐]]에서만 구할 수 있다. [[캐시비]](2,500원)보다 비싸긴 하지만 기존 [[하나로카드]](3,000원)와는 가격이 동일하고, 마이비(4,000원)보단 싸졌으니 이거야말로 [[조삼모사]]가 아닐 수 없다(...) 2013년에 카드값을 500원 내렸다. 물론 원피스 [[캐시비]]같이 좀 스페셜한 것은 가격이 4,000원이다. [[캐시비]]로 통일하고자 하는 의지가 강한지 [[롯데그룹]]에서는 마이비 로고가 찍힌 [[캐시비]]로 무료 교환 행사까지 했다. 2012년 말까지 진행했고 마이비, [[하나로카드]], [[이비카드]](카드번호에 E자가 달린 구형)가 그 대상이었으며, 세븐일레븐에서 해 줬다. 잔액 이전도 해 준다. 하지만 티모아를 기반으로 하는 [[캐시비]]로 교체되면서, 기존 [[MIFARE]] 기반의 마이비 카드는 일부 지역에서 역사 속으로 사라지기 시작했다. [[세종특별자치시]]의 경우 2013년 [[티머니]]로 시스템을 전면 교체하는 동시에 시 차원에서는 [[MIFARE]] [[교통카드]] 사용 금지 조치를 내리면서, [[이비카드]]의 티모아 기반 [[캐시비]]의 호환은 허용했으나 구형 마이비 카드의 사용이 완전히 금지됐다. 마찬가지의 이유로 [[광주광역시]]에서도 [[한페이]] 교환에 열을 올리는 것이다.(그런데 결국 열화에 못 이겨 [[캐시비]]를 허용했다.) 이유는 [[MIFARE]]가 복제당하기 쉽다는 안전성 위험이 있기 때문이다.[* 복제는 둘째치고 RF 쓰기 기계로 잔액을 마음대로 조작할 수 있는 등 보안이 매우 허술하다. 한 지상파 뉴스에서는 마이비와 같은 사양인 구형 [[U-PASS|유패스]]의 잔액을 0원에서 50만원으로 조작한 뒤 아무 문제 없이 전철에서 찍는 [[충공깽]]스러운 상황을 직접 시연해 보였다(...) [[대경교통카드]]도 같은 이유로 최대 충전액이 10만원으로 제한됐다.] [[2014년]] 11월 [[우리은행]]에서 [[U-PASS|유패스]]의 [[현금 자동 입출금기|ATM]] 충전을 삭제할 무렵, [[롯데ATM]]에서 [[MIFARE]] 마이비카드와 [[하나로카드]]의 충전이 완전히 삭제됐다. 대신 그 슬롯에는 [[한페이]]의 충전이 추가되었고, 1년 7개월 후에는 [[레일플러스]]의 충전이 추가됐다. [[경산시 시내버스]] 회사 중 [[2002년]]에 [[경산버스]]만 개통하였던 [[경상북도]] 최초의 마이비 [[교통카드]][* [[경상북도]] 최초의 [[교통카드]]는 [[대화교통(경산)|대화교통]]이 [[대경교통카드]]를 일찌감치 받아들인 것이다.]인 신나리카드는 2011년 이후 안내방송 시스템을 개편하면서 KEBT제 단말기가 철거되어 사용이 전면 중지되었다. 대신 [[캐시비]]는 [[2011년]] [[8월 16일]]부터 [[대구광역시]]와 동시에 호환하고 있으며, 삼원FA 단말기 자체에 내장된 안내방송 장치로 바꿨다. 사실 [[캐시비]]가 통용되기 전까지 마이비는 [[대구광역시 시내버스]]와는 애증의 관계였는데, 이유는 [[경산버스]] 때문이다. 자세한 것은 [[경산버스]] 항목 참조. 그런데 [[2013년]] 4월경부터 [[대구광역시]]에서 급증한 [[캐시비]] 가판대에 설치되어 있는 [[캐시비]] 충전기에는 '''마이비 로고가 찍혀서 나온다.'''[* [[서울특별시]]를 제외한 호환 사용 지역에서의 캐시비는 마이비가 관할한다. 그리고 [[경산버스]]가 한때 마이비를 이용한 것과, 대구에서 [[캐시비]] 취급 가판대가 갑자기 늘어난 건 수수료 때문이다.] == 마이비 교통카드 통용 중단 == 2023년 10월 1일부로 교통카드 번호가 10자리이면서 마이비 로고만 있는[* 캐시비 로고 있는 마이비 교통카드는 캐시비 규격을 사용한다.] 교통카드에 대한 충전, 사용이 모두 중단된다고 하였다. 단, 부산광역시 시민 대상으로 부산은행에서 발급하는 어르신 교통카드, 복지교통카드[* 2023년 4월부터 전국호환 복지교통카드 사업 시행으로 장애인 복지카드에 교통카드 기능이 들어가며, 기존에 부산은행에서 대행 발급한 마이비 복지교통카드는 2024년까지 사용가능하다.] 교통카드 기능와 양산시 시민을 대상으로 행정복지센터에서 발급하는 어르신 교통카드, 복지교통카드, --국가유공자 교통카드--[* 국가유공자 교통복지카드 전국호환 사업 시행으로 2023년 1월부터 발급 중단, 동년 4월부터 무임 적용 전면 중단]는 사용 및 충전 중단 없이 그대로 사용가능하다. 2023년 7월 13일부터 2023년 9월 30일까지 1인 두 장까지 불량 카드에 대해서는 잔액 환불만 가능하며, 사용 가능한 마이비카드에 대해서는 잔액 환불과 동시에 로카모빌리티 로카M 카드로 무료로 교환이 가능할 수 있었다.[[https://www.mybi.co.kr/mb/service/eventDetail.do?eventMngNo=194|링크]] 전술 된 바와 같이 교통복지카드는 2023년 10월 이후에도 계속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로카M 카드로 교환할 수 없었다. 2023년 10월 이후, 마이비 카드의 대중교통 사용 및 충전이 전면 중단된다고 알려진 것과는 달리 편의점에서의 구. 마이비 교통카드 충전만 중단되었다. 마이비 카드와 디지털 부산카드[* 2023년 신규 설치된 QR 승차권 통합 발매기는 불가능]의 충전은 [[부산교통공사]] 관할 도시철도 역에 있는 교통카드 보충기에서, 디지털 부산카드의 충전은 부산은행 ATM에서만 할 수 있다. 문제는 마이비카드 사용 중단 공지 당시 복지교통카드 사용 및 충전 종료 대상에서 제외되어 그대로 가능하다고 했었는데, 편의점에서의 충전 종료는 공지한 적이 없어서,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station&no=70649&s_type=search_subject_memo&s_keyword=.EB.B3.B5.EC.A7.80&page=1|편의점에서 어르신 교통카드 충전이 되지 않는다는 이유로 항의를 받은 사례가 있다.]] 어르신 교통카드의 충전 불편 문제는 2023년 연말부터 단계적으로 신형 어르신 교통카드의 베포를 통해 해결 할 것이라는 입장이며, 보급이 상당 수 이뤄지기 전까지는 한동안 어르신 교통카드 사용에 불편이 따를 것으로 보인다. 2023년 11월 현재 마이비 카드의 편의점 충전을 제외한 충전소(지하철 역사 등) 충전 가능하며 지하철, 버스 모두 정상 이용 가능하다. == 지배구조 == 2022년 12월 기준. || 주주명 || 지분율 ||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2]]]] [[이동의즐거움]] || 66.12%||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2]]]] [[부산은행]] || 7.31%||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2]]]] [[광주방송]] || 5.22%||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2]]]] 부산광역시버스운송사업조합 || 5.01%||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2]]]] [[롯데카드]] || 4.80%||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2]]]] [[롯데호텔 부산|부산롯데호텔]] || 3.90%||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2]]]] [[국민은행]] 외 || 7.64%|| [[분류:교통카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