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소말리아 대통령)] ||<-2> '''{{{#ffffff 소말리아 연방 공화국 제9대 대통령}}}[br]{{{#ffffff {{{+1 마하메드 압둘라히 마하메드}}}}}}[br]{{{#ffffff Mohamed Abdullahi Mohamed}}}'''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www.raxanreeb.com/555322_411316288908632_1443760797_n-620x330.jpg|width=100%]]}}} || ||<|2> '''{{{#ffffff 출생}}}''' ||<(> [[1962년]] [[3월 11일]] ([age(1962-03-11)]세) || ||<(> [[소말리아]] [[모가디슈]] || ||<|4> '''{{{#ffffff 재임기간}}}''' ||<(>제14대 총리 || ||[[2010년]] [[11월 1일]] ~ [[2011년]] [[6월 19일]] || ||<(>제9대 대통령 || ||[[2017년]] [[2월 16일]] ~ [[2022년]] [[5월 23일]][* 본래 임기만료일은 2021년 2월 15일이나, 임기연장법안 통과와 테러 등 위험사항으로 투표가 연기되었다. 5월 15일 투표 후 임기만료.] || || '''{{{#ffffff 소속 정당}}}''' ||<(> 타요[* 사회자유주의 성향의 중도주의 정당이다.] || [목차] [clearfix] == 개요 == [[소말리아]]의 정치인으로 2017년 이래 소말리아의 대통령. 별명은 "파르마조[* Farmaajo, [[이탈리아어]] [[치즈|formaggio]]에서 따옴.]"이다. 2017년 의회 간선 형태의 대통령 선거에서 당선되었으며, 2월 8일 정식으로 업무를 시작하였다. 소말리아의 첫 문민계 대통령이며 대표적인 '''반테러 운동가'''로, '''[[헬게이트]]라는 오명을 뒤집어 쓴 소말리아를 위한 구원투수'''로서 큰 기대를 얻고 있다. 그러나 원래대로라면 2021년에 임기가 끝나지만, 대선 개최 방식을 둘러싼 정국 교착 끝에 임기 2년 연장 법안으로 임기를 연장하여서 논란을 일으켰다.[[https://n.news.naver.com/article/001/0012329742?sid=104|#]] 결국, 다시 되돌리겠다고 발표했다.[[https://n.news.naver.com/article/001/0012360704?sid=104|#]] 그런 도중에 로블레 총리가 부패 혐의를 받고 있다며 그의 총리 권한을 정지시켰다.[[https://m.yna.co.kr/view/AKR20211228116200009?section=international/all|#]] == 국적 문제 == 원래 압둘라히 대통령은 소말리아와 [[미국]] 두 나라의 국적을 갖고 있는 복수국적자인데, 대부분의 나라들이 복수국적 대통령을 불허한다는 점을 감안할 때 전 세계적으로 '''몇 안 되는 복수국적 대통령'''이었으나, 스스로 미국 국적을 버렸다고 한다.[[https://www.africanews.com/2019/08/01/somalia-president-abandons-us-citizenship-voluntarily/|#]][* 이전에 [[페루]]의 대통령을 지냈던 [[알베르토 후지모리]]도 사실은 페루와 [[일본]] 두 나라의 국적을 갖고 있는 이중국적자였다. 헌데 페루에서는 이중국적자의 대통령 피선거권을 제한했는데 후지모리는 '''이를 몰래 숨기고'''까지 해먹었다. 결국 나중에 발각되자 일본 국적은 포기한 모양. 여담으로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이 나중에 일부 [[프랑스인]]들로부터 대선 출마를 요구받았을 때, 오바마는 '''국적을 바꿔야만 허락된다'''는 조건이 있었는데 이는 즉 오바마가 미국인임을 포기해야만 했었다. 하지만 오바마는 끝내 출마하지 않았다.] [[분류:소말리아 대통령]][[분류:1962년 출생]][[분류:모가디슈 출신 인물]][[분류:뉴욕 주립대학교 출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