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일본의 가부키 4대 명문가)] [목차] == 개요 == || [[파일:5DD1954F-FF55-4C69-95DB-324926BAB16A.jpg|width=300]] || || 마츠모토 가문의 [[가몬(일본)|문장]] 요츠카라카비시(四つ唐花菱) || '''마츠모토 하쿠오 (松本白鸚)''' 마츠모토 하쿠오는 [[일본]] [[가부키]] 업계에서 대를 이어 내려오는 배우의 [[예명]]의 하나이다. 가부키 [[가부키#s-6|4대 명문가]]인 마츠모토(松本) [[종가]]의 [[당주]]로 칭호받는 마츠모토 코시로의 다음 세습명으로, 당연히 본명은 아니다. 본성은 초대부터 현재까지 후지마(藤間)이다. 마츠모토 [[종가]]의 야고(屋号)는 코오라이야(高麗屋). 코오라이야의 직계(장자) 습명구도는 ‘마츠모토 킨타로(松本金太郎) - 이치카와 소메고로(市川染五郎) - 마츠모토 코시로(松本幸四郎) - 마츠모토 하쿠오(松本白鸚)이다. 당대 계승자는 아래 문단에서 소개하는 마츠모토 종가의 현 당주 '''2대 마츠모토 하쿠오'''이며, 본래는 마츠모토가의 전통을 따라 2대 마츠모토 킨타로, 6대 이치카와 소메고로, 9대 마츠모토 코시로로 활동했다가 2018년에 아들, 손자와 함께 동시 습명을 받으면서 자신의 아버지인 초대 마츠모토 하쿠오의 뒤를 이어 2대 마츠모토 하쿠오가 되었다. == 역대 마츠모토 하쿠오 == 마츠모토 하쿠오라는 이름 자체는 초대 마츠모토 하쿠오의 아버지인 7대 [[마츠모토 코시로]]가 지은 것이며, 이후 마츠모토 코시로를 후계자에게 양도한 선대 [[당주]]가 사용하는 이름이 되었다. * 초대 마츠모토 하쿠오 7대 마츠모토 코시로의 차남. 본명은 후지마 준지로. 5대 [[이치카와 소메고로]], 8대 [[마츠모토 코시로]]를 지낸 인물이기도 하다. 1910년-1982년. * '''2대 마츠모토 하쿠오''' ^^(당대)^^ 초대 마츠모토 하쿠오의 장남. 본명은 후지마 테루아키. 2대 마츠모토 킨타로, 6대 [[이치카와 소메고로]], 9대 [[마츠모토 코시로]]를 지내다가 2018년 2대 마츠모토 하쿠오를 습명하였으며 이전 [[세습명]]인 9대 마츠모토 코시로라는 이름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1942년-. == 2대 마츠모토 하쿠오 == ||<-2>
{{{#ffffff {{{+2 '''2대 마츠모토 하쿠오''' }}} }}}[br]{{{+1 {{{#ffffff '''二代目 松本白鸚| Matsumoto Hakuō II''' }}} }}} || ||<-2>{{{#!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대 마츠모토 하쿠오.jpg|width=100%]]}}} || ||<#191970> {{{#white '''본명''' }}} ||{{{#191970,#ddd '''[ruby(藤間, ruby= ふじま)][ruby(昭曉, ruby= てるあき)] (후지마 테루아키, Fujima Teruaki)''' }}} || ||<#191970> {{{#white '''예명''' }}} ||2대 마츠모토 킨타로[br]6대 이치카와 소메고로[br]9대 마츠모토 코시로[br]'''2대 마츠모토 하쿠오 ^^(2018년 1월 습명)^^''' || ||<|2><#191970> {{{#white '''출생''' }}} ||[[1942년]] [[8월 19일]] ([age(1942-08-19)]세) || ||[[도쿄도]] || ||<#191970> {{{#white '''국적'''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 ||<#191970> {{{#white '''신체''' }}} ||175cm, 78kg, [[B형]]|| ||<|6><#191970> {{{#white '''가족''' }}} ||[[친할아버지]] 7대 마츠모토 코시로^^(1870-1949년 사망)^^[* 본명은 후지마 킨타로. 코오라이야의 직계 세습명인 마츠모토 킨타로가 바로 그의 본명에서 유래된 것이다. 초대 마츠모토 킨타로는 그의 장남이었던 [[이치카와 에비조#s-2|11대 이치카와 단쥬로]]가 지냈었다.]|| ||[[아버지]] 초대 마츠모토 하쿠오 ^^(1910-1982년 사망)^^[* 본명은 후지마 준지로. 그의 형이 바로 [[가부키]] 제1명문가 나리타야의 [[당주]] 11대 이치카와 단쥬로이다.][br][[어머니]] 후지마 마사코[* 하리마야의 선선대 당주였던 초대 나카무라 키치에몬의 장녀이다.][br]남동생 2대 나카무라 키치에몬 ^^(1944-2021)^^[* 본명은 후지마 히사노부지만 초대 나카무라 키치에몬의 양자로 들어가며 그의 본명인 나미노 타츠지로로 개명했다.]|| ||아내 후지마 노리코[br]장녀 마츠모토 키오 ^^(1971-)^^[* 본명은 후지마 키오코. 배우이자 성우인 카와하라 카즈히사와 2012년 결혼하며 카와하라 키오코가 되었다.][br]장남 [[마츠모토 코시로#s-3|10대 마츠모토 코시로]][br]차녀 [[마츠 다카코]]|| ||친손 [[이치카와 소메고로#s-3|8대 이치카와 소메고로]], 마츠다 미루 ^^(2007-)^^[* 본명은 후지마 카오루코.][br]외손 사하시 ㅇㅇㅇ ^^(2015-)^^[* 차녀인 [[마츠 타카코]]의 딸이다.]|| ||조카사위 [[오노에 키쿠노스케|5대 오노에 키쿠노스케]][* 남동생 2대 나카무라 키치에몬의 넷째 사위이다.] || ||[[백부]] [[11대 이치카와 단쥬로]][br]사촌동생 [[12대 이치카와 단쥬로]][br]당질 [[이치카와 단쥬로|13대 이치카와 단쥬로 하쿠엔]][br]재종손 [[이치카와 보탄|4대 이치카와 보탄]], [[이치카와 신노스케|8대 이치카와 신노스케]] || ||<#191970> {{{#white '''학력''' }}} ||시부야 구립 토키와마츠 초등학교 {{{-2 (졸업)}}} [br] 교세이 가쿠엔 중등부 {{{-2 (졸업)}}} [br] 교세이 가쿠엔 고등부[* [[치요다구]]에 위치한 학교 법인 교세이 학원 소속의 유서 깊은 [[가톨릭]] [[일관제]] [[사립학교]]이며 남학교이다. 교세이 중등부를 졸업한 학생들만이 교세이 고등부 입학 시험을 치르는 게 허가되었다. 많은 정치인, 연예인들이 이 학교 재단 출신이며 [[가부키]] 배우들도 여럿 다녔다. 대표적으로 [[나카무라 칸자부로#s-3|18대 나카무라 칸자부로]]와 4대 [[이치카와 엔노스케]], [[카가와 테루유키|9대 이치카와 츄샤]]가 있으며, 초대 마츠모토 하쿠오와 2대 하쿠오의 장남인 [[마츠모토 코시로#s-3|10대 마츠모토 코시로]] 또한 이 학교 출신이다.]{{{-2 (졸업)}}} [br] [[와세다대학]] {{{-2 (제1문학부 연극과 / 중퇴)}}} || ||<#191970> {{{#white '''직업''' }}} ||[[가부키]] [[배우]], [[뮤지컬 배우]] || ||<#191970> {{{#white '''야고'''[* 가부키 배우로서 가지는 집안 이름. 세습명 구도를 중심으로 창시되며, 가부키계에는 4대 명문가를 포함한 40개 정도의 주요 야고가 있다고 한다.]}}} ||코오라이야 {{{-2 (高麗屋)}}} || ||<#191970> {{{#white '''소속''' }}} ||[[쇼치쿠]], [[도호]] || ||<#191970> {{{#white '''문장''' }}} ||[[파일:Fuse-chō_inverted.jpg|width=25]] || === 개요 === 일본의 [[가부키]] [[배우]]이자 가부키 4대 명문가 중 하나인 코오라이야 마츠모토 종가의 현 당주이다. [[가부키]]뿐만 아니라 TV 드라마, [[영화]], [[뮤지컬]] 특히 [[브로드웨이]]와 [[웨스트엔드]]에서 아시아 최연소, 최초 타이틀로 왕성히 활동했으며 일본에서 사랑받는 원로배우의 대가로 꼽힌다. 2022년, 자국의 [[문화훈장]]을 수훈하여 [[인간 국보]]에 해당하는 인물이다. === 생애 === [[2차 세계대전]]이 한창이던 [[1942년]] [[도쿄]], 당시 코오라이야의 당주였던 아버지 초대 마츠모토 하쿠오와 어머니 후지마 마사코의 사이에서 2남 중 장남으로 태어났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스게로쿠 하쿠오.jpg|width=100%]]}}} || || {{{#ffffff '''1946년, 2대 마츠모토 킨타로 습명 피로연 中 스케로쿠''' }}} || 만 3세의 나이에 2대 마츠모토 킨타로를 습명받아, 아버지와 함께 습명 피로연을 치뤘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하쿠오.jpg|width=100%]]}}} || || {{{#ffffff '''아버지, 습명 피로연을 관람하러 온 [[GHQ]]의 바워즈 소령과 함께[* [[더글라스 맥아더]] 장군의 최측근이었으며, 다음 날의 피로연에는 맥아더 장군도 방문하였다.]''' }}} || 하쿠오의 어머니인 후지마 마사코는 하리마야의 초대 나카무라 키치에몬의 무남독녀이다.[* 초대 나카무라 키치에몬의 아버지는 3대 나카무라 가로쿠이며 초대 나카무라 키치에몬의 동생이 그 유명한 17대 [[나카무라 칸자부로]]이다.] 가문을 이을 아들이 없다는 것은 하리마야를 개척한 초대 키치에몬에게 실로 큰 흠집이 아닐 수 없었다. 이에 마련한 대책이 바로 그의 외동딸이 다른 [[가부키]] 가문의 남자와 결혼하여 그 남자를 데릴사위로 데려와 하리마야를 잇게 하는 것이었는데, 당시 후지마 마사코는 코오라이야의 초대 마츠모토 하쿠오를 피로연에서 만나 첫 눈에 반한 상태였다. 초대 마츠모토 하쿠오는 후계자가 없어 나리타야에 양자로 들어간 형 [[11대 이치카와 단쥬로]]를 대신하여 코오라이야를 이을 하나뿐인 적장자였기에[* 물론 바로 아래에 남동생이 있었으나 어린 시절부터 6대 [[오노에 키쿠고로]]의 일문으로서 오토와야에서 [[가부키]]를 배웠고 오노에 쇼로쿠를 2대째로 습명받았다.] 그가 데릴사위로 오는 것은 절대 불가하였고 이에 초대 키치에몬은 그들의 결혼을 극구 반대하였다. 이때 후지마 마사코는 아버지인 초대 키치에몬에게 결혼을 허락해주는 조건으로 한 가지를 굳게 약속한다. >소메고로 씨와 결혼하면 무조건 [[아들]]을 낳겠습니다. 두 명을 낳겠습니다. 그리고 둘째 아이를 아버지에게 [[양자]]로 보내어 하리마야를 잇게 하겠습니다. 이것만은 [[약속]]드립니다. 이에 초대 키치에몬은 둘의 결혼을 허락하였고 후지마 마사코는 '''정말로 두 명의 아들을 낳았다.''' 그렇게 약속대로 둘째 아들, 즉 2대 마츠모토 하쿠오의 남동생은 어릴 적부터 부모님, 형과 떨어져 외조부의 집안에 양자로 들어갔고 하리마야의 당주가 되기 위한 혹독한 훈련을 받게 된다.[* 2대 마츠모토 하쿠오는 인터뷰에서 '우리 형제는 부모의 [[큐피드]]에 불과한 게 아니었을까 라고 생각하던 때도 있었다' 라고 회고했다.] 물론 지내는 것만 외조부의 집이었지, 2대 키치에몬을 위해 초대 하쿠오와 초대 키치에몬의 저택은 골목 하나를 사이에 두고 위치해 있었으며 자주 본가에 들렸다고 한다. 형제는 함께 서로 그 날 배웠던 무용과 노래, 악기로 놀았다고 하며 밴드도 결성했었다고 한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하쿠오 키치에몬.jpg|width=100%]]}}} || || {{{#ffffff '''2대 하쿠오에게 [[와세다대학]]의 각모를 자랑하는 2대 키치에몬''' }}} || 2대 마츠모토 하쿠오는 코오라이야의 앞날을 위하여 아버지에게 혹독하게 키워졌다. 그는 이때를 회고하며 매일매일이 죽을 맛이었으며 자신은 일면식도 없는 사람들이 자신과 부모님을 알고 있다는 것에 큰 스트레스와 잘 해야 한다는 압박감에 시달렸다고 한다. 결국 10대 후반에 아버지와 연습을 하다 말고 연습장을 박차고 뛰쳐나와 어머니에게 더 이상 가부키를 못하겠다고 울분을 토해냈다 한다. 이때 아버지인 초대 마츠모토 하쿠오는 이들의 이야기를 병풍 뒤에서 묵묵히 듣고 있었다고 한다. 그렇게 다음 날, 등교를 하려다 연습장을 보았는데 아버지가 아무런 일도 없다는 듯 그저 무용 연습을 계속하는 모습에 등교를 하다 말고 다시 연습장에 들어가 천천히 아버지의 무용을 따라 추었고 아버지는 이에 아무 말이 없었다고 한다. 2대 마츠모토 하쿠오는 이때 [[가부키|자신에게 주어진 피할 수 없는 숙명]]을 느꼈다고 하며, 아버지인 초대 마츠모토 하쿠오는 실로 대단한 인물이었다고 회고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초대 하쿠오 부자.webp|width=100%]]}}} || || {{{#ffffff '''초대 마츠모토 하쿠오 삼부자[* 좌측부터 2대 나카무라 키치에몬, 초대 마츠모토 하쿠오, 2대 마츠모토 하쿠오.]''' }}} || 동생인 2대 나카무라 키치에몬 또한 외조부의 가문을 잇는 당주가 되어야 했기에 형제가 같은 운명에 처해있었고 그렇기에 서로 의지하는 부분이 많았다고 한다. 2대 하쿠오는 [[와세다대학]] 수험을 위해 시험장에 갔더니 많은 취재진들이 몰려와 있는 것을 보고는 '제발 다른 수험생들에게 방해가 안 되도록 물러가라' 라고 말한 적이 있었는데, 2대 키치에몬이 형을 따라 같은 중고등학교를 졸업하고 [[와세다대학]]에 수험을 치러 갔을 때 몰려온 기자들에게 '예전에 우리 형이 했던 말을 잊으셨나요?' 라고 묻기도 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소메고로.jpg|width=100%]]}}} || || {{{#ffffff '''전성기로 불리던 6대 [[이치카와 소메고로]] 시절의 모습''' }}} || 피할 수 없다면 즐기라는 말이 있듯, 2대 마츠모토 하쿠오는 성인식을 치르면 연예계에 나가도 좋다는 부모의 허락에 뮤지컬, 드라마, 영화 등에 도전한다. 그렇게 22세라는 젊은 나이에 [[브로드웨이]] 뮤지컬 《왕과 나》에서 왕 역으로 발탁되었다. 그렇게 뮤지컬 무대를 한 번 맛본 그는 '언젠가 진짜 [[브로드웨이]]에서 원어로 공연하겠다' 라는 목표를 세웠고 이 꿈은 4년 뒤 실현된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브로드웨이.jpg|width=100%]]}}} || || {{{#ffffff '''1970년, [[뉴욕]] [[브로드웨이]]에서 [[맨 오브 라만차]] 공연 中''' }}} || 26세에 뉴욕 브로드웨이에서 최연소이자 아시아 최초 주연으로 뮤지컬 [[맨 오브 라만차]]의 세르반테스/돈키호테 역에 발탁되었다. 본토답게 모든 극은 원어인 [[영어]]로 진행되었고 그는 노래와 연기는 자신 있었지만 영어에 관해서는 아버지의 지인인 현지인에게 발음을 배워가며 자연스럽게 대사를 뱉어낼 때까지 매일 노력했다고 한다. 그의 연기는 대호평을 받으며 [[동양인]]의 [[브로드웨이]] 진출의 좋은 기반이 되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마츠모토 하쿠오1969.jpg|width=100%]]}}} || || {{{#ffffff '''1969년, 아내와 후지마 노리코와의 [[결혼식]]''' }}} || 아내인 후지마 노리코는 [[후쿠오카]]의 [[의사]] 집안에서 태어나 [[가부키]]와는 전혀 연이 없는 사람이었다. 어느 날 그녀가 [[게이오기주쿠대학]] 수험을 위해 [[상경]]했을 때, 발표를 기다리는 시간이 비어 어머니와 함께 2대 마츠모토 하쿠오가 주연으로 섰던 연극 《푸른 늑대》를 관람하였다고 한다. 그녀는 연극이 끝난 직후 하쿠오를 찾아가 "만약 대학에 떨어지더라도 이 연극을 봐서 기뻤다라고 말할 수 있을 정도로 감동적이었다"며 고백했고, 이때부터 급속도로 연인사이로 발전해가며 1969년 12월 말 [[결혼]]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하쿠오 노리코.jpg|width=100%]]}}} || || {{{#ffffff '''1970년, [[신혼여행]] 중 [[뉴욕]] 골럼 호텔에서 아내와 함께''' }}} || 하지만 이듬해 1970년, 2대 하쿠오의 [[뉴욕]] [[브로드웨이]] 뮤지컬 출연이 결정되면서 둘의 [[신혼여행]]지는 자연스럽게 뉴욕으로 정해졌고 그렇게 신혼 아닌 신혼을 보내며 뉴욕에서 지냈다. 그는 뉴욕에서 늘 새벽에 들어와 침대에 쓰러져 자기에 바빴고 오후 네 시에 일어난 뒤, 아내와 함께 [[센트럴 파크]]에 가서 멍을 떼리다가 저녁을 먹고 오후 여덟 시 공연에 들어가는 게 일상이었기에 허니문은 꿈도 못 꿨었다고 한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마츠모토 하쿠오 70s.jpg|width=100%]]}}} || || {{{#ffffff '''금의환향 후, 아내와 방송 출연'''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후지마 일가.jpg|width=100%]]}}} || || {{{#ffffff '''1971년, 장녀 키오코의 탄생 기념 촬영한 가족 사진[* 좌측부터 아버지 초대 마츠모토 하쿠오, 아내 후지마 노리코, 2대 하쿠오 본인, 어머니 후지마 마사코, 동생 2대 나카무라 키치에몬.]'''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하쿠오 일가.jpg|width=100%]]}}} || || {{{#ffffff '''장녀와 장남의 [[시치고산]]을 맞아 가족과 함께''' }}} || [[일본]]으로 귀국한 뒤, 슬하에 1남 2녀를 두었다. 아내인 노리코가 [[아들]]을 못 낳을 수도 있다는 압박감에 시달리자 하쿠오는 '아이만 건강하면 된다'며 옆에서 많은 독려를 해주었다고 한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코시로와 하쿠오.jpg|width=100%]]}}} || || {{{#ffffff '''장남 [[마츠모토 코시로#s-3|후지마 테루마사]]와 자택에서''' }}} || 1973년, [[장남]]인 [[마츠모토 코시로#s-3|후지마 테루마사]][* 현 10대 마츠모토 코시로.]가 태어나자 2대 하쿠오는 자신은 절대로 아버지처럼 아들을 고되게 훈련 시키지 않을 것이라 속으로 다짐하였다. 하지만 훗날 가문을 책임질 외아들이기 때문인지 자신도 모르게 엄하게 꾸중할 때가 많아, 아버지의 심정을 뼈저리게 느꼈었다고 한다. 이외에도 딸들이 연예계에 진출하자 여러 행동에 대한 주의를 달달 외우게 시킬 정도로 많은 것을 신경썼다고 한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황금의 나날.jpg|width=100%]][[파일:황금의 나날2.jpg|width=100%]]}}} || || {{{#ffffff '''1978년, [[NHK 대하드라마]]에서 루손 스케자에몬 役'''}}} || 1978년, [[NHK 대하드라마]] ~황금의 나날~에서 주연이 루손 스케자에몬을 연기하며 대호평을 받았다. 그리고 38년 뒤, 같은 배역으로 [[NHK 대하드라마]] ~[[사나다마루(드라마)|사나다마루]]~에 출연하였다. 같은 역을 연기하는 것이었고 이는 대하드라마에서 이례적인 사례였기에 많은 이목이 집중됐었다. 1982년, 아버지인 초대 마츠모토 하쿠오의 부고 소식을 [[영국]] [[웨스트엔드]]에서 전해들었다. 당시 그는 [[웨스트엔드]]에서 올린 《왕과 나》의 공연에 주역으로 발탁되어 원어로 공연을 해가며 한창 바빴을 때였기에 아버지의 비보에 슬퍼할 시간조차 없었다고 한다. 결국 사흘이 지나서야 호텔방에서 겨우 향을 피워가며 애도의 시간을 가졌다고 한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벤케이 하쿠오.jpg|width=100%]]}}} || || {{{#ffffff '''벤케이의 토비롯포를 선보이는 2대 마츠모토 하쿠오''' }}} || [[가부키]]에서 그의 명성 또한 드높기로 유명하다. [[가부키]] 18번 중 하나의 연목인 칸진쵸에서 가장 난이도가 어려운 [[무사시보 벤케이]] 역이 2대 하쿠오의 대표적인 배역인데, 2008년 10월 15일 통산 1000회 공연을 돌파하였고, 2023년 기준으로 무려 1200회 가량 해당 배역을 맡아 공연한 것으로 집계되었다. 이는 현역 최다 출연 기록이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코오라이야 삼대.jpg|width=100%]][[파일:코오라이야 삼대2.jpg|width=100%]]}}} || || {{{#ffffff '''2018년 1월, 코오라이야 삼대 동시 습명''' }}} || 2018년은 코오라이야의 최고의 경사가 났던 해였다. 코오라이야 마츠모토 종가의 삼대 동시 습명이 결정된 것이었는데 이로써 당시 9대 마츠모토 코시로에서 2대 마츠모토 하쿠오를 습명 받고 '마츠모코 코시로'라는 [[세습명]]은 아들인 테루마사가, '이치카와 소메고로'라는 [[세습명]]은 손자인 이츠키가 예정대로 무사히 습명받으며 한동안 잔칫집 분위기였다. 습명 피로연의 대표 연목은 칸진쵸. 2021년, 당시 하리마야의 당주였던 하나뿐인 남동생 2대 나카무라 키치에몬이 급성 [[심부전]]으로 숨졌다는 비보를 듣게 되자 망연자실해 하며 한동안 코오라이야의 가부키극을 휴연하였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나루히토 하쿠오.jpg|width=100%]]}}} || || {{{#ffffff '''[[나루히토]] 천황에게 문화훈장을 수여받는 모습''' }}} || 2022년 11월 3일, 문화의 날을 맞이해 [[고쿄]]에 초청되어 [[가부키]] 계열로서 [[나루히토]] 천황으로부터 문화계 최고 훈장인 [[문화훈장]]을 수훈하며 예술인으로서 최고 경지에 올랐다. 2022년 11월, 친척뻘 가문인 가부키 명문가 나리타야의 11대 [[이치카와 에비조]]와 [[이치카와 신노스케#s-3|그의 아들]]이 13대 [[이치카와 단쥬로]], 8대 [[이치카와 신노스케#s-3|이치카와 신노스케]]를 습명받으면서 습명 피로연 무대에 함께 이름을 올려 출연하였다. 허나 컨디션 난조로 인해 11월 피로연에만 무대에 올랐고, 12월 피로연에는 아들, 손자가 무대에 올랐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하쿠오 뮤지컬.jpg|width=100%]]}}} || || {{{#ffffff '''2023년 4월, 차녀 [[마츠 다카코]]와 [[맨 오브 라만차]] 피날레에서''' }}} || 2023년 4월 14일부터 24일까지 일본에서 공연한 [[맨 오브 라만차]]에 주연인 돈키호테/세르반테스 역으로 차녀인 [[마츠 다카코]]와 함께 다시금 뮤지컬 무대에 복귀했다. 일본에서 [[돈키호테]]란 오직 2대 마츠모토 하쿠오만이 소화 가능한 배역으로 자리잡혔기에 많은 사람들이 [[뮤지컬]]을 관람하기 위해 몰렸으며 전 회차가 만석에 암표까지 거액에 거래됐었다고 한다. 이 날, 계속되는 컨디션 난조에 대해 걱정하는 팬들에게 2대 하쿠오는 >'''내 목숨이 이 세상에서 허락되는 날까지 여러분들께 좋은 연기를 보여드리고 싶습니다.''' 라고 말하며 공연을 찾아준 팬들에게 감사 인사를 전하였다. === 연기스타일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s6NO2LzY7AI, start=1870)]}}} || || {{{#ffffff '''칸진쵸의 [[무사시보 벤케이]] 토비 롯포[* [[미나모토노 요시츠네]] 역은 오토와야의 당주 [[오노에 키쿠고로#s-3|7대 오노에 키쿠고로]]가 맡았다. 친동생인 하리마야의 2대 나카무라 키치에몬도 함께 무대에 올랐다.]''' }}} || 대표 연목으로는 칸진쵸의 [[무사시보 벤케이]]가 있으며 아라고에 역을 맡을 때 제일 빛을 발하는 편이다. 발성이 뚜렷하고 춤선이 묵직하면서도 아름답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특히 토비롯포는 아버지인 초대 마츠모토 하쿠오에게 영향을 받아 총 57번을 뛰는데 이것이 큰 볼거리이다. [[https://youtu.be/8RzTEZKorXw|초대 마츠모토 하쿠오의 벤케이 토비롯포.]] 아들인 [[마츠모토 코시로#s-3|10대 마츠모토 코시로]]는 아버지와 할아버지의 벤케이 토비롯포에 대해 절도 있으며 정확하고 완벽하다 평했고 이를 의식하면 연습이 안 되고 틀리기를 반복하여 자신만의 벤케이 연기 스타일을 찾느라 꽤나 고생했다고 한다. 배우로서는 남성미 넘치는 외모와 풍채가 그의 특징이었는데, 이것이 대하드라마에서 더욱 돋보여져 인기가 굉장했다고 한다. 아저씨 같으면서도 와일드한 상남자 이미지로 [[마츠다 유사쿠]]와 7~80년대 일본 연예계를 대표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0zg_lbw_Bfo)]}}} || || {{{#ffffff '''[[맨 오브 라만차]] 연습 현장''' }}} || [[브로드웨이]]에서 활동하던 성악가 출신의 배우에게 노래를 배웠다. 목소리 또한 특유의 낮은 목소리에 알토가 더해지며 더욱 품위있는 목소리를 내는데 이러한 목소리와 노래 실력 덕에 [[돈키호테]] 역은 [[일본]]에서 2대 마츠모토 하쿠오만이 소화하는 배역으로 알려져있다. 6대 [[이치카와 소메고로]] 시절에는 여러 앨범을 내기도 했다. === 여담 === * 현재는 작고한 나카무라야의 선대 당주인 [[나카무라 칸자부로#s-3|18대 나카무라 칸자부로]]와는 중, 고등학교 선후배 사이이다. 가부키계에서도 서로 아이들의 육아에 대한 고민을 풀기도 하고 가깝게 지냈었다고 한다. 그의 장례식에서 '마음이 잘 맞았던 아끼는 동생이었으나 그의 무용과 무대 정신은 나도 본 받아야 할 정도로 훌륭한 인물이었다' 라고 회고했다. * 본래 [[가부키]] 4대 명문가 중 나리타야 다음 가는 가문인 오토와야와 사이가 그다지 좋지 않았다. 이유인 즉슨 2대 하쿠오의 아들인 10대 마츠모토 코시로가 오토와야 당주의 장녀인 [[테라시마 시노부]]와 오랜 교제를 하고 결혼 약속을 하면서도 사생아를 낳고 다른 일반인 여성과 결혼하였기 때문이다. 이에 오토와야의 당주인 [[오노에 키쿠고로#s-3|7대 오노에 키쿠고로]]가 불같이 화를 내며 코오라이야가 출연한 가부키에는 절대 함께 출연하지 않겠다고 엄포를 놓았다.[* 이런 사실을 전혀 모른 2대 하쿠오는 아들의 결혼 피로연에 어째서 오토와야 가문의 사람들이 단 한 명도 참석 안 한 건지 의아해 했다고 한다.] 곧이어 문제의 시발점을 자세히 알게 된 2대 마츠모토 하쿠오가 아들을 대신하여 오토와야 오노에 종가에게 정중히 사죄하였고, 이것이 효시가 되어 2006년부터 [[오노에 키쿠고로#s-3|7대 오노에 키쿠고로]], [[오노에 키쿠노스케#s-3|5대 오노에 키쿠노스케]]와 합동 무대를 올리는 등 사이는 많이 완화되었다고 한다. 허나 딸들쪽은 현재까지 냉정한 상태라고. * [[신카이 마코토]] 감독의 애니메이션 영화 <[[스즈메의 문단속]]>에서 [[무나카타 소타|남주인공]]의 할아버지 [[무나카타 히츠지로]]의 성우로 출연하였다. [[분류:가부키 배우]][[분류:일본 남배우]][[분류:1942년 출생]][[분류:도쿄도 출신 인물]][[분류:일본의 문화재]][[분류:NHK 대하드라마 시리즈 주연배우]][[분류:와세다대학 출신]][[분류:일본의 배우 자녀]][[분류:세습명]][[분류:자수포장]][[분류:일본 문화공로자]][[분류:일본 문화훈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