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JR 시코쿠의 역, rd1=마츠야마역(에히메), other2=마츠야마 시내선의 역, rd2=마츠야마시에키역)] {{{+1 '''[ruby(松, ruby=まつ)][ruby(山, ruby=やま)][ruby(市, ruby=し)]駅'''[br]'''Matsuyama City Station'''}}} ||<-6><)>{{{#!wiki style="margin: -0px -5px" [[이요 철도|[[파일:Iyotetsu_Wlogo.svg|height=50&align=left]]]]}}}[[이요 철도|{{{#ffffff 이요 철도}}}]][br]'''{{{#ffffff {{{+2 마츠야마시역}}}}}}'''|| ||<:><-2>[[타카하마역(에히메)|{{{#000000,#ffffff {{{-2 타카하마 방면}}}}}}]][br][[오테마치역(에히메)|오테마치]][br]← 0.9 km||<:>[[이요 철도 타카하마선|{{{#!html
타카하마선
(IY10)
}}}]]||<:>[[이요 철도 요코가와라선|{{{#!html
요코가와라선
(IY10)
}}}]]||<:><-2>[[요코가와라역|{{{#000000,#ffffff {{{-2 요코가와라 방면}}}}}}]][br][[이시테가와코엔역|이시테가와코엔]][br]0.8 km →|| ||<:><-2>{{{#gray 시종착}}}||<-2><:>[[이요 철도 군츄선|{{{#!html
군츄선
(IY10)
}}}]]||<:><-2>[[군츄항역|{{{#000000,#ffffff {{{-2 군츄항 방면}}}}}}]][br][[도바시역(에히메)|도바시]][br]0.7 km →|| ||<-6><:>[[마츠야마시에키역|마츠야마 시내선 {{{#009150 ➊}}}{{{#faa725 ➋}}}{{{#ed272d ➌}}}{{{#2c292a,#d4d7d6 ➏}}}호선으로 갈아타기]]|| ||<-6><:>[include(틀:지도,장소=松山市駅,너비=100%,높이=300px)]|| ||<-6><:>'''주소'''|| ||<-6><:>[[에히메현]] [[마츠야마시]] 미나토마치5초메[br]愛媛県松山市湊町5丁目|| ||<:><-6>'''역 운영기관'''|| ||<:><-2>[[이요 철도 타카하마선|{{{#ffffff 타카하마선}}}]]||<:><-4><|3>[[이요 철도|[[파일:Iyotetsu_logo.svg|width=180]]]]|| ||<:><-2>[[이요 철도 요코가와라선|{{{#ffffff 요코가와라선}}}]]|| ||<:><-2>[[이요 철도 군츄선|{{{#ffffff 군츄선}}}]]|| ||<-6><:>'''개업일'''|| ||<-6><:>1888년 10월 28일|| ||<:>[[파일:마츠야마시역.png|width=100%]][br]역 빌딩 '이요테츠 타카시마야'|| ||<:>[[파일:마츠야마시역_승강장.png|width=100%]][br]승강장|| [목차] [clearfix] == 개요 == 일본 [[에히메현]] [[마츠야마시]]에 있는 [[이요 철도]]의 역이다. 북쪽에 있는 [[마츠야마시에키역|마츠야마시에키 정류장]]에서 [[이요 철도 마츠야마 시내선|마츠야마 시내선]] 1, 2, 3 ,6호선을 이용할 수 있다. 이요테츠 최대의 [[터미널역]]으로, [[마츠야마역(에히메)|마츠야마역]]과 구별하기 위해 일반적으로는 '시역'[* 일본어로는 '시에키'라고 한다.]이라고 부른다. 그런데 어째 이용객 수는 마츠야마시역이 더 많다. 2015년 기준 일평균 승차량은 27,175명이며, 이는 시코쿠 지방을 통틀어 최대 수치다. 개통 당시 역명은 '마츠야마'였다. 그러나 1년 후 '토가와'(外側)로 개칭되었고, 1902년 다시 마츠야마역으로 돌아왔다. 1927년 마츠야마시역으로 개칭되어, 지금까지 이 역명을 유지하고 있다. == 특징 == 역내에 버스 터미널이 위치하여 에히메현 구석구석을 이어 준다. 역 북쪽에는 '이요테츠 타카시마야' 백화점이 있고 마츠야마시역앞 지하상가가 있으며, 남쪽에는 이요테츠 타카시마야 남관 및 각종 학교가 있다. 옥상에는 대관람차가 있다. [[1994년]]에 [[시코쿠]] 지역 최초로 [[자동개집표기]]가 이요 철도 역 중 '''유일하게'''[* 즉 다른 역에는 설치하지 않았다.] 이 역에 설치되어 있었으나[* 한때 시코쿠 유일이었으나 코토덴 Iruca 개시 및 JR 시코쿠의 자동개찰기 설치로 인해 2005년부터는 유일하지 않게 되었다.] 개찰기의 노후화[* [[오므론]]사의 S-PG 기종이었으며 2023년 현재는 [[야마만 유카리가오카선]]에만 사용중이다.] 및 교통카드(ICい~カード) 도입[* 비표준 규격이라 기존 자동개집표기와는 전혀 호환되지 않았기 때문.]으로 [[2014년]] 2월경 철거되었다. 심지어 2014년 이후 보통권도 식권과 같은 인쇄 형태의 비 자성권[* 뒷면이 하얀색이다(...)[[https://karibaryokouki.hatenablog.com/entry/7908-iyotetsu-matsuyamashi-mizu|#]]]으로 바뀌었다. 덧붙여서 2023년 현재 자동개집표기가 없는 지역은 이곳과 도쿠시마현 밖에 없다.[* 시코쿠 2현을 제외하면 [[후쿠이현]]의 [[후쿠이역(후쿠이)|후쿠이역]]이 가장 최근에 도입하였다.] [youtube(XWe_CkuD_7g)] [[이요테츠]] 종합기획의 마츠야마시역 [[타임랩스]] 영상. [[코토덴]] [[카와라마치역(카가와)|카와라마치역]] 타임랩스 영상과 동시에 제작되었다. == 역 및 승강장 구조 == 3면 3선 승강장의 지상역이다. 타카하마선, 요코가와라선, 군츄선열차가 각 선로로 들어오고, 타카하마선과 요코가와라선은 서로 직결운행한다. ||<-2><:>↑ [[도바시역(에히메)|도바시]]||<-4><:>↑ [[오테마치역(에히메)|오테마치]]|| ||<:>ㅣ||<:>{{{#ffffff 3}}}||<:>{{{#ffffff 2}}}||<:>ㅣ||<:>ㅣ||<:>{{{#ffffff 1}}}|| ||<-6><:>[[이시테가와코엔역|이시테가와코엔]] ↓|| ||<:>{{{#ffffff 1}}}||{{{#00baf2 ●}}} [[이요 철도 요코가와라선|요코가와라선]]||<:>하행||[[이요타치바나역|이요타치바나]] · [[쿠메역|쿠메]] · [[우메노모토역|우메노모토]] · [[요코가와라역|요코가와라]] 방면|| ||<:>{{{#ffffff 2}}}||{{{#8ec744 ●}}} [[이요 철도 타카하마선|타카하마선]]||<:>상행||[[오테마치역(에히메)|오테마치]] · [[코마치역|코마치]] · [[야마니시역|야마니시]] · [[타카하마역(에히메)|타카하마]] 방면|| ||<:>{{{#ffffff 3}}}||{{{#f3722a ●}}} [[이요 철도 군츄선|군츄선]]||<:>하행||[[요고역(에히메)|요고]] · [[코이즈미역(에히메)|코이즈미]] · [[군츄역|군츄]] · [[군츄항역|군츄항]] 방면|| == [[역 멜로디]] == [youtube(vJBeYVgBB2Y)] 군츄항역, 요코가와라역, 타카하마역, 마츠야마시역 공통 발차 멜로디. 이요 철도 홈페이지에서 원본을 다운받을 수 있다.[* 이요테츠의 사장이 직접 작곡한 것이라고 한다.] [[https://youtu.be/zXgl2Ce9AZ8?t=13s|발차 멜로디의 풀 버전(TV 광고용)은 여기에 있다.]] [[분류:일본의 철도역]][[분류:1888년 개업한 철도역]][[분류:이요테츠 타카하마선]][[분류:이요테츠 요코가와라선]][[분류:이요테츠 군츄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