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유희왕/OCG/일반 함정]] [목차] == 개요 == [[유희왕]]의 함정 카드. == 설명 == === [[유희왕 듀얼몬스터즈(게임)|유희왕 듀얼몬스터즈]] === [[파일:WidespreadRuin-DM2-JP-VG.png]] ||<#F868E0> {{{#000 한글판 명칭}}} ||'''만능지뢰 회색안개''' (비공식 번역명)|| ||<#F868E0> {{{#000 일어판 명칭}}} ||'''[ruby(万能地雷, ruby=ばんのうじらい)]グレイモヤ'''|| ||<#F868E0> {{{#000 영어판 명칭}}} ||'''Widespread Ruin'''|| ||<-2><#F868E0> {{{#000 함정}}} || ||<-2>상대가 공격했을 때, 폭발로 몬스터는 산산조각이 나 사라진다.|| [[황산의 함정 속으로]]와 마찬가지로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II 암계결투기]]에서부터 등장. [[유희왕 듀얼몬스터즈(게임)|유희왕 듀얼몬스터즈]] 시리즈에서는 공격 반응형 함정은 '일정 공격력 이하의 몬스터를 파괴하는 효과'로 설정되어있었으나, 이 카드는 공격력을 안 따지고 상대 몬스터를 파괴할 수 있었다. 다만 그만큼 덱에 투입하기 위한 코스트가 커서 사용감이 썩 좋지 못한 편.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4 최강결투자전기]]에서는 상위호환 성능을 가진 [[격류장]]이 코스트 60인 것에 비해 어쩐지 이 카드의 코스트는 200이나 되었기에 도무지 쓸 이유가 없었으나,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7 결투도시전설]]에서는 그래도 20으로 내려갔다.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8 파멸의 대사신]]에서는 [[격류장]]이 코스트 200, 이 카드는 코스트 100이 되었으며 준제한 카드로 지정되었다. [[유희왕 진 듀얼몬스터즈 II 계승된 기억]]에서는 발동하면 주위 3×3칸의 카드를 전부 파괴한다는 [[지뢰]]다운 효과가 있었다. ===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 ===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73715319_1.jpg|width=100%]] || [[파일:card100021238_1.jpg|width=100%]] || [include(틀:유희왕/카드, 함정=, 일반=, 한글판명칭=만능지뢰 회색안개, 일어판명칭=万能地雷(ばんのうじらい)グレイモヤ, 영어판명칭=Widespread Ruin, 효과1=①: 상대 몬스터의 공격 선언시에 발동할 수 있다. 상대 필드의 앞면 공격 표시 몬스터 중\, 공격력이 가장 높은 몬스터 1장을 파괴한다.)] [[성스러운 방어막 거울의 힘]]의 하위 호환이자, [[작렬 장갑]]의 상호 호환. 공격한 몬스터를 파괴하는 작렬 장갑과는 달리, 이 카드는 어떤 몬스터가 공격하든 공격력이 가장 높은 몬스터를 파괴한다. 이 때 공격력이 가장 높은 몬스터를 '''대상 비지정'''으로 파괴한다. 때문에 효과의 대상이 되지 않는 내성을 가진 몬스터도 얄짤없이 터진다. 공격력이 동일한 몬스터가 2장 이상 있을 경우에는 발동 플레이어가 파괴할 몬스터를 '''고르고''' 파괴한다. [[황산의 함정 속으로]]와 마찬가지로 평범한 함정 카드인데 일러스트가 2종류다. 하나는 지뢰처럼 보이는 물체가 그려진 것이고, 다른 하나는 그냥 대폭발이 일어나는 그림. 국내에선 두 종류 다 나왔다. [[유희왕 5D's(코믹스)|유희왕 5D's 코믹스]]에서 [[보머(유희왕)|보머]]가 [[후도 유세이]]와의 듀얼 중 사용. [[세븐 스워드 워리어]]의 공격 선언시에 발동했으나, 유세이가 발동한 속공 마법 데몰리션 트랩의 효과로 무효화된 뒤 세븐 스워드 워리어의 장착 카드가 되었다. [[유희왕 ARC-V(코믹스)|유희왕 ARC-V 특별 단편 만화]]에서는 [[사카키 유우야]]가 [[아카바 레이지]]와의 듀얼 중 사용. [[EM 실버 크로우]]를 공격하는 [[탈와르 데몬]]을 파괴하기 위해 발동했으나, 액션 마법 차원의 날개의 효과로 회피되어버렸다. [[유희왕 ARC-V]]에서는 말 그대로 '''진짜 [[지뢰]]로''' 등장. 엑시즈 차원의 레지스탕스가 설치해놓은 이 카드가 폭발하면서 사람 2명을 보내버렸고 [[바렛(유희왕 ARC-V)|바렛]]의 한쪽 눈도 실명시킨 것으로 나온다. [[유희왕 듀얼링크스]]에서는 등장 당시 환경 특성상 제거 카드가 많지않은데다, 비대상 지정 카드다보니 사용률이 제법 높은 편이었다. 그러나 더 강한 함정 카드가 많이 등장하면서 결국 순위권 밖으로 밀려나게 되었다. 인게임에서는 어째서인지 원작에서 이 카드를 사용한 적이 없는 [[빛과 어둠의 가면(유희왕 듀얼링크스)|빛과 어둠의 가면]]의 전용 대사가 있는데, 아무래도 그 둘이 원작에서 지뢰를 설치해놓고 죽음의 태그 듀얼을 펼쳤기 때문인 듯하다. 일어판 명칭은 '그레이모야'. [[M18A1|클레이모어]]를 염두에 둔 말장난이지만, 한글판에선 이를 무시하고 직역했다. 회색(그레이) + 안개(모야, 靄). 말장난인 만큼 번역이 까다로운 카드명이긴 하다. 영문명은 아예 '확산하는 잔해'라는 뜻으로 번역을 완전히 바꾸었다. ==== 수록 팩 일람 ==== ||수록 시리즈 || ||<(> 2000-07-13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G3-03 |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III 삼성전신강림|遊戯王デュエルモンスターズIII 三聖戦神降臨 同梱カード]]'''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UR)] || ||<(> 2001-12-22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P5-08 | [[프리미엄 팩|PREMIUM PACK 5]]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UR)][include(틀:유희왕 레어도/P + UR)] || ||<(> 2004-03-25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SDM-040 | [[스트럭처 덱 마리크편|ストラクチャーデッキ - マリク編 -]]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06-12-14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SD11-JP030 | [[섬광의 파동|ストラクチャーデッキ - 閃光の波動 -]]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09-03-14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YSD4-JP040 | [[스타터 덱 2009|STARTER DECK 2009]]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09-04-14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DT05-JP050 | [[유희왕 OCG 듀얼 터미널|デュエルターミナル 「混沌の覇者!!」]]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11-01-15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GS03-JP020 | [[골드 시리즈|GOLD SERIES 2011]]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include(틀:유희왕 레어도/GR)] || ||<(> 2012-08-25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GDB1-JP060 | [[골드 시리즈|THE GOLD BOX]]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GR)] || ||<(> 2013-07-20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HD13-JPL18 | ハーフデッキ 光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13-07-20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HD13-JPD18 | ハーフデッキ 闇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15-01-10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15AX-JPM54 | [[듀얼리스트의 영광|15周年記念商品 決闘者の栄光 - 記憶の断片 - side:武藤遊戯]]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include(틀:유희왕 레어도/M)] || ||<(> 2018-06-30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HD18-JPL18 | ハーフデッキ2018 光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18-06-30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HD18-JPD18 | ハーフデッキ2018 闇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04-03-23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DOD-003 | '''Yu-Gi-Oh! THE DAWN OF DESTINY Bundles'''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E)] || ||<(> 2007-05-15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CP03-EN011 | CHAMPION PACK GAME THREE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R)] || ||<(> 2009-06-09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5DS2-EN040 | [[스타터 덱 2009|5D's STARTER DECK 2009]]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10-09-25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DT03-EN050 | [[유희왕 OCG 듀얼 터미널|DUEL TERMINAL 3]]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13-12-06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YSKR-EN045 | [[스타터 덱|STARTER DECK KAIBA RELOADED]]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16-04-15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MIL1-EN046 | [[밀레니엄 팩|MILLENNIUM PACK]]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R)] || ||<(> 2020-11-26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SBCB-EN122 | Speed Duel: Battle City Box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23-08-25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SBC1-END20 | SPEED DUEL: STREETS OF BATTLE CITY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E)] || ||<(> 2023-09-06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STP6-EN015 | SPEED DUEL TOURNAMENT PACK 6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R)] || ||<(> 2008-11-21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PP01-KR020 | '''[[프리미엄 팩/한국판|프리미엄 팩 Vol.1]]'''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UR)] || ||<(> 2009-10-22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YSD4-KR040 | [[스타터 덱 2009]]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11-05-17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GS03-KR020 | [[골드 시리즈|골드 시리즈 2011]]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include(틀:유희왕 레어도/GR)] || ||<(> 2020-04-24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15AX-KRM54 | [[듀얼리스트의 영광|듀얼리스트의 영광 -기억의 단편- side: 유희]]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include(틀:유희왕 레어도/P)] || === [[유희왕 러시 듀얼]]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만능지뢰 회색안개(유희왕 러시 듀얼))] == 관련 카드 == === [[회색 안개 불발탄]] === === [[연쇄 작약]] === 이 카드의 카운터이자 일러스트에 찬조 출연한 카드. 해당 카드가 필드 위에 있으면 이 카드를 발동하는 시점에서 1000 데미지를 받는다.