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시카고 컵스/로스터)] ||
'''{{{#ffffff 마이크 터크먼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한화 이글스 외국인 선수)] ---- ||
'''{{{#ffffff 마이크 터크먼의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5> '''{{{#c4ced4 [[콜로라도 로키스|{{{#c4ced4 콜로라도 로키스}}}]] 등번호 3번}}}''' || || [[다니엘 데스칼소]][br](2015~2016) || {{{+1 →}}} || '''마이크 터크먼[br](2017~2018)''' || {{{+1 →}}} || [[돔 누네즈]][br](2021~2022) || ||<-5> '''{{{#ffffff [[뉴욕 양키스|{{{#ffffff 뉴욕 양키스}}}]] 등번호 39번}}}''' || || [[빌리 맥키니]][br](2018) || {{{+1 →}}} || '''{{{#132448 마이크 터크먼[br](2019~2021)}}}''' || {{{+1 →}}} || [[라이언 라마르]][br](2021) || ||<-5> '''{{{#fd5a1e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fd5a1e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 등번호 29번}}}''' || || [[제프 사마자]][br](2016~2020) || {{{+1 →}}} || '''마이크 터크먼[br](2021)''' || {{{+1 →}}} || [[루이스 브린슨]][br](2022) || ||<-5> '''{{{#fff [[한화 이글스|{{{#ffffff 한화 이글스}}}]] 등번호 12번}}}''' || || [[김건(야구선수)|김현민]][br](2021) || {{{+1 →}}} || '''터크먼[br](2022)''' || {{{+1 →}}} || [[브라이언 오그레디|오그레디]][br](2023~2023.5.30.) || ||<-5> '''{{{#ffffff [[시카고 컵스|{{{#ffffff 시카고 컵스}}}]] 등번호 40번}}}''' || || [[윌슨 콘트레라스]][br](2016~2022) || {{{+1 →}}} || '''마이크 터크먼[br](2023~)''' || {{{+1 →}}} || 현역 || }}}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컵크먼.jpg|width=100%]]}}} || ||<-2> '''시카고 컵스 No.40''' || ||<-2> '''{{{+2 마이크 터크먼}}}[br]Mike Tauchman''' || || '''본명''' ||마이클 로버트 터크먼[br]Michael Robert Tauchman || ||<|2> '''출생''' ||[[1990년]] [[12월 3일]] ([age(1990-12-03)]세) || ||[[일리노이|일리노이 주]] 팰러타인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 || '''학력''' ||윌리엄 프렘드 고등학교 - 브래들리 대학교 || || '''신체''' ||188cm / 95kg || || '''포지션''' ||[[외야수]][* 주 포지션은 [[중견수]]이며, [[우익수]] 포지션에선 실수가 많다.] || || '''투타''' ||[[좌투좌타]] || || '''프로입단''' ||[[2013 MLB 신인드래프트|2013년 드래프트]] 10라운드 (전체 289번, [[콜로라도 로키스|COL]]) || ||<|2> '''소속팀''' ||[[콜로라도 로키스]] (2017~2018)[br]'''[[뉴욕 양키스]] (2019~2021)'''[br][[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 (2021)[br]'''[[한화 이글스]] (2022)''''''[br][[시카고 컵스]] (2023~) '''|| ||[[아길라스 델 술리아]] (2016/17) || || '''계약''' ||1yr / $720,000 || || '''연봉''' ||2023 / $720,000 || || '''등장곡''' ||[[Emet Sound]] - Earth Defence Force[* 빠앙~!(후!) {딴따라따따따따단 딴따라따따따따다단(후!) 딴따라따따따따다단(터! 크! 먼!)}X2][* [[kt wiz]] [[장성우]]의 등장곡, [[SSG 랜더스]]의 볼넷 출루송, [[KIA 타이거즈]]의 삼진송으로도 쓰이는 곡이다.] || || '''응원가''' ||[[스토리셀러]] - [[https://youtu.be/V4Fg-we2VKo|올레]][*가사 터크먼~ (are you ready?) x2 Go Go 터크먼~ Go Go 터크먼~ Go Go 터크먼~ 워어워어 x4] || || '''가족''' ||아내 || || '''SNS''' ||[[https://www.instagram.com/mike_tauchman/|[[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0]]]] |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MTauchman, 크기=20)] || [목차] [clearfix] == 개요 == [[시카고 컵스]] 소속 외야수. == 선수 경력 == === [[콜로라도 로키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산동네터크맨.webp|width=100%]]}}} || 2013년 콜로라도 로키스의 지명을 받아 입단하였고 2016 시즌을 마치고 베네수엘라 윈터 리그인 [[아길라스 델 술리아]]에서 활약하고 콜로라도에서 2017년 메이저리그 무대에 데뷔했으나 2018년까지 별다른 활약을 펼치지 못했다. 비록 메이저리그에서는 부진했지만 마이너리그에서는 2시즌 연속으로 활약하며 잠재력을 보여주었고, 이후 트레이드로 팀을 옮기게 되었다. === [[뉴욕 양키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mike_tauchman.jpg|width=100%]]}}} || 2019년 좌완 유망주 투수인 [[필립 딜]]을 상대로 [[뉴욕 양키스]]로 트레이드되었다. 19시즌 주전 외야수들의 잦은 부상으로 인해 출장 기회를 받았다. 시즌 초에는 4월 중순에 4경기 3홈런을 기록하며 쏠쏠하게 활약하는가 했으나 이후 부진에 빠지면서 메이저와 마이너를 오갔고, 6월까진 2할이 간당간당한 상황이었으나.. 7월부터 갑자기 타격 포텐이 터지면서 월간 타율 4할을 기록하는 등 좋은 활약을 보이며 시즌 성적을 대폭 끌어올리면서 8월 15일까지 .295/.379/.565 12홈런 .944의 OPS를 기록, 주전으로 자리 잡았다. 8월 말부터는 타격감이 떨어지기 시작하다가 9월 초 부상으로 시즌을 일찍 마무리했지만, 최종적으로 .277/.361/.504 15홈런을 기록하며 [[카메론 메이빈]]과 함께 쏠쏠하게 활약해 주었다. 2020 시즌에는 부상 여파로 7월 말부터 경기를 치렀다. 8월 중순까지는 그럭저럭 활약해주는 듯 했으나 부상 여파인지 장타가 제대로 나오지 않았고, 8월 말부터는 타격감이 완전히 침체되며 부진한 모습으로 시즌을 마무리했다. 2021시즌 초반에도 14경기에서 2-2-2의 비율스텟을 기록하는 등 계속해서 부진한 모습을 보였기에 결국 트레이드로 팀을 떠나게 되었다. ===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터크먼샌프이적.jpg|width=100%]]}}} || 2021년 4월 27일 [[완디 페랄타]]와 추후지명선수[* 코너 캐논]를 상대로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로 트레이드되었다.[* 결과적으로 페랄타가 양키스의 전천후 불펜으로 자리 잡으며 양키스의 윈이 되었다.] ====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2021년|2021년]]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자이언츠터크먼.jpg|width=100%]]}}} || 4월 28일 샌프란시스코 데뷔전에서 4타수 3안타로 활약했다. 5월 2일 [[조 머스그로브]]를 상대로 결승 쓰리런을 날렸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om7ILFArLFM)]}}} || 5월 28일 [[로스앤젤레스 다저스]]와의 원정경기에서 9회말 [[알버트 푸홀스]]의 끝내기 홈런성 타구를 잡아내며 팀을 구해냈다.[* 이후 10회초에 [[켄리 잰슨]]을 상대로 [[라몬테 웨이드 주니어]]와 [[에반 롱고리아]]가 적시타로 3점을 뽑아내며 샌프란시스코가 승리를 거뒀는데, 이 호수비로 인해 결국 샌프란시스코가 시즌 107승, 다저스가 106승으로 다저스의 8년 연속 지구 우승을 저지하는 엄청난 나비효과를 불러왔다.] 6월 8일 텍사스전에서 [[조시 스보즈]]를 상대로 역전 만루포를 때려냈다. 6월 11일 워싱턴전 7회말 1사에서 [[후안 소토]]의 홈런을 훔쳐내며 [[앤서니 데스클라파니]]의 완봉승을 도왔다. 6월 23일 에인절스전에서 5타수 5삼진을 기록하다가 연장 13회초 [[주니오르 게라]]를 상대로 쐐기 쓰리런을 날렸다. 7월 24일 피츠버그전에서 경기가 9:2로 크게 기울자 9회초 __투수로 등판,__ 1이닝을 3피안타 1실점으로 막았다. 활약상만 적어놓아서 잘하는 것처럼 보이겠지만, OPS가 .569로 암걸리는 타격 성적을 보여주며 샌프에서도 반등에 실패. 결국 7월 29일 지명할당되었다. 시즌 종료 후 FA 자격을 얻었다. === [[한화 이글스]] === 2021년 12월 10일, [[에르난 페레즈]]와 결별한 [[한화 이글스]]가 새 외국인 타자로 터크먼을 영입했음이 발표되었다.[[https://sports.news.naver.com/news?oid=109&aid=0004524343|#]] 연봉 70만 달러, 계약금 30만 달러로 신규 외국인 계약금액 상한선인 100만 달러를 꽉 채웠다. 비하인드 스토리로는 터크먼이 시장에 나오자마자 2개의 일본 구단이 관심을 가졌고, 전에도 용병 2명을 일본팀에 뺏겨 쉽지 않을 것으로 예상하였다, 그래서 한화는 100만 달러 풀배팅하면서 상위 리그에 비해 훨씬 안정적인 출장기회를 어필하였다.[* 일본프로야구는 육성형 외국인 선수가 허용되는 등 영입 가능한 외국인 선수도 많고, 못하면 바로 2군행이며 MLB는 출전 기회를 잡기 더 어렵고, 마이너리그의 환경은 MLB에 비해 매우 열악하다.] 터크먼 역시 마이너 순환 생활에 심리적인 부담감을 느끼고 있어 마음이 이끌려 계약을 하였다고 한다. ==== [[/2022년|2022년]]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마이크 터크먼/2022년)]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텈맨 2022.jpg|width=100%]]}}}|| 주전 중견수로 전경기에 출전하였다. 득점권 상황에서 약하다는 비판이 있었지만 wRC+ 120대의 준수한 생산성과 훌륭한 내구성을 바탕으로한 꾸준한 기여로 WAR 5.00을 기록[* 스포츠투아이 기준. sWAR은 4.98로 리그 6위.]하며 리그 타자 중 전체 7위에 위치하였다. 리그 최약체인 [[한화 이글스]]의 타선에서 유일하게 wRC+ 120이상을 기록하며 타선을 이끌었고, 기여도면에 있어서도 투타 종합 1위에 위치하며 18년도 [[제라드 호잉]]의 위상을 뛰어넘은건 물론 지난 10년간 [[한화 이글스]]에서 활약한 모든 타자를 두고 보아도 다섯손가락에 들어가는 활약을 보였다.[* 이는 모든 경기 체제 환산시에도 부합한다.] 근 10년간 [[한화 이글스]]에 없다시피한 성적을 기록했으나 구단과 금액에서의 이견과 프런트에서 거포 유형의 선수를 원한다는 이유로 협상이 결렬되었고, 결국 터크먼은 다시 마이너리그로 복귀하였다.[* 이후 영입한 용병이 바로 [[브라이언 오그레디]]. 그러나 오그레디는 80타수 40삼진 타율 0.125에 WAR -0.85의 최악의 성적을 내고 방출되었고 오그레디를 데려온 [[손혁]] 단장을 비판하는 팬들이 늘어났다.] === [[시카고 컵스]] === 2023년 1월 컵스와 마이너 계약을 맺은 후, 5월 19일 부상자 명단에 등재된 [[코디 벨린저]]의 공백을 매우기 위해 빅리그로 콜업되었다.[* 한편, 이 날은 한화 이글스가 터크먼의 후임으로 데려온 외국인 타자 [[브라이언 오그레디]]가 두번째로 2군에 강등된 날이기도 했다.] 5월 24일 [[뉴욕 메츠]]와의 경기에 선발 출전하여 [[센가 코다이]]를 상대로 2안타 1타점을 기록하였다. 5월 28일 [[신시내티 레즈]]를 상대로 7번타자 중견수로 나와 4타수 3안타를 기록하며 메이저리그 복귀 후 2년만에 3안타 경기를 하였다. 이후로도 꾸준히 활약하며 6월부터는 아예 컵스의 주전급 중견수로 활약 중이다. '''메이저리그 팀의 어엿한 주전급 중견수'''를 비싸다고 버린 [[손혁]] 단장은 한화 팬들에게 크게 비난받는 중이다. 사실 한화 팬들도 터크먼이 홈런이 적고 득점권 상황에서 부진했다는 이유로 일부는 '''리그 상위권 sWar에 대한 무용론까지 펼치며 재계약을 반대'''하거나, 높은 금액을 부르면 잡지 말아야 한다는 의견이었기 때문에 팀에 있을 때는 실컷 폄하하다가 이제와서 그리워하는 모습이 어이없다는 의견이 대다수다.[* 물론 한화 이글스 갤러리, 엠엘비파크 등지의 일부 한화 팬들이 이랬던 과거를 격하게 부정하며 외면하는 경우도 있으며, 한동안 이런 만행을 비꼬기 위해 터크먼이 좋은 활약 중이면, '터크먼 버려라 -> 버림' 글이 다수 올라왔다. 반대로 터크먼이 부진하거나, 대체 용병 [[닉 윌리엄스|윌리엄스]]가 안타를 치면 역으로 '터크먼 버려라 -> 잘버림' 글이 올라왔다.] 게다가 그 후임으로 온 [[브라이언 오그레디|오그레디]]가 실로 충격적인 성적을 남기고 방출되며 더욱 대비된다. [[이영미(기자)|이영미]] 기자의 주장으로는 한화 측에서 터크먼에게 재계약 오퍼로 1년 130만불을 넣었다고 한다. 이후 주춤하다가 7월 5일 밀워키전에서 1:3으로 뒤진 9회초 2사 2, 3루 찬스에 [[데빈 윌리엄스]]를 상대로 2타점 동점 적시 2루타를 날렸고, 이후 [[니코 호너]]의 땅볼에 3루수 [[브라이언 앤더슨(1993)|브라이언 앤더슨]]의 송구실책이 나오자 홈으로 쇄도하여 역전 득점을 올리면서 팀의 4:3 역전승의 1등 공신이 되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PUUxVLEcFTU)]}}} || 7월 28일 세인트루이스전에서 3:2로 앞선 9회말 2사 3루 위기 상황에 [[알렉 벌레슨]]의 끝내기 홈런 타구를 건져내는 엄청난 수비를 선보여 팀의 승리를 지켜냈다. 이 호수비로 컵스는 7연승을 이어갔다. 8월 1일 [[신시내티 레즈]]와의 경기에서 [[삼성 라이온즈]]에서 뛰었던 [[벤 라이블리]]를 상대로 홈런을 만들어내면서 11:3 대승에 기여했다. 이후 소속팀 시카고 컵스가 와일드카드 레이스 4위로 아쉽게 탈락하여 시즌을 마치게 되었다. 비록 동 포지션인 [[코디 벨린저]]의 부상으로 인한 대체 선수로 빅리그에 복귀했으나, 뛰어난 활약으로 벨린저를 1루로 몰아내고 컵스의 주전 중견수 자리를 차지하는 등 우리가 알던 양키스 시절의 터크먼을 다시 한번 보여주며 성공적인 시즌을 보냈다. ~~고맙다 [[손혁]]~~ == 플레이 스타일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터크먼 타격폼.gif |width=100%]]}}} || || '''마이크 터크먼의 타격폼''' || || {{{-2 {{{#fff vs [[딘 크레머|{{{#fff 딘 크레머}}}]], [[볼티모어 오리올스|{{{#fff 볼티모어 오리올스}}}]] (2023.06.19) / [[리글리 필드|{{{#fff 리글리 필드}}}]]}}}}}} || MLB 1기 시절에는 정교한 컨택과 적당한 장타력으로 승부를 보는 타자였으나, KBO에 와서는 장타력은 감소한 반면 뛰어난 주력을 활용하여 두자릿수 도루를 기록했다.[* 참고로 MLB 시절에는 한 시즌 최대 도루가 6개에 불과했다.] 중견수 수비는 적당한 편이고 바깥쪽 떨어지는 변화구에 약점이 있기는 하지만 타석에서 당겨치기와 밀어치기 모두 가능한 모습을 보이며 외국인 타자들 중 중간은 가는 활약을 하고 있다.[* 2022 시즌은 10개 구단의 외국인 타자들 중 많은 이들이 부진을 겪었고 무려 3명이 전반기 전후로 퇴출되었다.] 그러나 장타력 감소 이상으로 치명적인 단점이 있는데 심각하게 득타율이 낮다는 것이다. 시즌 초반 주로 3번 타자로 배치되어 타점을 생산해줘야 했으나 득점권 타율이 굉장히 낮다보니 21시즌의 [[라이온 힐리]]처럼 외국인 타자 뒤에 배치된 [[노시환]]의 부담이 심해지는 결과를 낳았고, 어린 선수들의 우산이 되어주는 게 아니라 부담이 되는 상황까지 왔다. 다행히 이런 문제는 주자가 없는 상황이 잦은 1번 타순에 배치되면서 어느 정도 해결된 상태.[* 대신 S존이 넓어지고 타격폼 수정을 시도하다가 1번 타자 역할을 전혀 해주지 못하던 [[정은원]]이 3번 타순에 배치되었다.] 득타율은 장기적으로 타율에 수렴하는 경향이 있는 만큼 2할 후반의 타율과 2할 중반의 득타율(하지만 안타생산력으로 3할 초반을 노려볼 만하다.), 130~40개 정도의 안타, 20개 중반의 도루를 기록하는 1번 중견수로 시즌을 마칠 가능성이 크다. 다만 72경기 기준 타점이 채 20점도 안 되는 모습을 보이는 등 팀이 기대했던 20홈런-100타점 외인과는 약간 거리가 있는 모습. 그래도 7월 들어서 장타력이 상승하고 득점권 타율도 3할로 올라오는 등 나아진 모습을 보이고 있다. 또한 후반기부터는 장타력도 살아나면서 결국 두자릿수 홈런도 기록했고 기이하게도 시즌 말 4번에 배치된 9월 정확하게 OPS 1.0을 찍으며 가장 좋은 타격 성적을 내고 있다. 터크먼의 확실한 장점은 빠른 주력, 괜찮은 주루센스와 적극적인 허슬 플레이다. 수비 역시 중견수로서 준수한 수비범위와 뛰어난 수비력을 갖췄으며 수비 부담이 큰 중견수로 주로 출전함에도 144경기 전 경기에 선발 출장하는 강철 체력 역시 강점이다. 그외에는 무난한 컨택 능력과 여러 방향으로 안타성 타구를 보낼 수 있는 스프레이 히터라는 점도 눈여겨 볼만 하다. 7~8월에 좀 부진하긴 했지만 어쨋든 144경기를 모두 출장했다는것도 플러스 요소. 다만 용병타자에게 주로 기대되는 거포스타일이 아니라는 점이 평가를 깎아먹는다. == 연도별 성적 == ||<-19>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파일:MLB 로고.svg|width=35]]]] {{{#FFFFFF '''마이크 터크먼의 역대 MLB 기록'''}}} || || 연도 || 팀 || 출장 || 타석 || 안타 || 2루타 || 3루타 || 홈런 || 득점 || 타점 || 도루 || 볼넷 || 삼진 || 타율 || 출루율 || 장타율 || wRC+ || fWAR || bWAR || || 2017 ||<|2> [[콜로라도 로키스|COL]] || 31 || 32 || 6 || 0 || 1 || 0 || 2 || 2 || 1 || 5 || 10 || .222 || .344 || .296 || 63 || -0.2 || -0.3 || || 2018 || 21 || 37 || 3 || 1 || 0 || 0 || 5 || 0 || 1 || 4 || 15 || .094 || .194 || .125 || -21 || -0.4 || -0.5 || || 연도 || 팀 || 출장 || 타석 || 안타 || 2루타 || 3루타 || 홈런 || 득점 || 타점 || 도루 || 볼넷 || 삼진 || 타율 || 출루율 || 장타율 || wRC+ || fWAR || bWAR || || 2019 ||<|2> [[뉴욕 양키스|NYY]] || 87 || 296 || 72 || 18 || 1 || 13 || 46 || 47 || 6 || 34 || 71 || .277 || .361 || .504 || 128 || 2.8 || 4.0 || || 2020 || 43 || 111 || 23 || 6 || 0 || 0 || 18 || 14 || 6 || 14 || 26 || .242 || .342 || .305 || 79 || -0.2 || 0.0 || || 연도 || 팀 || 출장 || 타석 || 안타 || 2루타 || 3루타 || 홈런 || 득점 || 타점 || 도루 || 볼넷 || 삼진 || 타율 || 출루율 || 장타율 || wRC+ || fWAR || bWAR || || 2021 || [[뉴욕 양키스|NYY]]/ [br]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SF]] || 75 || 191 || 30 || 5 || 0 || 4 || 22 || 15 || 3 || 23 || 58 || .181 || .284 || .283 || 63 || 0.1 || -0.1 || || 연도 || 팀 || 출장 || 타석 || 안타 || 2루타 || 3루타 || 홈런 || 득점 || 타점 || 도루 || 볼넷 || 삼진 || 타율 || 출루율 || 장타율 || wRC+ || fWAR || bWAR || || 2023 || [[시카고 컵스|CHC]] || 108 || 401 || 85 || 18 || 0 || 8 || 64 || 48 || 7 || 56 || 86 || .252 || .363 || .377 || 107 || 1.8 || 2.3 || ||<-2>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MLB]] 통산[br](6시즌)''' || 365 || 1068 || 219 || 48 || 2 || 25 || 157 || 126 || 24 || 136 || 266 || .239 || .340 || .377 || 97 || 4.2 || 5.4 || ||<-18>
[[KBO 리그|[[파일:KBO 리그 로고(영문/다크모드).svg|width=100]]]] {{{#FFFFFF '''마이크 터크먼의 역대 KBO 기록'''}}} || || 연도 || 팀 || 출장 || 타석 || 안타 || 2루타 || 3루타 || 홈런 || 득점 || 타점 || 도루 || 볼넷 || 삼진 || 타율 || 출루율 || 장타율 || wRC+ || sWAR || || 2022 || [[한화 이글스|한화]] || '''{{{#red 144}}}'''[br](1위) || '''648'''[br](2위) || 166 || '''37'''[br](3위) || 4 || 12 || '''88'''[br](5위) || 43 || 19 || 64 || 104 || .289 || .366 || .430 || 126.8 || 4.98 || ||<-2> '''[[KBO 리그|KBO]] 통산[br](1시즌)''' || 144 || 648 || 166 || 37 || 4 || 12 || 88 || 43 || 19 || 64 || 104 || .289 || .366 || .430 || 126.8 || 4.98 || == 여담 == * 본래 발음은 '터크먼'에 가깝지만 한국행 이전에 한국에서는 스펠링을 그대로 읽어 '타우치맨'으로 불리는 경우가 잦았다. 한화입단 후 등록명을 실제 발음에 가까운 터크먼으로 정해서 이쪽으로 정착되었다. * 고등학생 때는 미식축구도 했는데, 포지션은 쿼터백이었고, 현재 NFL 소속 [[샌프란시스코 포티나이너스]]의 [[지미 가로폴로]]과의 맞대결에서 승리한 적이 있다고 한다. * [[콜로라도 로키스]] 마이너 리그 시절 동료이자 친구인 [[라이언 카펜터]]와 같은 팀 한화에서 뛰게 되었다.[* 이후 카펜터는 6월에 방출되었다.] 실제로 한화 입단에 큰 영향을 준게 카펜터이며, 카펜터에게서 좋은 이야기를 많이 듣고 한화와 계약하기로 결심했다고 한다. [각주] [[분류:미국의 야구 선수]][[분류:외국인 선수(야구)]][[분류:1990년 출생]][[분류:2017년 데뷔]][[분류:팰러타인 출신 인물]][[분류:외야수]][[분류:좌투좌타]][[분류:콜로라도 로키스/은퇴, 이적]][[분류:뉴욕 양키스/은퇴, 이적]][[분류: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은퇴, 이적]][[분류:빙그레-한화 이글스/은퇴, 이적]][[분류:시카고 컵스/현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