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 [[메릴랜드|{{{#fff [[파일:IMG_3941.png|width=20]] 메릴랜드}}}]] [[역대 미국 주지사#s-3.13|{{{#fff 주지사}}}]] || || 60대 ||<|2> {{{+1 ← }}} || 61대 ||<|2> {{{+1 → }}} || 62대 || || 밥 에를리히 || '''마틴 오말리''' || [[래리 호건]]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external/marijuanapolitics.com/Martin-OMalley.jpg|width=100%]] }}} || || ''' {{{#ffffff 본명}}}''' ||{{{#595959 ''' 마틴 조셉 오말리 '''[br]''' Martin Joseph O'Malley ''' }}} || ||<|2> '''{{{#ffffff 출생}}}''' ||[[1963년]] [[1월 18일]] || ||[[미국]] [[워싱턴 D.C.]] || || '''{{{#ffffff 국적}}}'''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width=28]] || || {{{#ffffff ''' 정당 ''' }}} ||[include(틀:민주당(미국))] || || '''{{{#ffffff 종교}}}''' ||[[가톨릭]] || || '''{{{#ffffff 학력}}}''' ||미국 가톨릭 대학교 {{{-1 ([[학사|B.A.]])}}} (1985년 졸)[br][[메릴랜드 대학교]] [[로스쿨|법학대학원]] {{{-1 ([[법학]] / [[박사|J.D.]])}}}(1988년 졸) || || '''{{{#ffffff 가족}}}''' ||케이티 오말리 (1990년 결혼) || || '''{{{#ffffff 경력}}}''' ||볼티모어 시의회 의원(1991~1999년) [br] 볼티모어 시장 (1999~2007) [br] 메릴랜드 주지사 (2007 ~ 2015) || [Clearfix] [목차] == 개요 == [[1963년]] 1월 18일 생. 전 [[메릴랜드]] 주지사.[* 참고로 [[미국 드라마]] "[[더 와이어]]"에서 최후의 승리자인 토미 카케티 볼티모어 시장의 현실 모델이 바로 이 사람이다.] [[2016년 민주당 대통령 후보 경선]]에서 가장 젊은 후보였다. [[힐러리 클린턴|힐러리]] vs [[버니 샌더스|샌더스]] 구도에서 들러리 역할 수준이지만, [[2015년]] 11월 기준으로 지지율이 3%까지 올라왔다. 여담으로 아직 50대(1963년생)로 비교적 젊은 나이지만 노안이라는 평도 있다. 하지만 외모로 보았을때는 [[마르코 루비오]]와 함께 [[미국]]에서는 잘 생긴 축에 속한다. [[http://guardianlv.com/wp-content/uploads/2014/02/pic_giant_123013_SM_Marylands-Low-Energy-Chill.jpg|사진]] == [[2016년 민주당 대통령 후보 경선]] == ||<|7> [[파일:dem2016.png|width=100%]] ||<-2> {{{#!HTML  
 }}} || ||<-2> '''범례 번역''' || || || [[힐러리 클린턴]] || || || [[버니 샌더스]] || || || '''마틴 오말리''' || || || ~~[[조 바이든]]~~ [* 취소선이 그어진 이유는 2015년 10월에 바이든 본인이 대선에 출마하지 않겠다고 공식적으로 발표했기 때문이다.] || ||<-2> {{{#!HTML  
 }}} || ▲ [[2015년]] 1월부터 조사된 주요 후보들의 여론조사 지지율 평균.[* [[2015년]]에 지지율이 한 번이라도 10%를 찍은 후보를 주요 후보라고 정의] 처음부터 낮은 인지도와 [[힐러리 클린턴|끝판왕]]의 압도적인 모습에 밀리다가 [[버니 샌더스]]가 급부상하면서 반 힐러리 진영의 지지도 못 얻게 되었다. 또한 주지사였던 [[메릴랜드]]와 시장이었던 [[볼티모어]]에서도 좋은 평판을 그다지 받지 못한 것도 단점이다. 경선이 시작되면서 [[힐러리 클린턴]]의 다소 온건한 진보주의를 비판하며 민주당에서도 좌파쪽을 대표하려고 했으나 그쪽은 [[버니 샌더스]]가 꽉잡고 있는 상태여서 경선에서 당선될 확률은 거의 제로에 가까웠다. 그래도 경선에 있는 3명의 후보 중 한명으로써 꽤 많은 미디어 노출을 받으며 인지도를 높이고 있는것은 그에게 좋다고 볼 수도 있다. 이번 대통령 후보 경선 승리를 실패해도 높아진 인지도로 다음 경선에 도전할 수 있기 때문. 다른 두 민주당 후보보다 훨씬 젊기도 하고. 2차 토론회에서도 클린턴과 샌더스가 말만으로 정책을 논하는데 반해 자신은 메릴랜드와 볼티모어에서의 경력으로 실제적인 결과물이 있음을 주장하며 꽤 인상적인 모습을 보였다. 2016년 2월 1일 시작된 [[아이오와]] 주 경선에서 개표 중후반까지 지지율 1%대에 머물며 고전을 면치 못하자 결국 더 이상의 경선 참여를 포기할 것이라는 보도가 나왔다. 현재 근황으로는 일단 힐러리 클린턴 지지를 선언하고 사퇴하였으나. 현재 그 누구도 예상못한 힐러리의 패배로 민주당 주류권에서 대망론이 나오기도 했으나 2020년 1월 4일 , 대선 불출마 선언과 함께 [[베토 오로크]] 후보를 지지한다고 선언했다. == 외교 == * [[미러관계]]에 대해서 "현재의 양국 관계를 재검토해야 할 필요가 있다"(we have to rethink our policy toward Russia.)라고 발언한 적이 있다. 어떤 의미로 이렇게 말한건지는 불명. * 자꾸 시리아의 대통령이 물러나야 한다는 오바마 정권을 향해 "미국 헌법 어디에 독재자들이 퇴진하는걸 미국 혹은 미 국무부 장관이 결정할 수 있다고 서술되어 있습니까?''(Where did it ever say in the Constitution, where is it written that it's the job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or its secretary of State to determine when dictators have to go?)라고 발언했다. == 기타 == * 배우자인 케이티는 볼티모어시 지방법원 판사이다 * 메릴랜드 내의 원주민인 피스카타웨이족 분파들을 전부 [[아메리카 원주민]] 부족으로 공식 인정했다. 하지만 주 정부가 인정했을 뿐, [[연방정부]]는 아직 인정하지 않은 상태. == 선거 이력 == ##당 내부 선거가 아닌 미합중국 연방 선출직 공직자 선거 결과만 기록한다. || {{{#ffffff 연도}}} || {{{#ffffff 선거 종류}}} || {{{#ffffff 선거구}}} || {{{#ffffff 소속 정당}}} || {{{#ffffff 득표수 (득표율)}}} || {{{#ffffff 당선 여부}}} || {{{#ffffff 비고}}} || || 1991 || 미국 메릴랜드 주 볼티모어 시의원 선거 ||<|4> [[볼티모어]] ||<|6> [include(틀:민주당(미국))] || '''12,122 (26.84%)''' || '''당선 (1위)''' || '''초선''' || || 1995 || 미국 메릴랜드 주 볼티모어 시의원 선거 || '''9,883 (29.55%)''' || '''당선 (3위)''' || '''재선''' || || 1999 || 미국 메릴랜드 주 볼티모어 시장 선거 || '''87,607 (90.49%)''' || '''당선 (1위)''' || '''초선''' || || 2004 || 미국 메릴랜드 주 볼티모어 시장 선거 || '''173,030 (86.87%)''' || '''당선 (1위)''' || '''재선''' || || 2006 || [[2006년 미국 중간선거|미국 주지사 선거]] ||<|2> [[메릴랜드]] || '''942,279 (52.69%)''' || '''당선 (1위)''' || '''초선''' || || 2010 || [[2010년 미국 중간선거|미국 주지사 선거]] || '''1,044,961 (56.25%)''' || '''당선 (1위)''' || '''재선''' || [[분류:메릴랜드 주지사]][[분류:1963년 출생]][[분류:메릴랜드 대학교 출신]][[분류:워싱턴 DC 출신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