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동명이인]] [[분류:도쿠가와 가문]] [목차] == [[일본의 성씨]] == ||<-2> '''{{{#fac117 {{{+1 [ruby(松,ruby=まつ)][ruby(平,ruby=だいら)]}}}[br]마츠다이라}}}''' || || '''{{{#fac117 본성}}}''' ||[[카모]](賀茂) || || '''{{{#fac117 본관}}}''' ||[[아이치현]] [[도요타시]] 마츠다이라고(松平鄕) || || '''{{{#fac117 중시조}}}''' ||마츠다이라 치카우지(松平親氏) || || '''{{{#fac117 당주}}}''' ||제18대 [[도쿠가와 츠네나리]] || || '''{{{#fac117 인구}}}''' ||약 8,300명 || [[일본]]의 [[성씨]]. 松平(Matsudaira). 2021년 기준 8,300여명이 사용중. || [[파일:1280px-Tokugawa_family_crest.svg.png|width=100%]] || || '''마츠다이라 가문의 [[가몬(일본)|{{{#fac117 가몬}}}]]인 세 잎 [[접시꽃|{{{#fac117 접시꽃}}}]]'''[* 이 문장은 [[도쿠가와]] 가문이 그대로 물려받아 사용하고 있다.] || [[중시조]]는 '''마츠다이라 치카우지'''다.[* 그러나 제3대 당주 마츠다이라 노부미츠 이전의 당주들은 역사 기록에 등장하지 않아 역사가들은 이에야스가 [[카와치 겐지]]를 자칭하기 위해 꾸며낸 인물로 의심하고 있다.] 치카우지는 [[카와치 겐지]] 닛타씨의 후예인 세라다 아리치카의 아들로서 [[사가미]]국 쇼죠쿠지에 출가하여 도쿠아미(德阿彌)란 법명을 얻었다. 미카와 마츠다이라 마을의 영주이며, 마츠다이라 노부모리의 아들인 마츠다이라 노부시게의 데릴사위가 된 치카우지는 마츠다이라 가문을 상속하여 종가 제1대 당주가 되었다(14세기 반경). 치카우지의 아들이자 제3대 당주 마츠다이라 노부미츠는 안조 성과 오카자키 성을 함락하였다. 1471년 안조 성을 본거지로 삼았다. 이후 이에야스의 할어버지이자 제7대 당주인 키요야스가 본거지를 오카자키 성으로 옮길 때까지 50여년 동안 안조 성이 마츠다이라 가문의 본거지였다. 노부미츠가 안조 성으로 본거지를 옮긴 이후부터 마츠다이라 가문에 복속된 가신들을 안조 칠후다이(安祥七譜代) 하는데, 그들은 [[사카이 타다츠구|사카이]], [[혼다 타다카츠|혼]][[혼다 마사노부|다]], 오쿠보, 이시카와, 아베, 아오야마, 우에무라씨이다.[* [[도쿠가와 이에야스(소설)]] 초반부에 자주 등장하는 이름이다.] 마츠다이라 치카우지의 후손인 종가 제9대 당주 [[마츠다이라 모토야스]]는 훗날 성을 '''도쿠가와'''로 바꾸고, 이름을 '''[[도쿠가와 이에야스|이에야스]]'''로 개명하여 [[도쿠가와]] 가문을 세웠다. 이후 마츠다이라 종가가 곧 도쿠가와 종가가 되었다. [[에도 막부]] 성립 이후, 마츠다이라는 도쿠가와 쇼군가 직계나 [[고산케]], 고산쿄 등 유력 분가를 제외한 다른 방계 가문에 내려지거나, 강력한 지방 [[다이묘]]들에게 내려지는 명예 칭호의 성격을 가지게 되었다. 고산케나 고산쿄에서도 도쿠가와 성을 쓸 수 있는 것은 가주와 후계자뿐이었고, 차남 이하로는 마츠다이라 성을 대신 사용했다. 마츠다이라 다이묘들은 고산케, 고산쿄와 함께 에도 막부 내내 우대받았으며 다른 도쿠가와, 마츠다이라 가문들의 대가 끊어지면 서로 양자를 보내 대를 잇기도 했다. 일부 세력이 큰 마츠다이라 번들은 고산케나 고산쿄 못지않게 막부 정치에 큰 영향력을 행사했는데, 대표적으로 [[유키 히데야스]]의 후손들인 '''[[에치젠]] 마츠다이라 가문'''과 제3대 쇼군 [[도쿠가와 이에미츠]]의 배다른 동생의 후손인 '''[[아이즈 번|아이즈]] 마츠다이라 가문'''은 20만 석이 넘는 거대 번의 번주 가문이었다. 막말의 '''4현후''' 중 하나로 불렸고, 막부 정사총재를 역임한 [[마츠다이라 슌가쿠]](松平春嶽)는 에치젠 [[후쿠이현|후쿠이]]의 번주였으며,[* 따라서 NHK 대하드라마에서는 슌가쿠를 종종 "에치젠노카미"라고 호칭하기도 한다. 참고로 슌가쿠는 원래 고산쿄 타야스 도쿠가와(御三卿 田安徳川) 가문 출신으로, 에치젠 마츠다이라 가문으로 양자입적해 가독을 상속했다.] 교토 수호직을 맡아 [[신센구미]]를 후원한 것으로 유명한 [[마츠다이라 카타모리]]는 아이즈 번의 번주였다. 에치젠, 아이즈 등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직계 후손에 해당되는 가문은 신판 다이묘에 해당되었으나 이에야스의 직계가 아닌 마츠다이라 친족들은 신판이 아닌 후다이 다이묘로 취급되었다. 이에야스의 이부 동생의 후손인 '''히사마츠 마츠다이라 가문'''은 원칙적으로는 후다이였지만 일부 유력 분가는 신판에 준하게 취급되었다. == 실존인물 == * [[마츠다이라 다케치요]](아명), [[마츠다이라 모토야스]] - [[도쿠가와 이에야스]]가 개명 전 사용했던 이름 * [[마츠다이라 슌가쿠|마츠다이라 요시나가]](松平慶永) - [[후쿠이현|에치젠 후쿠이번]] 16대 번주. 호(号)인 슌가쿠(春嶽)로 유명하다. * [[마츠다이라 카타모리]] - [[아이즈 번]] 최후(9대)의 번주. [[신센구미]]의 스폰서로 알려져있다. * 마츠다이라 노부코(松平信子、1886-1969) - [[이방자]] 비의 어머니인 나시모토 이츠코(梨本伊都子, 1882 ~ 1976)의 여동생. 즉 이방자에게는 [[이모]]가 된다. 옛 [[화족]] [[후작]] 나베시마(鍋島) 가문의 딸로, [[다이쇼 덴노]]의 차남 [[지치부노미야 야스히토]] 친왕의 [[장모님|장모]]이기도 하다. [[일본 황실]]에서 큰 권력을 휘둘렀으며, 패전 후에도 옛 황족&화족들의 우두머리로 군림했다. 1959년 [[아키히토]] 황태자가 평민 [[미치코 상황후|쇼다 미치코]]와 연애결혼을 할 때는 황태자의 어머니 [[나가코 황후]] 등과 함께 반대세력의 선두에 섰으며, 결혼이 무사히 이루어진 후에도 [[미치코 상황후|미치코 황태자비]]를 집요하게 괴롭힌 것으로 악명이 높다. 노부코의 장남 이치로(一郎)는 은행가가 되었고, 이치로의 차남 츠네나리(恒孝)는 후에 외가인 도쿠가와 종가로 입적되어 [[도쿠가와 츠네나리]]가 되었다. * [[마츠다이라 세츠코]] - [[지치부노미야 야스히토]] 친왕의 아내. [[영국]] [[런던]]에서 [[외교관]]이자 [[자작(작위)|자작]] 아이즈의 마츠다이라 츠네오(松平恒雄, 1877 ~ 1949)와 노부코의 딸로 태어났다. [[이방자]] 비에게는 이종사촌 여동생이 된다. 본래 세츠코의 한자는 節子였으나, [[시어머니]] [[사다코 태후]]가 같은 한자를 쓰고 있었기에 결혼하면서 세츠코(勢津子)로 바꾸었다. * [[마츠다이라 켄]] - [[배우]] 겸 [[가수]]. 단, 이쪽은 예명이다. * [[마츠다이라 리코]] - 일본 아이돌그룹 [[사쿠라자카46]] 前멤버 == 가상인물 == * [[단칸방의 침략자!?]] - [[마츠다이라 켄지]] * [[마리아님이 보고 계셔]] - [[마츠다이라 토코]] * [[벚꽃사중주]] - [[마츠다이라 나데시코]] * [[은혼]] - [[마츠다이라 가타쿠리코]], [[마츠다이라 쿠리코]] * [[터치(만화)|터치]] - [[마츠다이라 코타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