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ffffff '''주요 수상 이력'''}}}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5> {{{+1 '''[[1951년|{{{#fff 1951년}}}]] [[노벨생리학·의학상|{{{#fff 노벨 생리학·의학상}}}]] 수상자'''}}} || ||<-5>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Nobel_Prize.png|width=150]] || ||<-5> [[노벨생리학·의학상/수상자|{{{#fff '''수상자 전체 목록 보기'''}}}]] || || 1950년 ||<|2> → || 1951년 ||<|2> → || 1952년 || || 필립 S. 헨치[br]에드워드 켄들[* 부신피질 호르몬과 그 기능 연구.] || [[막스 타일러]] || 셀먼 에이브러햄 왁스먼[* 결핵에 효과적인 첫 항생제인 [[스트렙토마이신]]의 발견.] || ---- ||<-5>
<#003da9> [[래스커상|{{{#white '''래스커 재단''' }}}]] || ||<-5> [[래스커상|{{{#!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래스커상_배경.png|width=400]]}}}]] || ||<-5><#003da9> [[래스커상|{{{#white '''래스커-드베이키 임상 의학 연구상'''}}}]] || || {{{#003da9 '''1948년'''}}} ||<|2> {{{+1 {{{#003da9,#white → }}}}}} || {{{#003da9 '''1949년'''}}} ||<|2> {{{+1 {{{#003da9,#white → }}}}}} || {{{#003da9 '''1950년'''}}} || || 수상자 없음 || '''[[막스 타일러]]''' 에드워드 C. 켄달 필립 쇼월터 헨치 || [[게오르요스 파파니콜라우]] || }}} || ---- ||<-2>
'''{{{+1 막스 타일러}}}'''[br]'''Max Theiler'''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Max Theiler in colour.jpg|width=100%]]}}}|| ||<-2><#000>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Nobel_Prize.png|width=30]]''' [[노벨생리학·의학상|{{{#white '''1951년 노벨 생리학·의학상 수상자'''}}}]]''' || ||<|2> '''출생''' ||[[1899년]] [[1월 30일]] || ||[[트란스발 공화국]] [[프리토리아]] || ||<|2> '''사망''' ||[[1972년]] [[8월 11일]] (향년 73세) || ||[[미국]] [[코네티컷]] [[뉴헤이븐]]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남아프리카 공화국)]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 || '''직업''' ||바이러스 학자, 내과 의사 || || '''연구분야''' ||바이러스학 || || '''업적''' ||[[황열병]] 치료 백신 개발 || ||<-2><#fff,#1f2023> '''정보 더 보기'''[br]{{{#!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3> '''학력'''[* [[https://www.nobelprize.org/prizes/medicine/1951/theiler/biographical/|The Nobel Prize - Max Theiler Biographical]][br][[https://rockfound.rockarch.org/biographical/-/asset_publisher/6ygcKECNI1nb/content/max-theiler?inheritRedirect=false|THE ROCKEFELLER FOUNDATION - A DIGITAL HISTORY]] 참고.] ||[[케이프타운 대학교]] ,,(의학 / [[학사]]) (1918년),, || ||[[킹스 칼리지 런던|킹스 칼리지 런던 GKT 의과대학]][* 現 [[킹스 칼리지 런던]] 의과대학([[https://en.wikipedia.org/wiki/GKT_School_of_Medical_Education|GKT School of Medial Education]])의 전신인 세인트 토머스 병원 의과대학(St. Thomas Hospital Medical School) 출신.[br][br]이 곳에서 1918년부터 1922년까지 내과 의사(Physician)가 되기 위한 트레이닝을 받았으며 최종적으로 의사 자격을 취득했다. 막스 타일러가 처음으로 전염병학에 대하여 연구를 시작하게 된 계기를 만들어 준 곳이 바로 이 곳이다.[br][[https://www.oxfordreference.com/view/10.1093/oi/authority.20110803103635710|참고 1]], [[https://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5392609/|참고 2]]] ,,(의학 / [[MD#s-1|M.D.]]) (1918년 – 1922년),, || ||[[런던 위생 열대의학 대학원]] ,,([[박사]]) (1922년),, || ||<|3> '''경력''' ||[[하버드 대학교]] 의과대학 ,,(연구원) (1922년 – 1929년),, || ||[[https://www.rockefellerfoundation.org/|{{{#black,#white 록펠러 재단 바이러스 연구소}}}]] ,,(연구원) (1930년 – 1950년),, ,,(연구소장) (1951년 – 1963년),, || ||[[예일 대학교]] 의과대학 '''·''' 보건대학 ,,(교수) (1964년 – 1967년),, || ||<|4> '''수상''' ||차머스 메달 {{{-2 (1939년)}}} || ||플래터리 메달 {{{-2 (1945년)}}} || ||[[래스커상]] {{{-2 (1949년)}}} || ||[[노벨 생리의학상]] {{{-2 (1951년)}}} || }}}}}}}}} || [목차] [clearfix] == 개요 ==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바이러스 학자이자 내과 의사. [[황열병]]을 퇴치한 장본인. 1951년 [[노벨 생리학·의학상]] 수상자이자 최초의 [[아프리카]] 출신 노벨상 수상자이다. == 생애 == 1899년 1월 30일 [[트란스발 공화국]]의 [[프리토리아]]에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 아놀드 타일러는 성공한 [[수의사]]였고 그의 영향을 받아 의학에 뜻을 가졌다. 1916년부터 1918년까지 [[케이프타운 대학교]]에서 의학을 공부했다. 그 후 영국으로 가 [[킹스 칼리지 런던|세인트 토머스 병원 의과대학]][* 現 [[킹스 칼리지 런던]] 의과대학 ([[https://en.wikipedia.org/wiki/GKT_School_of_Medical_Education|GKT School of Medial Education]]).]과 [[런던 위생 열대의학 대학원]]에서 의학을 공부하고 1922년 졸업했다. 그 후 [[하버드 대학교]]와 록펠러 재단 바이러스 연구실에서 연구원으로 활동했다.[* [[https://www.nobelprize.org/prizes/medicine/1951/theiler/biographical/|The Nobel Prize - Max Theiler Biography]] 참고.] 1926년 [[황열병]] 원인균에 대한 [[노구치 히데요]]의 가설에 의문을 품은 타일러는 그 후 황열병에 대한 연구를 지속하게 된다. 1928년 황열병의 원인은 세균이 아니라 바이러스임을 밝혀내며, 노구치의 연구가 틀렸음을 입증했다. 이후 황열 바이러스 학자 A.스토크스 등에 의해 [[황열병바이러스]]가 원숭이에게 감수성을 보이는 것이 발견되었는데, 1930년 타일러는 이 바이러스를 생쥐의 뇌 속에 접종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이 결과 황열병 바이러스에 관한 연구는 큰 발전을 이룩하고, 백신도 개발되었다. 이 연구로 1951년 [[노벨 생리학·의학상]]을 수상했다. [[분류:노벨생리학·의학상 수상자]][[분류: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생물학자]][[분류:프리토리아 출신 인물]][[분류:복수국적자]][[분류:케이프타운 대학교 출신]][[분류:킹스 칼리지 런던 출신]][[분류:하버드 대학교 재직]][[분류:예일 대학교 재직]][[분류:1899년 출생]][[분류:1972년 사망]][[분류:스위스계 남아프리카 공화국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