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서양음악사)] ||||
'''{{{+1 막스 브루흐}}}[br]Max Bruch''' ||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Max_Bruch_1920.jpg|width=100%]]}}} || || '''출생명''' ||막스 카를 아우구스트 브루흐 {{{-1 Max Karl August Bruch}}}|| || '''본명''' ||막스 크리스티안 프리드리히 브루흐 {{{-1 Max Christian Friedrich Bruch}}}|| ||<|2> '''출생''' ||1838년 1월 6일|| ||[[프로이센 왕국]] [[쾰른]]|| ||<|2> '''사망''' ||1920년 10월 2일 (향년 82세)|| ||[[바이마르 공화국]] 프리데나우|| || '''직업''' ||작곡가, 지휘자|| || '''사조''' ||후기 낭만주의|| [목차] [clearfix] == 개요 == [[독일]]의 작곡가이자 지휘자. == 약력 == 1838년: 독일 [[쾰른]]에서 태어났다. 1847년: 작곡을 시작하였다. 1858년: 쾰른 음악원에서 학생들을 가르치기 시작하였다. 같은 해에 첫 오페라 ‘해학, 책략과 복수’를 발표했다. 1863년: 두 번째 오페라 ‘로렐라이’를 만하임에서 초연했다. 1865년: 코플랜츠 연주협회 지휘자에 취임했다. 1867년: 존더스하우젠 궁정 악단 지휘자에 취임했다. 같은 해에 합창곡 '''아름다운 엘렌'''과 '''바이올린 협주곡 1번 G단조'''를 작곡했다. 1870~2년: 베를린에서 음악활동을 했다. 1873~8년: 본에서 음악활동을 했다. 1880년: 줄리어스 베네딕트를 이어 잉글랜드의 리버풀 필하모닉 소사이어티의 지휘자로 취임했다. 1881년: 첼로와 관현악을 위한 '''콜 니드라이'''를 작곡했다.[* 이 작품은 유대인의 노래 선율에 영감을 받아 작곡되었다. 그러나 발표 당시에는 유대인의 곡이 아니고 독일 창작물 취급을 받았으나, 반대로 이후 나치 집권기에는 이 곡을 작곡했다는 이유로 브루흐의 모든 작품이 연주 금지 처분을 받는 등 탄압을 겪게 되었다.] 1883년: 다시 독일로 돌아왔다. 보래슬라우 연주협회 지휘자로 취임해서 1890년까지 일했다. 1891년: 베를린 예술 아카데미 작곡가 교수로 취임해서 은퇴할 때까지 이 자리를 유지했다. 1918년: 베를린 대학으로부터 신학과 철학 명예박사 학위를 받았다. 1920년: 베를린에서 82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 평가 == 리스트와 바그너로 대표되는 '새로운 음악'보다 브람스 계열로 분류되는 고전적인 작품을 썼다. 200여 작품을 남겼는데, 합창 지휘자를 했던 경험으로 합창곡이 많으며, 협주곡도 적은 수가 아니다. == 주요 작품 == === 오페라 === * 해학, 책략과 복수 Op.1(1858) * 로렐라이 Op.16(1863) * 헤르미오네 Op.40 (1872) === 교향곡&관현악 === * 교향곡 1번 E플랫 장조 Op.28 (1868) * 교향곡 2번 F단조 Op.36 (1870) * 교향곡 3번 E장조 Op.51 (1887) * 스웨덴 춤곡 Op.63(1892) * 관현악 모음곡 1번 Op.79b(1903) * 관현악 모음곡 2번 Op. posth(1906) * 관현악 모음곡 3번 Op. posth(1904~15) === 협주곡 === ==== 바이올린&관현악 ==== * '''[[바이올린 협주곡 1번(브루흐)|바이올린 협주곡 1번 G단조 Op.26]]''' (1866~7) [youtube(KDJ6Wbzgy3E)] [[힐러리 한]] 연주 * '''로망스 A단조 Op.42''' (1874) * 바이올린 협주곡 2번 D단조 Op.44 (1878) * '''스코틀랜드 환상곡 E♭장조 Op.46''' (1880) [youtube(V_zvmhjXZzI)] 야샤 하이페츠 연주 * 바이올린 협주곡 3번 D단조 Op.58 (1891) * 아다지오 아파시오나토 C♯단조 Op.57 (1891) * 추억에 Op.65 (1893) * '''세레나데 A단조 Op.75''' (1899) * 협주 소품 F♯단조 Op.84 (1903) ==== 첼로&관현악 ==== * 켈트 주제에 의한 아다지오 Op.56 (1891) * 아베마리아 Op.61 (1892) * 칸초네 Op.55 (1891) * '''콜 니드라이 Op.47''' (1881) [youtube(XGzOozXt4ek)] 미샤 마이스키 연주 ==== 기타 ==== * 로망스 F장조 Op.85 (1911)(비올라) * '''이중협주곡 E단조 Op.88''' (1911)(클라리넷, 비올라) [youtube(g8-t9V8dtok)] * '''두 대의 피아노를 위한 협주곡 A♭단조 Op.88a''' (1912)(피아노) === 실내악 === * 피아노 3중주 C단조 Op.5 (1857) * 현악 4중주 1번 C단조 Op.9 (1859) * 현악 4중주 2번 E장조 Op.10 (1860) * 두 대의 피아노를 위한 환상곡 Op.11 (1861) * 피아노 5중주 G단조 Op. posth (1886) * 첼로와 피아노를 위한 4개의 소품 Op.70 (1896) * 클라리넷, 비올라, 피아노를 위한 8개의 소품 Op.83 (1910) * 현악 5중주 A단조 Op. posth (1918) * 현악 5중주 E♭장조 Op. posth (1918) * 현악 8중주 B♭장조 Op. posth (1920) === 피아노 === * 6개의 소품 Op.12 (1861) * 2개의 소품 Op.14 (1862) === 합창 === * 자작나무와 오리나무 Op.8 (1859) * 아름다운 엘렌 Op.24 (1867) * 노르만의 행진 Op.32 (1870) * '''오디세우스 Op.41''' (1872) * 종의 노래 Op.45 (1872) * '''아르미니우스 Op.43''' (1877) * 아킬레우스 Op.50 (1885) * 십자포화 Op.52 (1889) * 레오니다스 Op.66 (1894) * 모세 Op.67 (1894~5) * 구스타프 아돌프 Op.73 (1898) * 노래의 힘 Op.87 (1912) * 미뇽의 장례 Op.93 (1919) === 가곡 === * 3개의 듀엣 Op.4 * 7개의 노래 Op.6 * 6개의 노래 Op.7 * 송가(頌歌) Op.13 * 4개의 노래 Op.15 * 10개의 노래 Op.17 * 4개의 노래 Op.18 * 4개의 노래 Op.33 * 5개의 노래 Op.59 * 5개의 노래 Op.97 [[분류:독일의 작곡가]] [[분류:1838년 출생]] [[분류:1920년 사망]] [[분류:쾰른 출신 인물]] [[분류:후기 낭만주의의 작곡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