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1 [[이라크|[[파일:이라크 국장(1991-2004).svg|height=40]]]] [[이라크|{{{#fff '''이라크 내무부 장관'''}}}]]}}}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사담 후세인|{{{-2 {{{#fff 사담 후세인 정부}}}}}}]]}}} ||<-2> {{{#!wiki style="margin: -5px -10px;" [[가지 마샬 아질 알 야워|{{{-2 {{{#fff 가지 마샬 아질 알 야워 정부}}}}}}]]}}} || || 제5대[br][[모하메드 젬 압둘 라자크]] || → || '''제6대[br]마흐무드 디얍''' || → || 초대[br][[누리 알 바드란]] || || {{{#fff '''역임 지위'''}}}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5> {{{+1 [[이라크|[[파일:이라크 국장(1991-2004).svg|height=40]]]] [[이라크|{{{#fff '''이라크 주택건설부 장관'''}}}]]}}} || ||<-5> {{{#!wiki style="margin: -5px -10px;" [[사담 후세인|{{{-2 {{{#fff 사담 후세인 정부}}}}}}]]}}} || || 제3대[br][[타허 모하메드 하소운 알 마르주크]] || → || '''제5대[br]마흐무드 디얍''' || → || 제5대[br][[마안 압둘라 세르삼]] || ---- ||<-5> {{{+1 [[이라크|[[파일:이라크 국장(1991-2004).svg|height=40]]]] [[이라크|{{{#fff '''이라크 관개부 장관'''}}}]]}}} || ||<-5> {{{#!wiki style="margin: -5px -10px;" [[사담 후세인|{{{-2 {{{#fff 사담 후세인 정부}}}}}}]]}}} || || 초대[br][[니자르 주마 알리 알 쿠세이르]] || → || '''제2대[br]마흐무드 디얍''' || → || 제3대[br][[라술 압둘 후세인 사와디]] ||}}} || ||<-2> '''이라크 내무부 장관[br]{{{+1 마흐무드 디얍 알아마드}}}[br]Mahmud Dhiyab al-Ahmad | محمود ذياب الأحمد'''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mhmod-thyab-almshhadanee.jpg|width=100%]]}}} || || '''성명''' ||'''마흐무드 디얍 알아마드''' ---- محمود ذياب الأحمد ---- Mahmud Dhiyab al-Ahmad|| ||<|2> '''출생''' ||[[1953년]] [[7월 1일]] ([age(1953-07-01)]세)|| ||[[이라크 왕국|[[파일:이라크 왕국 국기.svg|width=28]] 이라크 왕국]] [[모술]]|| || '''거주지''' ||[include(틀:국기, 국명=수단 공화국)]|| || '''직업''' ||[[정치인]], [[엔지니어]], [[외교관]]|| || '''종교''' ||[[수니파]] [[이슬람]]|| || '''국적''' ||불명|| || '''정당''' ||[include(틀:바트당)] {{{-2 ([[바트당#s-3|이라크]])}}}|| ||<|6> '''재임 기간''' ||이라크 주택건설부 장관|| ||[[1991년]] [[3월 23일]] ~ [[1995년]] [[11월 6일]]|| ||이라크 관개 장관|| ||[[1995년]] [[11월 6일]] ~ [[2001년]] [[6월 21일]]|| ||이라크 내무부 장관|| ||[[2001년]] [[5월 28일]] ~ [[2003년]] [[4월 9일]]|| || '''약력''' ||[[이라크]] 내무부 장관[br]이라크 농업부 장관[br]이라크 관개부 장관[br]이라크 주택건설부 장관|| [목차] [clearfix] == 개요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Mahmud_Dhiyab_al-Ahmad.jpg|width=16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636581740278049571.jpg|width=346]]}}} || Mahmud Dhiyab al-Ahmad 아랍어 : محمود ذياب الأحمد 마흐무드 디얍은 [[이라크]]의 정치인이자 [[엔지니어]], [[외교관]]이다. [[사담 후세인]] 정권에서 내무부 장관, 농업부 장관, 관개부 장관, 주택재건부 장관 등을 재임했다. 현재는 [[수단 공화국]]에서 거주 중이다. == 일생 == [[1953년]] [[이라크 왕국]] [[모술]]에서 태어났다. [[걸프 전쟁]] 기간 동안 농업부 장관을 재임했다. [[1991년]] [[9월]], [[바그다드]] 공화국 다리의 재건 문제를 둘러싸고 당시 국방부 장관 [[후세인 카멜]]과 마찰을 빚었다. [[1990년대]] 중반, 이라크의 주택재건부 장관, 관개 장관 등을 재임하며 [[티그리스 강]]의 수자원 권리 문제를 두고 [[터키]], [[시리아]]와 분쟁이 이어지자 이 두 나라와의 협상에서 중요한 역할을 맡았다. [[2001년]] [[5월 28일]], [[모하메드 젬 압둘 라자크]]의 뒤를 이어 이라크의 내무부 장관으로 취임해 후세인 정권의 붕괴 전까지 직무를 수행했다. [[2003년]] [[8월 8일]], [[미국]] 행정부에 의해 수배되었고, [[2003년]] [[8월 9일]] 항복했다. [[2005년]] 기소되어 징역 7년형을 선고받았고, 2012년 7월 석방되었다. [[https://www.iraqhurr.org/a/24641732.html|#]] [[2017년]] 이라크 의회에서 마흐무드 디얍을 비롯한 구 후세인 정권의 관료들의 재산을 몰수하는 법안이 통과됐다. [[http://www.rudaw.net/arabic/middleeast/iraq/16042017|#]] == 여담 == [[2003년]] 수배된 직후, [[7월 9일]] 마흐무드 디얍과 미즈반 카드르 알 하디가 체포되었다고 알려졌으나 [[https://www.washingtonpost.com/wp-dyn/articles/A31027-2003Jul9.html|#]], 오보로 판명되었다. [[이라크 전쟁]] 직후 미국은 '[[틀:Iraq Most wanted playing cards|이라크 수배 카드]]'를 대중에 배포했는데, 이에 사담 후세인을 비롯한 다수의 바트당 인사들의 수감수였던 한 미국 군인은 이 수배 카드에 수배된 당사자들의 사인을 모으기도 했다고 한다. 이때 마흐무드 디얍은 자신이 들어간 스페이드 카드에 '경의를 표한다'라고 썼다고. [[https://web.archive.org/web/20121017113440/http://www.thesun.co.uk/sol/homepage/news/article1115993.ece|#]] == 같이 보기 == [include(틀:Iraq Most wanted playing cards)] [각주] [[분류:이라크의 정치인]][[분류:이라크의 무슬림]][[분류:1953년 출생]][[분류:외교관]][[분류:이라크 바트당 소속]][[분류:모술 출신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