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유벤투스 FC/간략)]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D7CBA 0%, #0755A1 30%, #0755A1 70%, #3D7CBA)" {{{#ffffff '''마티아 데실리오의 수상 이력'''}}}}}}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4> {{{#333333,#cccccc '''둘러보기 틀 모음'''}}} || ||<-4> {{{#333333,#cccccc '''개인 수상'''}}} || || || || || || ||<-4> {{{#333333,#cccccc '''베스트팀'''}}} || || [[틀:2012-13 세리에 A 올해의 팀|[[파일:AIC_logo.png|height=55]]]][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004890; font-size: 0.9em" [[틀:2012-13 세리에 A 올해의 팀|{{{#ffffff '''2012-13 세리에 A 올해의 팀'''}}}]]}}} || || || ||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desciglio2324.png|width=100%]]}}}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F 15%, #000 15%, #000 29%, #FFF 29%, #FFF 43%, #000 43%, #000 57%, #FFF 57%, #FFF 71%, #000 71%, #000 85%, #FFF 85%)" '''{{{#!html 유벤투스 FC No. 2}}}'''}}} || ||<-2> '''{{{#000 {{{+1 마티아 데실리오}}}[br]Mattia De Sciglio[* 이탈리아어 발음: [matˈtiːa de(ʃ)ˈʃiʎʎo\]. [[영어]]를 제외한 [[로망스어군|로망어]]와 [[게르만어파|게르만어]]권 인명의 전치사나 관사는, 발음의 변화를 반영하지 않은 채 뒤 요소와 붙여 적는다.]}}}''' || || '''{{{#fff 생년월일}}}''' ||[[1992년]] [[10월 20일]] ([age(1992-10-20)]세) || || '''{{{#fff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이탈리아)] || || '''{{{#fff 출신지}}}''' ||[[롬바르디아]] 주 [[밀라노]] || || '''{{{#fff 신체조건}}}''' ||182cm, 78kg || || '''{{{#fff 포지션}}}''' ||[[풀백(축구)|풀백]][* 주 포지션은 [[라이트백]]이지만, [[레프트백]]도 무난히 소화한다.] || || '''{{{#fff 주발}}}''' ||오른발[* 왼발도 정확한 편이다.]|| || '''{{{#fff 후원사}}}''' ||[[아디다스]] || || '''{{{#fff 유스클럽}}}''' ||치미아노 (2001~2002)[br][[AC 밀란]] (2002~2011) || || '''{{{#fff 프로클럽}}}''' ||'''[[AC 밀란]] (2011~2017)'''[br][[유벤투스 FC]] (2017~ )[br]→ {{{-1 [[올랭피크 리옹]] (2020~2021 / ^^임대^^)}}} || || '''{{{#fff 국가대표}}}''' ||[[이탈리아 축구 국가대표팀|[[파일:이탈리아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width=25]]]] 40경기 0골[* 2022년 3월 30일 터키전까지의 기록.] ^^([[이탈리아 축구 국가대표팀|이탈리아]] / 2013~ )^^ || || '''{{{#fff SNS}}}'''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mattia_desci, 크기=28)] | [[https://www.instagram.com/mattiadesciglio2/?hl=ko|[[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8]]]] || [목차] [clearfix] == 개요 == [[유벤투스 FC]] 소속의 이탈리아 국적 축구선수. 포지션은 풀백이다.[* 양쪽을 모두 소화할 수 있다.] == 클럽 경력 == === [[AC 밀란]] === [[파일:데 실리오 4.png]] 10세의 나이에 [[AC 밀란]]의 유스팀에 입단하였다. 2009-10 시즌에는 코파 이탈리아 프리마베라 우승을 경험하였고, 연령별 이탈리아 국가 대표에도 선출되었다. 2011-12 시즌에는 [[마시밀리아노 알레그리]] 감독의 지휘 아래 1군팀 선수로 등록되어, 2011년 9월 2 일 [[UEFA 챔피언스 리그]] FC 빅토리아 플젠과의 경기에서 1군팀 선수로 데뷔하였다. 이듬해 2012년 4월에는 [[AC 키에보 베로나]] 전에서 세리에 A에 데뷔하였다. 2012-13 시즌, 과거 밀란에서 오른쪽 수비수로 활약한 [[마우로 타소티]], [[카푸]]가 착용한 등번호 2번을 이어 받았다. 이후 주전자리를 꿰차며 27경기에 출장하였다. 2번을 받았지만 주 포지션은 [[레프트백]]이다.[* 본래는 라이트백인데 클럽에서는 라이트백 자리에 [[이냐치오 아바테]]가 있기 때문에 왼쪽에서 뛰고 있다. 그런데 거기서도 주전자리를 차지했다.] 2014년 월드컵 때는 이탈리아의 주전 레프트백으로 기대를 모았지만 부상으로 2경기 결장하면서 로테이션이 꼬였다. 23인 최종명단 선발때 데실리오를 백업할 레프트백이 없었기 때문에[* 데실리오를 백업할 레프트백으로는 제니트의 [[도메니코 크리시토]]가 있었지만 프란델리가 그를 뽑지 않았다. 최종엔트리 선발 과정에서도 가장 논란이 되었던 부분.] [[조르조 키엘리니]]가 그의 자리를 맡았는데 빈약한 공격력으로 문제를 일으켰다. 2014-15시즌에는 차세대 [[파올로 말디니]]라는 말이 무색할 정도로 심각한 폼 저하를 보여주었고, 폼이 올라온다 싶을 때 장기부상을 끊는 패턴을 반복하며 최악의 시즌을 보냈다. 2015-16 시즌에는 밀란으로 복귀한 유스출신 선배 루카 안토넬리가 너무 좋은 모습을 보여주면서 안토넬리의 백업 선수로 분류되었다. 이 점 때문에 계속해서 유벤투스와 링크가 났었지만, 유로2016에서 아주 좋은 활약을 보여주면서 팀은 데실리오를 팔지 않겠다 선언하였다. 2016-17 시즌에는 지난 시즌 주전이었던 [[루카 안토넬리]]가 부상으로 오랜기간 아웃되면서 레프트백 주전으로 복귀하였다. 하지만 루카 안토넬리가 부상에서 복귀한다는 소식과 동시에 선발출장 유력하다는 이야기가 나오면서 데실리오와 안토넬리는 주전경쟁을 피할수 없게 되었다. 데실리오가 수비력이나 미래를 봤을때는 좋은자원이지만 공격작업이 잘 풀리지 않는 밀란 입장에선 당장에는 루카 안토넬리의 공격적인 오버래핑이 필요하다는 점... 데실리오의 공격력이 너무 아쉬운 부분이다. 팀의 암흑기에도 성장세를 이어갔던 [[로컬 보이]]였지만 쓸데없이 팀을 떠나고 싶다고 입을 터는 바람에 결국 금지어가 되어가고있다. [[유벤투스 FC]] 이적설이 나돌고 있긴 하나 아직까진 확실하진 않다. 소문에는 알레그리 현 유벤투스 감독이 데실리오 영입을 거절했다고 한다. 밀란이 17-18 시즌 시작 전 이적 시장에서 엄청난 속도로 달려나가면서 클럽의 미래가 밝아지고 있는데, 쓸데없이 입을 털고 다녔던 바람에 이 분위기에 끼기 애매해진 상황이다. 2017-18 시즌을 앞두고 절륜한 킥을 지녔다 평가받는 [[리카르도 로드리게스]]가 영입되면서 데실리오는 주전에서 밀려날 가능성이 크다. === [[유벤투스 FC]] === [[파일:데 실리오 3.png]] 결국 12m 유로의 이적료로 [[유벤투스]]로 이적하게 됐다. 보누치는 밀란으로 가고, 데실리오는 유벤투스로 간 상황이었고 대부분 밀란이 이득을 얻은 줄 알았다. 2017-18시즌 R14 크로토네와의 경기서 프로입단후 7년만에 데뷔골을 뽑아내었다. 본인도 실감이 안났는지 애매한 골 세레모니를 펼치다 골대 건너편의 부폰을 포함한 팀원들 모두가 달려와 얼싸안는 진풍경이 연출되었다. 전체적으로 아주 준수한 시즌을 보내고 있다. 시즌 초반 가장 큰 약점으로 지목받던 라이트백 포지션에서 폼이 떨어진 리히슈타이너 대신 안정적인 수비와 뛰어난 키핑을 바탕으로 인상적인 활약을 이어가는중. 현재 베나티아와 함께 유벤투스 수비의 안정감을 더해주는 뛰어난 활약을 보여주고 있다. 애초에 데실리오의 포텐을 터뜨린 감독이 알레그리여서인지 몰라도 좋은 퍼포먼스를 보이고 있는 상황. 4월 12일 챔피언스리그 8강 2차전 [[레알 마드리드]]와의 원정경기에서 선발출전하였으나 전반전 이른시간에 부상으로 인하여 리히슈타이너와 교체되었다. 2018-2019시즌 리히슈타이너의 이적 이후 [[주앙 칸셀루]]와 주전 경쟁 중이다. 다만 데실리오는 왼쪽에서도 뛸 수 있기 때문에 여전히 출전 기회가 많다. [[주앙 칸셀루]]가 [[맨체스터 시티]]로 떠나면서 19-20 시즌부터 라이트백 주전이 될 가능성이 높아보인다. 19-20시즌 [[SSC 나폴리]]와의 세리에 A 경기도중 전반 15분 허벅지 부상으로 인해 [[다닐루]]와 교체되었다. 이후 경기에 나서지 못하는중. 부상 복귀 이후 [[알렉스 산드루]]의 백업으로 나쁘지 않은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물론 수비상황이면 몰라도 공격상황에는 문외한과 같은 모습을 보여주면서 반쪽짜리 풀백이라는 말이 계속 도는 중. 2020년 1월 이적시장에서 PSG와 링크가 났다. [[퀴르자와]]와 트레이드 형태일 것이라고. 하지만 결국 잔류 했다. ==== [[올랭피크 리옹]] (임대) ==== 2020년 10월 5일, 리옹으로 임대를 갔다. 2020년 10월 18일에 열린 2020-21 시즌 [[리그 1]] 7라운드 [[RC 스트라스부르 알자스]]전에서 72분, [[레오 뒤부아]]와 교체되어 출전하면서 데뷔전을 치렀다. 이후 뒤부아, [[막스웰 코르네]]의 백업으로 출전 중이다. 리그 13R [[FC 메츠]]전에서 첫 선발 출전하였으며 준수한 활약을 선보였다. 리그 15R [[스타드 브레스트 29]]전에서는 부진했고 다시 입지가 좁아져 10~20분의 출장 시간을 기록 중이다. 리그 18R [[RC 랑스]]전에서 첫 풀타임을 소화했으나 별 다른 활약 없이 경기를 마쳤다. 리그 21R [[AS 생테티엔]]전에서는 22분 페널티 박스 밖에서 때린 회심의 중거리 슈팅이 골대를 맞으면서 득점에 실패했다. 최근 들어서 주전급으로 도약했다. [[쿠프 드 프랑스]] 64강 [[AC 아작시오]]와의 경기에서 22분 [[이슬람 슬리마니]]의 결승골을 어시스트하며 첫 공격 포인트를 기록했다. 쿠프 드 프랑스 32강 [[FC 소쇼몽벨리아르]]전에서 경기 시작 9분 만에 크로스로 코르네의 골을 어시스트했다. 리그 30R [[파리 생제르맹 FC]]전에서는 [[킬리안 음바페]], [[프레스넬 킴펨베]]에게 탈탈 털리면서 4실점 중 2실점에 간접적으로 관여하였고 팀내 최저 평점 공동 2위를 기록했다. 리그 34R에서는 리그 선두를 달리고 있는 [[LOSC 릴]]을 상대로 맞아 [[센터백]]으로 선발 출장하였으나 [[조너선 데이비드]]와 [[부라크 이을마즈]]를 제대로 막아내지 못하면서 경기 최저 평점을 받았다. 리그 35R [[AS 모나코]]전에서는 89분 우측면에서 [[라얀 셰르키]]에게 컷백을 연결해 결승골을 어시스트하며 리그 첫 공격 포인트를 기록했다. 하지만 이후 경기 종료 휘슬이 울리자마자 신경전에 이은 난투극에 휘말렸고 결국 퇴장을 당하면서 경기를 좋지 않게 마무리했다. 현재까지 준수한 활약을 펼치고 있으며 리옹측에서도 완전 영입을 고려하고 있다고 했지만 시즌 후 유벤투스로 복귀했다. ==== [[유벤투스 FC/2021-22 시즌|2021-22 시즌]] ==== 2021-22 시즌 임대 종료 후 복귀하였다. 팀에 다시 부임한 [[마시밀리아노 알레그리]] 감독이 개인적으로 선호하는 선수라 다시 임대를 떠나기보다는 양쪽 풀백 뎁스자원으로 활용할 가능성이 높아보인다. 2R [[엠폴리 FC]]전에서 후반 82분에 교체 출전하며 시즌 첫 경기를 뛰었으나, 팀은 0:1로 패했다. 3R [[SSC 나폴리]]전에서 선발로 나와 시즌 첫 풀타임을 소화했으나, 팀은 1:2로 패했다. 10R [[US 사수올로 칼초]]전에서 선발로 나왔지만, 전반 12분 부상으로 교체되었다. 21R [[AS 로마]]전에서 후반 77분경. 팀이 1:3으로 끌려가다 3:3 따라잡은 쾌조의 분위기 와중, 박스 안에서 [[크리스 스몰링|상대 수비수]]의 실책으로 바운드 된 공을 따내 침착한 오른발 낮게 깔아 차는 슈팅으로써 팀의 4:3 결승 골을 뽑아냈다. [[코파 이탈리아]] 4강 [[ACF 피오렌티나]]와 1차전 경기에서 [[조나단 이코네]]에게 1대1 찬스를 내주는 등 스피드에서 부족한 모습을 보였다. [[UEFA 챔피언스 리그]] 16강 2차전 [[비야레알 CF]]전 사이드에서 좋은 활약을 했지만, 팀은 합산스코어 1:4로 패배하며 탈락했다. 30R [[US 살레르니타나 1919]]전 [[두샨 블라호비치]]에게 정확한 크로스를 찔려주며 도움을 기록했다. 2022년 6월 팀과 3년 재계약을 맺었다. ==== [[유벤투스 FC/2022-23 시즌|2022-23 시즌]] ==== 리그 7R [[AC 몬차]]전에서 라이트백으로 선발 출전했지만, 경기 내내 부정확한 크로스와 종종 뒷공간을 내주면서 아쉬운 모습을 보여주었다. [[후안 콰드라도]]의 노쇠화로 주전으로 나서게 되었다. 공격 부문에서는 전혀 도움이 되지 않지만 양호한 수비능력을 보이고 있다. 허나 5월 4일 십자인대 부상을 당하며 시즌 아웃되었다. 예전 넥스트 말디니 시절이 무색할정도로 현재로써는 몰락했다. == 국가대표 경력 == [[파일:데 실리오 2.jpg]] U-19, U-20 이탈리아 대표팀의 경험을 거쳐 2012년 4월에는 스코틀랜드와의 친선 경기에서 U-21 대표로 데뷔하였다. 2013년 3월 21일 브라질과의 친선 경기에서 선발 기용되며 A 매치에 데뷔하였다. [[2014 FIFA 월드컵 브라질]]에 선발되었지만 부상으로 조별리그 2경기에 결장했으며 조별리그 3차전 우루과이전에 출장해 국제대회 데뷔전을 가졌지만 패하면서 그대로 월드컵이 끝나고 말았다. 참고로 여기서 [[조르조 키엘리니]]가 [[루이스 수아레스]]한테 물어뜯기는 걸 처음으로 목격했다(...). 본인도 어처구니가 없었는지 천천히 가서 상황을 파악하곤 주심에게 알렸다. 소속팀에서도 부진한 가운데 국대에서는 꾸준히 차출, 좋은 경기력을 보여주며 유로 2016 최종명단에 올랐다. 유로 2016에서는 좋은 모습을 보여주며, 최근 중국 자본이 들어온 ac밀란 팬들에게 16/17 시즌을 기대하게끔 하였다. == 플레이 스타일 == [youtube(fqSdGBXbKbE)] 수비에 특화된 풀백으로, 그 중에서도 '''1대1 대인마크'''가 아주 뛰어나다. 일정 구역 안으로 들어 온 선수들은 이도저도 못하게 만드는데, 이게 끈덕지게 붙어서 그런게 아니라[* 일방적으로 끈덕지게만 붙었다면 오히려 수비의 구멍이 되었을 것이다.] [[적절한]] 거리를 유지하며 드리블을 치기엔 좁게, 패스를 하기엔 더 좁게 만들어 버리는 식이다. 이러면 상대의 선택지가 굉장히 좁아져서 데실리오를 단독으로 뚫어내는 게 아닌 이상 빠져나갈 수 없게 된다. 대인마크와 더불어 스탠딩 태클링에도 큰 강점을 보인다. 상대방이 쓰는 현란해 보이는 개인기나 속도를 붙인 방향 전환과 드리블을 해도 간결하게 공만 빼내는게 특기. 이것이 앞에 서술된 대인마크 능력과 결합되어 데실리오를 속이고 전진하기 어렵게 만든다. 테크닉은 여느 다른 이탈리아 선수들처럼 준수하다. 기본기가 잘 갖춰져 있어 볼 탈취 이후 강하게 들어오는 압박에도 볼을 잘 키핑한다.[* 쉬워보이지만 이거 [[마르셀루 비에이라|아]][[필리페 루이스|무]][[다니에우 아우베스|나]] 쓰는 기술이 아니다!] 이 점이 아마 [[아주리 군단|국가대표]] 승선에 큰 플러스 요인이 되었을 것이다. 다만 수비에 비해 공격적인 부분에서 아쉬움을 남기는 게 약점. [[AC 밀란]]시절의 [[이냐치오 아바테|반대쪽의 풀백]]과는 상반된 상황인데, 주력과 크로스가 나쁘진 않지만 오버래핑을 할 타이밍을 잘 잡지 못하고 공격에 그다지 적극적이지도 않다. 요즘 풀백의 추세가 수비적 능력뿐만 아니라 공격 작업에도 효과적으로 개입해주는 선수를 원하는데, 데실리오는 공격작업 시 오버래핑에 대한 감각이 부족하니 한쪽 측면 공격이 확 죽어버리게 된다. 이는 AC밀란 말년 시절 경쟁자 안토넬리와 대비되는 부분.[* 안토넬리의 경우 윙어 바로 밑자리까지, 혹은 동일선 까지 올라와 크로스&파울유도 등의 적극적인 공격적 가세를 하지만 수비상황시 빠른 주력을 활용 못한채 동선낭비가 심한 케이스.] 유벤투스에서는 파괴적인 드리블이나 정교한 크로스보다는 패스와 쓰루패스를 이용해서 지원적인 성향을 보여주고 있다. 왼쪽의 산드루의 폼이 돌아온다면 폭발적인 레프트백 산드루와 안정적이고 지원적인 성향이 강한 데실리오와의 호흡은 기대하기에 충분할듯. 14-15 시즌 당한 여러번 부상으로서 수비적 능력마저 줄었다. 13-14 시즌 까지 엄청난 성장세를 보이던 데실리오가 한 풀 꺾인것. 과거에는 1대1 상황에서 공을 빼내서 바로 역습상황, 또는 빌드업으로 이어지는 플레이를 했다면 현재는 볼을 빼낸 뒤 뒤로 돌리기만 한다.[* 나쁜건 아니지만 과거에 비해 아쉬운건 사실이다.] 수비상황의 올바른 대처상황이 돋보였기에 센터백 라인이 붕괴되었던 밀란은 그를 계속 썼지만 센터백 라인이 안정화된 뒤로는 안토넬리가 계속 부름받고 있다.[* 16-17시즌 [[AC 밀란]]은 데실리오, 안토넬리, 반조니 세사람이 레프트백을 두고 경쟁했고, 데실리오는 [[이냐치오 아바테|아바테]]의 부상을 까닭으로 우측풀백에 서는 경우도 있다.] 유로 2016의 모습은 데실리오가 정상적으로 성장했으면 보일 수 있는 '''최소한'''의 퍼포먼스를 보였다. 좌측에 위치했던 그는 정확한 크로스, 센스있는 오버래핑, 정확한 수비 복귀. 3박자 모두를 가져오며 [[스테판 엘 샤라위|엘 샤라위]]를 밀어냈다. == 수상 == === 우승 === * [[AC 밀란]] (2011~2017) * [[수페르코파 이탈리아나]]: 2011, 2016 * [[유벤투스 FC]] (2017~ ) * [[세리에 A]]: 2017-18, 2018-19, 2019-20 * [[코파 이탈리아]]: 2017-18, 2020-21 * [[수페르코파 이탈리아나]]: 2018, 2020 === 개인 수상 === * [[세리에 A 올해의 팀]]: 2012-13 == 여담 == [[파일:external/i2.media.daumcdn.net/20130329082421711.jpg]] [[파일:external/image.fmkorea.com/6e0c1c0bb32806c72960915e54b7cf18.jpg]] [[파일:데 실리오 1.gif]] 매우 잘생겼다. [[마르키시오|미남이]] [[보누치|많이]] [[다르미안|있는]] 이탈리아에서도 그 마르키시오에 비견될 만큼 본좌급 미모를 가졌다. 그러나 [[알베르토 몬디]]는 데 실리오가 잘생겼다는 말을 한국에 와서 처음 들어봤다고 한다. 고양이를 기르는 캣대디이다. 벵갈 고양이인데 이름은 대릴. == 같이 보기 == [include(틀:유벤투스 FC)] [각주] [[분류:1992년 출생]][[분류:2011년 데뷔]][[분류:밀라노 출신 인물]][[분류:이탈리아의 축구선수]][[분류:수비수]][[분류:AC 밀란/은퇴, 이적]][[분류:유벤투스 FC/현역]][[분류:올랭피크 리옹/은퇴, 이적]][[분류:이탈리아의 FIFA 월드컵 참가 선수]][[분류:2014 FIFA 월드컵 브라질 참가 선수]][[분류:이탈리아의 UEFA 유러피언 챔피언십 참가 선수]][[분류:UEFA 유로 2016 참가 선수]][[분류:2013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브라질 참가 선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