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넷플릭스|{{{#fff Netflix}}}]] [[넷플릭스 오리지널 일본 드라마|{{{#fff 시리즈}}}]]'''[br] {{{#fff {{{+1 '''마이코네 행복한 밥상''' }}} (2023)}}}[br]{{{#fff 舞妓さんちのまかないさん}}}[br]{{{#fff The Makanai: Cooking for the Maiko House}}} || ||<-3>{{{#!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마이코네 행복한 밥상.jpg|width=100%]]}}}|| ||<-2> '''장르''' ||[[요리물|요리]] || ||<-2> '''공개일''' ||[[2023년]] [[1월 12일]] || ||<-2> '''공개 회차''' ||9부작 || ||<-2> '''러닝 타임''' ||390분 || ||<-2> '''제작사''' ||STORY 주식회사, 주식회사분복 || ||<|7> '''제작진''' || '''연출''' ||[[고레에다 히로카즈]] || || '''각본''' ||[[고레에다 히로카즈]], 스나다 마미, 츠노 메구미, 오쿠야마 히로시, 사토 타쿠 || || '''PD''' ||야마다 카네지, 카시마 아이, 키타하라 에이지 || || '''촬영''' ||곤도 류토 || || '''조명''' ||미노시타 에이지 || || '''미술''' ||타네다 요헤이 || || '''음악''' ||[[칸노 요코]] || ||<-2> '''원작''' ||코야마 아이코 《[[마이코네 행복한 밥상]]》 || ||<-2> '''출연''' ||[[모리 나나]], [[데구치 나츠키]], 마키타 아쥬, [[마츠자카 케이코]], [[하시모토 아이]], [[마츠오카 마유]], [[토키와 타카코]] || ||<-2> '''촬영 기간''' || || ||<-2> '''독점 스트리밍''' ||[include(틀:넷플릭스 표시)] [[https://www.netflix.com/kr/title/81325501|▶]] || ||<-2> [[영상물 등급 제도/대한민국|{{{#fff '''시청 등급'''}}}]] ||[[대한민국의 텔레비전 등급 제도#관련 규정|[[파일:12세 이상 시청가 아이콘.svg|width=20]] {{{#ffffff 12세 이상 시청가}}}]] || ||<-2> '''링크''' ||[[https://www.instagram.com/the_makanai/|[[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0]]]] || [목차] [clearfix] == 개요 == 코야마 아이코 작가의 만화 《[[마이코네 행복한 밥상]]》를 원작으로 하는 일본 드라마. == 공개 정보 == 2022년 1월 7일 [[넷플릭스]]에서 실사 드라마 제작 및 주요 캐스팅이 발표되었다.[[https://www.instagram.com/p/CYaHTm8oSDj/|#]] [[고레에다 히로카즈]]가 연출 및 각본을 맡았다. [[https://mdpr.jp/news/detail/2946959|#]] [[모리 나나]]가 키요 역, 데구치 나츠키가 스미레 역을 맡는다. 이외로 마키타 아쥬, [[마츠자카 케이코]], [[하시모토 아이]], [[마츠오카 마유]], [[토키와 타카코]]가 캐스팅되었다. === 예고편 === ||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VN70ol8LlSg)]}}}|| || '''{{{#fff 오프닝 영상}}}''' || ||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iMYRBFYncnk)]}}}|| || '''{{{#fff 공식 예고편}}}''' || === 포스터 ===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마이코네 행복한 밥상.jpg|width=100%]]}}} || || '''{{{#ffffff 포스터}}}''' || [[파일:마이코네 행복한 밥상 포스터 2.jpg|width=100%]] == 시놉시스 == >꿈을 좇아 [[마이코]][* 견습 [[게이샤]]]가 되기 위해 함께 [[교토]]에 온 두 친구. 떼려야 뗄 수 없는 단짝이지만, 한 지붕 아래 살면서 서로 다른 길을 걷기 시작한다. == 등장인물 == * 노즈키 키요 - [[모리 나나]] : 주인공. [[아오모리현]]에서 할머니와 살고 있다. 중학생 시절, [[교토]]로 [[수학여행]]을 왔다가 모모코에게 반하여 [[마이코]]가 되고자 마음먹는다. 전통무용에 전혀 소질이 없어서 방출되려던 찰나, 뛰어난 [[요리]] 솜씨로 사쿠의 [[요리사]]가 된다. 천성이 착하고, 마음 속에는 오직 요리와 스미레밖에 없다. 잠버릇이 나빠서 복대를 차고 잔다. * 헤라이 스미레(모모하나) - [[데구치 나츠키]] : 주인공. 키요의 소꿉친구. 수학여행때 모모코를 보고 마이코가 되고싶어 키요에게 같이 마이코가 되자고 권유했다. 부모님의 반대가 있었지만 마이코가 되고자하는 마음이 강해 교토로 오게 되었다. 무용에 탁월한 재능이 있을 뿐 아니라 노력도 게을리하지 않아, 스승에게 “백년에 한 번 나올 인재”라는 소리를 들으며 마지막편에서 마이코로 데뷔한다. * 히카와 료코 - 마키타 아쥬 : 드라마 오리지널 캐릭터로 아즈사의 딸. 삐딱하고 냉소적인 성격으로 시작하지만, 키요에게 감화되어 점차 마음의 문을 연다. 어머니를 아즈사라고 부르다가 극 후반부에서는 마침내 엄마라고 부르게 되고, 타나베에게 엄마와 결혼해달라고 부탁한다. * 모모코 - [[하시모토 아이]] : [[교토]] 제일의 게이코(게이샤). 허구한 날 술에 쩔어 살지만, 무용에 있어서는 엄격하고 탁월하다. 게이코를 천직으로 생각하고 있지만, '바깥 세상'으로 나가본 요시노를 부러워하기도 한다. 스미레의 게이코 언니로서 스미레를 이끈다. * 요시노 - [[마츠오카 마유]] : [[결혼]]하여 은퇴했다가 잠정 [[이혼]]하고 돌아온 게이코. 차갑고 엄격한 모모코와 달리 유쾌하고 헐렁헐렁하다. 게이코로 다시 활동하는 모습은 극중에서 그려지지 않지만, 사쿠 식구들에게 분위기 메이커 겸 이런저런 문제해결사가 되어준다. 모모코의 라이벌이었다고 주장하지만, 실은 상대도 되지 못하였다고. * 치요 - [[마츠자카 케이코]] : 오키야 사쿠의 1대 주인이자 아즈사의 [[게이샤]] 어머니로, 현재는 같이 오키야를 운영하고 있다. [[현빈]]의 열혈팬이다. [[가부키]] 배우 야주로의 첫사랑. * 아즈사 - [[토키와 타카코]] : 게이샤 어머니인 치요와 함께 오키야 사쿠를 운영하고 있는 2대 주인. 본명은 히카와 아즈사로, 현역 시절 예명은 히로노였다. 료코를 낳고 게이코에서 은퇴했지만, 남편과는 결혼하지 않았는지 이혼했는지 아무튼 바로 헤어졌다(남편은 새 가정을 꾸려서 잘 살고 있다. 료코는 먼발치에서 아버지를 보기도 한다). 원작과 달리 신식문명에 어둡고 허술한 성격에, 가끔씩 어휘가 꼬이는 개그 캐릭터. * 츠루코마 - 후쿠치 모모코 : 사쿠의 선배 마이코 3인방 중 [[안경]]을 착용하고 있는 마이코. [[나가사키현]] 출신. 성대모사를 곧잘하지만 솜씨는 좋지 않다. 9살 아래 동생이 있다. * 키쿠노 - 와카야나기 코토코 : 마이코 3인방 중 [[미야기현]] [[센다이시]] 출신. 나름 유식하며, 코토노와 곧잘 티격태격한다. * 코토노 - 미나미 코토나: 마이코 3인방 중 막내로 [[군마현]] 출신. 키쿠노와 투샷으로 잡히는 경우가 많은데, 지식이 부족해 종종 키쿠노에게 면박당하곤 한다. 뚱뚱한 [[택배기사]]를 좋아한다. * 나카노와타리 켄타 - 죠 카이리 : 키요와 스미레의 소꿉친구. 작중 행적은 원작과 대동소이하다. * 타케시 - 키타무라 유키야 : 기온의 오토코시로, 본업 외에 오키야의 여러 힘쓰는 일도 도와준다. * 히로시 - 스즈키 료가 : 타케시의 아들. 오토코시로서 실력은 아직 아버지에 못 미치는 듯. * 렌 - [[릴리 프랭키]] : 사쿠의 [[바텐더]]로, 젊은 시절 [[요리사]]로써 수련하다 모종의 사유로 그만두고 바텐더로 전직했다. 아즈사를 짝사랑하고 있지만 쉬이 드러내지 않는다. 료코와 친하다. * 사치코 : 키요 이전에 오키야의 식사를 책임지던 [[요리사]]로, 원작과 동일하게 허리를 다쳐서 은퇴한다. 남편은 아직 정년퇴직 전이고, [[도쿄]]의 대학에 다니는 아들이 있다고 한다. * 세이노 - 오미 토시노리 : 중절모와 카메라가 트레이드 마크인 초로의 남성으로, 사쿠의 단골 손님이자 기온에 출입하는 사진사. [[디지털 카메라]]와 플래시를 혐오하며, 필름 카메라와 노출조절로 [[게이코]]ㆍ[[마이코]]들의 사진을 찍는다. 모모코는 세이노를 [[변태]]라고 생각하지만, 실제 변태는 아니고 팬으로서 게이코ㆍ마이코들을 찍는 듯. 특히 츠루코마의 팬으로, 츠루코마가 떠날 때 그간의 사진들을 모은 사진첩을 선물한다. * 타나베 - [[이우라 아라타]] : 온화한 인상의 중년 남성으로, 사쿠의 단골 손님. 연회도 자주 요청하는 재력가로, 본인 사무소를 가진 개업 건축사. 대학의 [[교수]]직도 겸임하고 있다.[* 작중 등장하는 교정 풍경을 보면 그가 출강하는 학교는 [[교토공예섬유대학]]으로, 국립 4년제 명문 [[공과대학]]이다.] 아즈사 어머님과 연애 중. * 후루타치 - 후루타치 칸지 (배우 자신의 이름을 배역에 그대로 썼다) : 돋보기 안경과 수염이 특징인 인자한 초로의 남성으로 사쿠의 단골 손님. 7대째 가업인 포목점을 운영한다고 한다. 여담으로 본인은 [[데릴사위]]라고. * 이와이 - 모리사키 윈 : 타나베의 건축 사무소에 근무하는 젊은 건축사로, 모모코와 연애 중. 작중 공모전에서 결선까지 갔다는 언급이 있는 걸 보면 촉망받는 실력의 인재인 듯. [[도쿄]]에서 직장을 얻게 되어 [[교토]]를 떠나게 되는데, 집에서의 모모코만 보고 모모코가 게이코 일을 싫어한다고 여겨 함께 떠나자고 말했다가 결국 헤어지게 된다. 게이코가 은퇴한 후에도 일반인으로서 살아가기 어려움을 암시하는 에피소드다. * 유미 - 미우라 리나 : 옥상에서 종종 만나는 이웃 숙소의 연습생. 히로시를 좋아하는 듯하다. 비슷한 시기에 들어온 스미레가 [[마이코]]로 데뷔할 때까지 아직 머리도 올리지 못한 것으로 보아 그다지 재능은 없어보이지만, 주인공들에게 다정한 친구다. * 리코 - 나루미 카논 : 새로 들어온 연습생. 운동부 출신이라 씩씩하다. == 음악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VqvlsERbRCM, width=100%)]}}} || || '''[[칸노 요코|{{{#ffffff Kanno Yoko}}}]] - End Theme of "The Makanai" (feat. Kiyo)''' || == 에피소드 목록 == ||
<#000> '''{{{#white 회차}}}''' ||<#000> '''{{{#white 제목}}}''' ||<#000> '''{{{#white 러닝 타임}}}''' ||<#000> '''{{{#white 비고}}}''' || || 1 || '''변화''' || 38분 || || ||<-4> 고향을 떠나 [[교토]]에 온 키요와 스미레. 둘은 이곳에서 전통 예능인인 [[마이코]]가 되기 위한 수련생 생활을 시작한다. || || 2 || '''오타후쿠''' || 40분 || || ||<-4> 안타까운 통보를 받게 된 키요. 하지만 얼마 뒤, [[배달 음식]]에 질린 [[마이코]] 언니들을 보며 진짜 자기 적성에 맞는 일을 발견한다. || || 3 || '''금기''' || 45분 || || ||<-4> 은퇴한 어느 [[마이코]]가 불쑥 다시 돌아온다. 키요는 고향에서 온 묵직한 [[소포]]를 받고 기뻐한다. || || 4 || '''소원''' || 44분 || || ||<-4> 휴일을 얻은 키요와 스미레는 시내를 구경하고 [[신사(신토)|신사]]에서 소원도 빈다. 마이코 숙소에 뜻밖의 손님이 찾아오자 스미레는 크게 당황한다. || || 5 || '''선택''' || 44분 || || ||<-4> 다들 연애 얘기로 이야기꽃을 피울 때도 키요의 눈에는 오로지 [[요리]]만 보인다. 스미레는 기쁜 소식을 듣고, 이를 보며 료코는 감정을 다스리기 위해 노력한다. || || 6 || '''짝사랑''' || 45분 || || ||<-4> 지역 상점가에서 주최하는 추첨 행사에서 키요가 1등 상품을 노린다. 모모코는 키요가 만든 크림스튜 한 그릇을 먹어 본다. || || 7 || '''병''' || 44분 || || ||<-4> 게이코([[게이샤]])와 [[마이코]]가 모여 연례행사와 함께 새해를 시작한다. 입맛을 잃은 스미레를 위해 키요가 특효약을 요리한다. || || 8 || '''축제''' || 44분 || || ||<-4> 해마다 열리는 분장 이벤트에서 모모코가 중요한 역할을 맡는다. 스미레는 모모코를 따라 고급 식당의 동반 식사 자리에 함께 나간다. || || 9 || '''출발''' || 46분 || || ||<-4> 계속 빛을 발하는 스미레를 보며, 츠루코마는 자신의 진로를 다시 생각해 본다. 키요는 지금까지 만든 것 중 가장 중요한 식사를 준비한다. || == 평가 == [include(틀:평가/로튼 토마토(드라마), code=<드라마 코드>, tomato=<토마토미터>, popcorn=<점수)] [include(틀:평가/IMDb, code=<드라마 코드>, user=<평점>)]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드라마), code=<드라마 코드>, critic=<메타스코어>, user=<평점>)] [include(틀:평가/레터박스, code=<드라마 코드>, user=<별점>)] [include(틀:평가/알로시네(드라마),code=<드라마 코드>, presse=<전문가 평점>, spectateurs=<관람객 평점>)] [include(틀:평가/키노포이스크(드라마), code=<드라마 코드>, presse=, spectateurs=<관람객 평점>)] [include(틀:평가/Filmarks(드라마), code=<드라마 코드>, user=<별점>)] [include(틀:평가/엠타임, code=<드라마 코드>, user=<별점>)] [include(틀:평가/도우반, code=<드라마 코드>, user=<별점>)] [include(틀:평가/야후! 키모, code=<드라마 코드>, user=<별점>)] [include(틀:평가/키노라이츠, code=<드라마 코드>, light=<지수>)] [include(틀:평가/왓챠, code=<드라마 코드>, user=<별점>)] [include(틀:평가/TMDB(드라마), code=<드라마 코드>, user=<점수>)] [include(틀:평가/무비파일럿(드라마), code=<드라마 코드>, user=<평점>)] [include(틀:평가/MyDramaList, code=<드라마 코드>, user=<평점>)] == 원작과의 차이점 == * 모모코는 여러 남자들이 집에 드나들었던 원작과 달리, 평범하게 젊은 건축사와 연애하는 것으로 설정되었다. 원작의 '[[좀비]]가 나오는 외국 드라마' 부분이 반영되었는지 공포물, 정확히는 좀비물 마니아로 애인과 [[살아있는 시체들의 밤]]을 보러 영화관에 가는 장면이 나온다. 집에도 온갖 좀비 관련 소품이 많으며, 좀비물의 거장 [[조지 A. 로메로]] 감독을 매우 존경한다. [[세츠분]]마다 열리는 가장 행사인 오바케 때도 후배 마이코들을 대동해서 좀비물 무대를 기획하기도 했다. * 오키야를 어머님이 혼자 운영했던 원작과 달리, 드라마에서는 어머님의 스승인 선대의 '치요' 어머님과 원작의 이치 어머님 포지션의 '아즈사' 어머님의 2대 체제로 운영한다. * 오키야의 아즈사 어머님에게 료코라는 고등학생 딸이 있다. 현역 [[게이샤]]였던 시절, 료코를 낳으면서 은퇴하고 지금의 오키야를 맡게 된 모양. 해당 설정 덕분에 오키야에 키요 외에 [[마이코]]가 아닌 또래 소녀가 1명 더 살게 되었다. * 아즈사 어머님은 연애 중이라는 설정으로, 상대는 모모코의 애인이 재직 중인 건축사 사무소의 타나베라는 대표 건축사. * 치요 어머님은 [[현빈]]의 팬으로, 작중에서 [[숨덕|오키야의 한쪽 구석에 브로마이드와 포스터를 붙여놓은 벽을 발로 가려놓고 몰래 [[덕질]]을 하는 모습]]이 드러난다. 혼자 있을 때는 물론 오키야의 대소사를 챙길 때도 포스터에 인사를 하며 말을 거는 등(…) 푹 빠진 모습을 보이는데, [[마츠자카 케이코]]가 [[한일혼혈]]이라는 점을 의식해서 집어넣은 설정으로 보인다. * 오리지널 캐릭터로 [[결혼]]하고 은퇴했다가 오키야로 돌아왔다는 설정의 요시노라는 모모코의 동기 게이샤가 추가되었다. 본인은 [[이혼]]하고 돌아왔다고 말했지만, 나중에 남편이 찾아와서 자초지종을 설명하게 되는데, 알고 보니 고부갈등으로 인해 남편이 출장간 사이에 쪽지와 결혼반지를 남겨 두고 가출한 거였다고(…) * 드라마에서는 오키야의 이름이 '사쿠'로 설정되었다. == 논란 == [[마이코]]들의 일상과 현실을 지나치게 미화시켰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말이 좋아 [[마이코]]지 사실상 [[화류계]] 종사자인데 고등학생 나이의 소녀들이며, 일단 주인공부터가 '''16세 [[미성년자]]'''다. [[일본]]에서도 실제 마이코 출신이 [[주간문춘]] 인터뷰와 SNS를 통해 "드라마 속에 그려진 친절한 업계 분위기는 어디서도 찾아볼 수 없으며, 미성년자임에도 '어머니(오카상)'라고 불리는 요정의 여주인으로부터 야마자키 18년 빨리 마시기 대회(…) 같은 엽기적인 술자리나 손님과의 [[혼욕]]을 강요당했다"고 증언했다. [[https://twitter.com/Translate_Ghost/status/1541292561343447040?s=20&t=jGTahjgiGIGFWX-1QrfRVw|#인터뷰 번역]] 해당 인터뷰에 따르면 [[성추행]]ㆍ[[성폭행]]에 무방비로 노출되어 있으며, 장시간 손님과 보내야 하기 때문에 요정(오키야)은 돈은 많이 벌 수 있지만, 마이코에게 직접 돈이 들어오지는 않는 구조라고 한다. 폭로 이후, 마이코의 모집과 파견을 맡는 '공익재단법인 [[교토]]전통기예진흥재단'은 고발에 대해 "그런 행위는 일절 없었다"며 "SNS에 게재된 사진도 사실확인이 되지 않는다"고 답변했다. 하지만 이런 문화 자체를 즐기는 사람들이 기업 임원 등 사회적 지위가 높은 손님들이 많기 때문에[* 작중에서도 연회를 요청하는 비용이 상당히 비싼 것으로 에둘러 언급된다. 꽤 규모가 큰 상공인인 후루하타 같은 그래도 돈깨나 있는 단골들이 "연회는 좀 버겁다"고 언급하기도 하고, 타나베는 연회를 자주 열지만 사업상 접대가 주 목적이며, 이 사람은 꽤 큰 규모의 사무소를 가진 개업 전문직이다. 즉 적어도 기업 대표급 정도는 되어야 연회를 열 경제력이 된다는 것.] 실태를 파악하는 것도 쉽지 않고, 요정들도 입단속을 강화하고 있다고 한다. 논란이 일자 연출과 각본을 맡은 [[고레에다 히로카즈]]는 자신의 공식 홈페이지에서 장문의 해명문을 공개했다. [[http://www.kore-eda.com/message/20230124.html|#]] 이 글을 읽어보면, 고레에다 감독은 수년에 걸친 조사 끝에 '[[마이코]]들의 삶에 변화가 생겼다"고 보는 듯하다. 물론 화류계 외부에 있는 사람들은 진실을 알 수 없다. 아마 전통(혹은 구습)과 변화가 뒤섞인 상태일 수도 있고, 겉으로는 변화된 것 같아도 실은 그대로인 상태일 수도 있다. 스미레를 설득하러 온 아버지는 일반인의 시선으로 치요와 아즈사에게 "애당초 10대 소녀들에게 술 시중을 시키는 것부터가 문제"라고 따진다. 이에 대해 치요와 아즈사는 "시대가 변해서 마이코는 술 시중을 들지 않고, 기온에서는 손님을 가려받는 등 방식으로 마이코를 보호하며, 마이코ㆍ게이코들은 전통문화를 수련하고 이끌어가는 사람들"이라고 항변한다. 극 마지막에 아버지가 스미레의 마이코 데뷔를 인정하는 장면은 일견 변화에 대한 긍정으로도 보이지만, 극중에서 모모코가 "대단한 건 요시노지. 우리 같은 사람들이 바깥세상에서 살 수 있다니."라고 말하고, 료코가 요시노를 두고 "결국 돌아왔구나"라고 말하는 걸 보면, 아무리 전통기예를 수련하고 보호받는다 한들, 결국 [[마이코]]가 자라서 된 [[게이샤]]는 양지에서 살기 어려운 [[화류계]] 종사자일 뿐임을 암시한다. 아마도 고레에다 감독이 바라는 진정한 변화의 방향은, 술시중이나 [[성매매]] 따위가 배제된 "전통 디너쇼"의 무용 예술가인 듯하다. 이는 서구 여성 예술가들의 사회적 지위의 발전과도 맥락을 같이하는데, 20세기 초까지도 여성 [[오페라 가수]]나 [[발레리나]], [[연극배우]]의 삶은 성매매 혹은 성접대와 완전히 분리되지 못했다(심지어 최근까지도 [[하비 와인스틴]]의 경우에서 보듯, 여배우들의 지위는 불안정하다). 여성 예술가들이 성적인 문제를 벗어나 오로지 예술가로서 자리잡게 된 것은 20세기 후반의 일인데, 고레에다 감독은 현재의 [[화류계]]를 20세기 중반 같은 과도기로 보고 게이코들도 오늘날 서구 여성 무용가들처럼 예술가로서 자리매김하기를 원하는 것 같다. 하지만 극중에는 떠들썩하게 술에 취한 손님들도 등장하고, 동반식사 같은 기묘한 자리[* 어떻게 보면 1대1 [[팬미팅]]일 수도 있겠지만, 동반식사가 종종 있는 행사라는 걸 보면 꼭 그런 순수한 덕심의 자리인지는 의문이다.]도 등장함으로써 그 변화가 결코 쉽지 않음을 토로한다. 하긴 기온 거리에 양과자점 하나 들어오는 것조차 마을회의를 통과하지 못하는 정도니 오죽할까. 모모코가 남친에게 말한 "이왕이면 이 케케묵은 거리도 뜯어고치면 좋을 텐데"는 게이코ㆍ마이코 사회 전체를 두고 한 말일 수도 있다. == 기타 == * 모모코가 남친과 집에서 하는 게임은 [[닌텐도 스위치]]의 [[스플래툰]]. 의도했는지는 알 수 없지만, [[닌텐도]]는 이 드라마의 무대인 [[교토]]에 본사가 있다. * 모모코 역의 하시모토 아이와 요시노 역의 마츠오카 마유는 영화 [[리틀 포레스트(일본 영화)|리틀 포레스트]]에서 각각 주인공과 주인공 친구 역할로 출연했었다. * 배우들의 나이는 맡은 배역과는 조금씩 순서가 다르다. 게이코 하시모토 아이(모모코 역)는 1996년생, 마츠오카 마유(요시노 역)은 1995년생으로 비슷한 편인데, 마이코 중 고참인 후코치 모모코(츠루코마 역)는 1997년생으로 이들과 또래다. 주인공 모리 나나(키요 역)와 데구치 나츠키(스미레 역)는 2001년생으로 동갑이다. 극 중에서는 이들보다 1살 많은 료코 역의 마키타 아쥬는 실제로는 1살 어린 2002년생이다. 마이코 선배 와카야나기 코토코(키쿠노 역)는 더 어린 2003년생이고, 미나미 코토나(코토노 역)는 2006년생으로 막내다. * 6회에 등장하는, 치요의 첫사랑 [[가부키]] 배우 [[반도 야주로]]는 실제 가부키 배우 겸 TV/영화 배우로서 본명 그대로 등장했다. 함께 등장하는 작가 [[미타니 코키]]도 유명한 극작가이며, 그 역시 본명으로 나온다. 사쿠바에서 언급된 카마쿠라도노의 13인은 2022년에 방송된 [[오구리 슌]], 반도 야주로 주연의 [[NHK]] 드라마로 미타니 코키 본인의 작품이다. * 스미레의 아버지로 등장한 타카하시 카즈야는 배우로 잘 알려져 있지만, 19살이던 1988년 밴드 오토코구미의 베이시스트로 데뷔했다. * 고레에다 히로카즈 감독 작품에 출연했던 배우들이 종종 눈에 띈다. 바텐더 렌 역의 릴리 프랭키, 건축가 타나베 역의 이우라 아라타는 각각 4번의 작품에 출연했고, 요시노 역의 마츠오카 마유는 "어느 가족", 료코 역의 마키타 아쥬는 "세 번째 살인"에 출연한 바 있다. == 둘러보기 == [[분류:2023년 드라마]][[분류:넷플릭스 오리지널 일본 드라마]][[분류:요리 드라마]][[분류:일본 만화 원작 드라마]][[분류:게이샤]][[분류:고레에다 히로카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